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 월배당 ETF 중에 국내 리츠주를 모아놓은 리츠 ETF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분배금 정보를 업데이트하고자 해요.

 

아래는 제가 지난 7월 22일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 종목의 배당수익률에 대해 썼던 글이에요. (▼ ▼ ▼ 아래 링크 참조)

 

https://fortune7.tistory.com/manage/newpost/77?type=post&returnURL=https%3A%2F%2Ffortune7.tistory.com%2Fmanage%2Fposts

 

티스토리

좀 아는 블로거들의 유용한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 포트폴리오, 웹사이트까지 티스토리에서 나를 표현해 보세요.

www.tistory.com

 

 


■ 최근 주가 동향

 

 

 최근에 주가가 연일 하락을 하고 있어요. 9월 30일 기준으론 5거래일 연속 하락을 하고 있구요, 10월 3일 기준으론 6거래일 연속 하락을 했어요. 한 달 넘게 횡보하던 주가가 갑자기 방향을 아래로 틀었네요. 그것도 리츠주는 금리 인하의 수혜주로 알고 있는데 말이죠. 주가가 변했다는건 배당수익률이 변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니깐, 과연 지금의 배당수익률은 어느 수준에 와 있는건지 살펴볼까 해요.

 


■ 역대 배당금 지급내역

 

올해는 9월까지 이미 281원의 배당금을 지급했어요. 남은 10월, 11월, 12월에 10원씩만 지급을 해도 2023년 총 배당금인 311원과 동일한 금액이 돼요. 그런데 작년 10~12월 배당금 지급내역을 보면 올해 남은 3개월 동안 30원만 지급할거 같지 않아요. 작년 10~12월 배당금이 32원, 11원, 15원으로 총 58원이니 올해도 그만큼 받는다고 하면 현재까지 지급한 281원에 58원을 더해서 총 339원이 돼요. 339원을 10월 2일 종가인 4470원으로 나눈다면 약 7.6%의 배당수익률이 나와요.

 

2024년 총 배당금이 2023년과 동일 (총 311원) → 배당수익률 6.96%
2024년 10월~12월 배당금이 2023년 10월~12월과 동일 (총 339원) → 배당수익률 7.58%

 


■ 배당수익률 그래프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연단위 배당수익률은 매해 달랐기 때문에 투자 지표로 삼기엔 애매한 부분이 있었지만, 배당수익률에서 기준금리를 뺀 값은 위에 빨간색 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2.9~4.1% 안에서 움직인게 확인이 돼요. 현재 국내 기준금리는 3.5%이므로 밴드 상단은 배당수익률로 7.6%에 해당하고, 하단은 6.4%에 해당돼요.

 

"올해도 작년만큼 배당금을 지급하겠지"란 가정으로 계산한 그래프에요. 역대 배당금 지급내역을 보면 매년 조금씩이나마 증가를 해왔기 때문에 2023년의 총 배당금을 2024년 당일의 주가로 나눠서 만든 그래프에요.

 

보시면, 빨간색 실선이 위에 있는 빨간색 밴드에 가까이 갈수록 배당수익률이 높아지므로 투자 매력도가 올라가고, 빨간색 실선이 밑에 있는 파란색 밴드에 다가갈수록 투자매력도가 낮아진다고 할 수 있어요.

 


■ 결론

 

최소 배당금 예측이 가능하다보니 주가가 떨어질수록 투자매력도는 올라가는거 같아요. 물론 시세차익을 노리는 사람에겐 그렇지 않은 얘기일 수 있지만,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가 이런 종목에 투자하는건....소수이지 않을까요....?

그래서 결론은 2023년과 동일한 배당금을 받는다면 배당수익률은 6.96%!

2023년 10~12월과 동일한 배당금을 받는다면 배당수익률은 7.58%!

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ETF 이름을 보면, 어느 증권사에서 출시한 상품인지를 알 수 있잖아요.

삼성은 KODEX, 미래에셋은 TIGER, 신한은 SOL, 한투는 ACE, KB는 KBSTAR에서 얼마전 RISE로 변경을 했는데요, 마찬가지로 한화는 ARIRANG에서 PLUS로 최근에 변경을 했어요.

 

그래서 배당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던 ARIRANG 고배당주 ETF는 PLUS 고배당주 로 종목명이 변경이 되었는데요,

그런 PLUS 고배당주에 커버드콜 옵션이 더해진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 이란 종목이 얼마전 상장을 했길래 해당 종목에 대해서 좀 알아본 내용을 공유하려고 해요.


■ 개요

   . 종목 소개

   . 분배금 지급현황

   . 구성종목 비교 (vs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 주가 비교 (vs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 결론


■ 종목소개

 

< 출처 : PLUS ETF 홈페이지 >

  • PLUS 고배당주는 2012년에 상장하여 국내 배당주 ETF로 많은 인기를 누려왔어요, 그 PLUS 고배당주에 커버드콜 옵션이 더해진 종목이라고 해요.
  • 그리고 매월 1.2%의 분배금을 지급한다고 되어 있어요. 

 


■ 분배금 지급현황

 

< 출처 : PLUS ETF 홈페이지 >

 

  • 8월 13일에 상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8월 분배금을 지급하기까지 했어요. 주당 130원을 지급했으며, 분배락 전일 주가가 10560원이었으므로 1.23% 정도 되네요. 
  • 주당과세표준액은 8원이라고 되어 있는데요, 실제로 130원의 배당금을 받았지만 8원에 대해서만 세금을 내고, 122원에 대해선 세금을 안 내도 된다는 뜻이에요. 이건 이 종목만 가진 특징이 아니라 국내 커버드콜 종목의 특징이에요.

 


 

■ 구성종목비교 (vs RISE200위클리커버드콜)

 

  • 국내 월배당 ETF 중에 "위클리옵션" 종목이 또 하나 있는데요, 바로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이에요. 이 종목과 종목 구성을 비교해보고자 해요. 아래는 제가 한 달 전 올렸던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종목 분석했던 내용이에요.

https://fortune7.tistory.com/manage/newpost/80?type=post&returnURL=https%3A%2F%2Ffortune7.tistory.com%2Fmanage%2Fposts

 

티스토리

좀 아는 블로거들의 유용한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 포트폴리오, 웹사이트까지 티스토리에서 나를 표현해 보세요.

www.tistory.com

 

  • 아래 표는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의 9월 20일 기준 구성종목 현황이에요. 두 종목 모두 원화예금을 보유하고 있고, 코스피위클리 어쩌고 하는 옵션, 그리고 RISE 200과 PLUS 고배당주 라는 오리지널(?) ETF 또한 구성종목으로 편입시켜놨어요. 오리지널 종목을 RISE는 21.6%나 편입했고, PLUS는 0.9% 밖에 안되네요. 그 외 개별종목으로 PLUS는 우리금융지주 5%, SKT 4.9%, KT&G 4.8% 등 배당주 위주로 동일 비중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 RISE 는 삼성전자 19%, SK하이닉스 5.5%, 현대차 2.2% 등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구성이 되어 있어요.

 

  • 아래표는 PLUS 고배당주와 RISE 200을 풀어버린 결과에요. PLUS 커버드콜이 PLUS 고배당주를 0.89% 만큼 보유하고 있는데, PLUS 고배당주에 들어있는 종목과 PLUS 커버드콜에 있는 종목이 중복되므로 PLUS 고배당주 내 종목 비중에 0.89%를 곱했을 때 실제로 PLUS 커버드콜의 종목 비중을 "실제비중" 이라고 표현했어요. RISE 커버드콜도 마찬가지로 RISE 200 내 종목 현황을 RISE 200의 비중인 21.59%의 비중으로 풀었을 때 RISE 커버드콜의 종목별 비중을 다시 계산한 값이에요.

 

  • PLUS 커버드콜 내에 PLUS 고배당주 비중은 0.89% 밖에 안됐었기 때문에 실제 비중의 변화가 크지 않지만, RISE 커버드콜은 삼성전자 비중이 19.2%에서 24.85%까지 증가하고, SK하이닉스 또한 5.53에서 7.15%로 증가했어요. 이렇게 다시 계산해보니, PLUS 커버드콜은 금융주와 배당주 위주로 종목별 5% 이내의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RISE 커버드콜은 삼성전자가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고 하이닉스, 현대차 처럼 시총 상위 종목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요.

 

■ 주가 비교 (vs RISE200위클리커버드콜)

 

 

  •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이 상장한 이후의 주가를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과 비교한거에요. 비록 한 달 밖에 안됐지만, PLUS는 횡보한 반면, RISE는 많이 하락을 해서 두 종목간 주가 수익률 차이는 무려 4.5%나 나네요. 그 이유는 위에서 얘기한 구성종목 현황으로 설명이 될거 같아요. RISE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비중이 32%나 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이 가능하네요.

■ 결론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분배금 지급내역 >

 

  • 5% 정도의 배당주 위주로 구성된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과 시총 상위 종목으로 구성된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은 본인의 성향에 따라 한 개를 선택할 수도 있지만, 두 개 종목을 동시에 보유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거 같아요. 
  • PLUS는 좀 더 두고봐야겠지만, PLUS ETF 홈페이지에도 있듯이 월 1.2%의 분배금 지급 시 연 14.4%가 되고, RISE 커버드콜은 약 12%가 돼요. 두 종목을 반반씩 보유할 경우 약 13.5%의 배당수익률이 가능해요.

 


 

 

얼마전 금감원에서 커버드콜 종목에 대해 유의하라는 주의보를 발령했었는데요, 스스로 알아보지 않고 하는 투자는 어느것인들 위험하지 않을 수 있겠나 싶어요. 

높은 분배수익률에만 현혹되지 않고, 분배금이 얼마나 꾸준한지, 주가 변동폭은 시장 대비 또는 추종지수 대비 괴리가 크지 않은지 등 잘 확인하고 투자를 한다면, 충분히 유용하게 활용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다음주도 모두 성투하는 한 주 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스피를 대표하는 ETF 인 KODEX 200과 코스피 200 지수를 추종하는 커버드콜 종목인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종목의 성과를 비교해보려고 해요.

 

높은 월 분배금으로 인해 커버드콜 종목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는 하지만, 한편으론 커버드콜은 제 살 깎아먹는 구조라는 편견(?)으로 인해 거부감을 느끼시는 분들도 있거든요. 

 

그래서 KODEX 200과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주가 비교를 통해 커버드콜을 조금 이해해보려는 마음으로 정리해봤습니다.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주가와 배당금 지급 내역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은 매월 주가 기준 1%에 해당하는 분배금을 지급하는 종목으로 연 배당수익률은 약 12% 이고, 각종 수수료를 제외하면 연 11.79%에 달하는 배당금을 지급하는 종목이에요. 위 차트를 보시면 초록색으로 주가 흐름을, 노란색 막대로 배당금 지급 내역을 표시했어요. 3월에 상장 이후로 주가는 1만원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고 배당금은 가장 적을 때가 103원, 가장 많을 땐 106원을 지급했어요.

 

 

■ KODEX 200과 RISE 200위커 주가 비교

 

 

  . KODEX 200과 RISE 위커의 주가를 단순 비교해본 챠트에요. 대략 비슷한 흐름으로 움직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그렇지만 조금 더 정확하게 비교를 해보기 위해 RISE 위커가 상장한 24년 3월 6일을 기준점으로 놓고 지금까지 주가가 얼마나 움직였는지를 비교해볼게요.

 

 

■ KODEX200, RISE위커 주가 변화율 비교

 

 

 . 3월 6일을 시작점으로 주가가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비교해보면, 8월 14일 기준으로 KODEX 200은 0.29%의 수익인 반면, RISE 위커는 4.25% 손실인걸 알 수 있어요. 이렇게 차이가 발생한 원인은요.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주가 >

 

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7월 29일, 30일 사이의 이상한 가격 움직임 때문이에요. 29일날 종가가 10345원이었고, 30일은 전일 대비 65원이 하락했다면 30일의 종가가 10345원에서 65원을 뺀 10280원이 되어야 하는데 그보다 105원이나 더 빠진 10175원이 종가로 되어 있어요. 7월 분배금이 106원인데 그에 해당되는만큼 배당락이 발생해서 그래요. 이건 커버드콜 종목이라서 그런게 아니라 월배당을 지급하는 종목은 모두 그런걸로 확인이 돼요.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주가 >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

 

리츠 ETF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주가도 29일 대비 35원이 오른 30일의 종가는 4775가 되어야 하지만 10원이 빠진 4765원이고, SCHD와 동일 지수를 추종하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도 30일 종가는 29일 대비 60원이 빠진 12165원보다 40원이 더 빠진 12125원으로 되어 있어요.

커버드콜의 프리미엄 매도 비용이, 리츠의 월 임대료가, 배당주의 배당은 주가와 별개로 발생한 수입이므로 주가에서 배당락을 발생시키면 안될거 같은데,... 이런 현상이 잘 이해가 안되네요.

 

아무튼, 본론으로 돌아와서 주가 흐름만 비교하면 KODEX 대비 4%나 마이너스인게 확인이 돼요. 그렇지만 매월 주가의 1%에 해당하는 배당금을 다섯번 받았기 때문에 -4.25에 5를 더하면 대충 0.75%라는 값이 나와서 KODEX 200 대비 나빠 보이진 않아요.

 

 

■ RISE위커의 배당금을 모두 재투자했다면

 

 

 . RISE 위커로 매월 받은 배당금을 재투자하게 되면 결과는 뒤집혀요. KODEX 200은 0.25% 였던 반면, RISE 위커는 0.81%로 오히려 KODEX 200보다 0.5% 이상 좋은 성적을 거둔 걸로 나와요.

 

 

■ 배당 재투자를 했을 때와 안 했을 때

 

 

 . 배당금을 재투자했을 때는 0.81%, 재투자를 안했을 때는 -4.25% 라는 주가 수익률 차이가 발생해요. 그러나 배당금을 재투자 안했을 때는 5번의 배당금을 다른 쪽으로 활용이 가능하겠죠.

 

 


 

커버드콜의 특징이 월 단위로 높은 분배금을 지급하는 종목이다보니 분배금(=배당금) 위주로 KODEX 200과 주가를 비교해봤어요. 보는 관점에 따라서 '생각보다 괜찮구나!'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고 '역시 별로야!'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어요. 어디까지나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달라지겠죠.

 

개인적인 생각으론, 장기적으로 우상향 하는 미국 증시에는 커버드콜이 적합하지 않지만, 우리나라 증시처럼 횡보하는 시장에선 커버드콜도 한 가지 선택지가 될 수 있을거 같단 생각을 해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월배당에 입문하게 한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고 해요.

 

켈리 라이트의 "절대로! 배당은 거짓말하지 않는다" 라는 책과 이 책의 내용을 보완한 피트 황의 "똑똑한 배당주 투자" 라는 책을 보면, 배당수익률을 활용한 투자 방법이 제시되고 있어요.

PER, PSR, PBR, ROE 등의 지표를 활용하여 주식 매매를 하듯이 배당수익률을 하나의 지표로 활용하는 방법을 다룬 책들이에요.

배당을 한 번 지급하기 시작하면 배당금을 늘렸을 때보다 줄였을 때 주가에 더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급적 배당성향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한데 특히 오랜 기간 배당을 지급한 회사들일수록 더욱 그렇다. 그래서 이런 회사들을 대상으로 배당수익률을 활용한 매매가 가능한데, 배당수익률이 높을 때 주식을 사고, 배당수익률이 낮아졌을 때 주식을 팔면 된다. 가 대략적인 내용이에요. 배당금을 받는 투자를 하라는 책이라기보단 배당수익률을 매매 지표로 활용하라는 책들이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읽어보세요.

아무튼, 이 책들에서 다뤄진 내용을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에 적용해보고자 해요.

 


 

■ 배당금 지급 내역

< 표1.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 역대 배당금지급내역 >

 

위의 표는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의 역대 분배금 지급 내역을 표로 정리한거에요.

2020년엔 총 240원의 분배금을 지급했고, 2021년엔 전년보다 25%증가한 300원을 지급했고, 2022년엔 전년보다 1.67% 증가한 305원을 지급했고, 2023년엔 전년보다 1.97% 증가한 311원을 지급했어요.

매년 배당금이 조금씩 증가해온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그리고 위에서 소개한 책들과 마찬가지로 앞으로도 배당금이 줄지는 않는다는걸 전제로 해요.

 

 

■ 배당금과 주가의 관계

< 표2. 배당금과 주가의 관계 >

 

위의 그래프는 주가와 배당금을 함께 표시한 그래프에요. 2021년도의 주가엔 2020년의 총 배당금을 노란색 막대로 표시했고, 2022년의 주가 그래프엔 2021년의 배당금을 막대로 표시했어요. 마찬가지로 2023년, 2024년의 주가 밑에 각각 전년도의 배당금을 막대로 표시했어요. 적어도 올해에 작년만큼의 배당금은 주겠지! 란 의미로 그린 그래프에요. 작게나마 배당금은 매년 조금씩 오르고 있는데, 주가는 배당금과 비례하긴커녕 오히려 많이 떨어진 것을 알 수 있어요.

 

 

< 표3. 주가와 배당수익률 >

 

배당금은 올랐는데 주가는 떨어졌다보니 마치 데칼코마니처럼 주가와 배당수익률이 완전 반비례로 움직이고 있다는게 확인돼요.

 

또한 2021년엔 배당수익률이 4~5%로 움직였는데, 2022년엔 배당수익률이 4.5~7%, 2023년엔 6~7.5%, 2024년엔 6.5~7%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어서 이 종목의 배당수익률은 어느 밴드 안에서 움직인다고 딱 정의할 수가 없어요. 2021년 기준으로 배당수익률이 높았던 5%에서 매수를 했는데, 2022년에 주가가 폭락하면서 배당수익률이 7%까지 올라서 손실이 되고, 2023년에 7%에서 매수했는데 7.5%까지 또 오르면서 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에요. 즉, 배당수익률의 고점과 저점이 해마다 바뀌고 있어서 기준으로 삼을 수가 없어요.

 

 

■ 배당수익률과 기준금리의 관계

 

< 표4. 배당수익률과 기준금리 >

 

그래서 위에서 언급했던 피트황님의 "똑똑한 배당주 투자"라는 책에서 소개된 것처럼 기준금리를 차트에 빨간색으로 더해봤어요. 주가와 배당수익률간의 반비례 관계만큼 배당수익률과 기준금리 간의 관계도 비교적 뚜렷해보여요. 기준금리가 오르면 배당수익률도 오르면서 두 수치간의 간격이 일정한 것처럼 보여요.

 

 

< 표5. 배당수익률에서 기준금리를 뺀 차트 >

 

그래서 배당수익률에서 기준금리를 뺀 값과 주가를 비교한 그래프를 그려봤어요.

2021년엔 배당수익률이 4~5% 밴드에 있었고, 2022년엔 4.5~7%, 2023년엔 6~7.5%, 2024년엔 6.5~7% 구간에 밴드를 형성했었고, 주가는 4000원에서 6000원까지 움직였고, 배당금도 240원에서 311원까지 움직였지만, 모든 기간을 통틀어서 배당수익률에서 기준금리를 뺀 값은 늘 3~4%로 비교적 좁은 밴드 안에서 움직이고 있어요.

 

 

■ 배당수익률-기준금리의 밴드 구간 매매 (3~4%)

 

< 표6. 표5의 Y축 확대 & Median값 추가 >

 

위의 <표5>의 배당수익률에서 기준금리를 뺀 값의 Y축 값을 확대한 그래프에 중앙선을 그어봤어요. 중앙 값(median값)은 3.39%에요. 이를 역산해보면, 현재 기준금리가 3.5%이니 배당수익률이 6.89%가 되는 값이고, 배당금이 311원(2023년의 배당금)인데 배당수익률이 6.89%이므로 주가는 4514원이라는 값이 나와요. 즉, 현재의 기준금리에서 4515원보다 주가가 높으면 기대 배당수익률 대비 주가가 더 올랐다는 거고, 4515원보다 낮으면 기대 배당수익률 대비 주가가 떨어졌다는 의미가 돼요. 

 

 

< 표7. 위험수익률 밴드구간 표시 >

 

<표6>에 위쪽 저항선과 아래쪽 지지선을 대략 표시해본 그래프에요. 배당수익률 - 기준금리 그래프에서 지지와 저항을 대략적으로 그려보면 위에서 노란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되겠고, 아래에 있는 노란선에 가까워질수록 주식을 팔 때, 위에 있는 노란선에 가까워질수록 주식을 살 때라고 할 수 있어요. 현재의 위치는 중앙값 대비 아래에 위치해 있으므로 살 때보다는 팔 때에 가까운 위치라고 할 수 있겠네요.

 

기준금리 하락 → 배당수익률 하락 → 배당금은 동일 (or 증가) → 주가 상승

간략하게 이렇게 표현할 수 있겠고, 여기서 핵심은 배당금은 전년과 동일하거나 증가해야 한다는거에요. 그래서 이 글을 시작하면서 배당금이 줄어들지 않는다는걸 전제로 했고, 앞에서 소개한 두 책도 배당금 역사가 오래됐으면서도 배당삭감 이력이 없었던 종목을 대상으로 해요.


 

제가 애장하는 종목에 대해서 저 스스로도 공부를 하면서 글을 써봤는데요,

위에서 언급했듯이 배당수익률에서 기준금리를 뺀 값이 밴드의 상단에 왔을 땐 주식을 살 때가 맞지만, 하단에 왔을 때는 주식을 매도하기보단 매수를 쉬는 타이밍으로 삼아서 수량을 늘려가는 투자를 하는게 어떨까 싶어요.

개인적인 생각을 줄줄이 써봤는데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