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배당성장형 ETF로 인기가 많은 SCHD의 한국버전인, 미국배당다우존스가 국내에 증권사별로 상장이 되어 있는데요,

그 중 상장한지 만 1년이 안된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는 제외하고 ACE, SOL,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의 2024년 성적을 배당수익률 관점으로 비교해보고자 해요.

 

 


■ 주가 비교

  • 3 종목의 2024년 주가를 비교해보면, 마치 한 종목을 조회한 것처럼 포개어져 있으니, 3 종목 모두 주가 변동률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 2024년 월별 배당금, 배당수익률, 기준주가, 비용

  • 2024년 TIGER는 월별로 28~48원, ACE는 0~68원, SOL은 24~46원의 배당금을 지급했으며,
  • 배당수익률로는 TIGER 0.244~0.365%, ACE 0~0.512%, SOL 0.228~0.381% 의 차이가 있었구요,
  • 비용은 TIGER 0.126~0.188%, ACE 0.155~0.199%, SOL 0.151~0.224%의 차이가 있어요.
  • 이 중 특이사항으로 ACE는 24년 8월에 배당금이 0원이었던 적이 있는데요, ACE가 지급기준일을 매월 말일에서 15일로 옮겼어요. 그러면서 8월에는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고, 9월에 8월 한달치와 9월 보름치에 해당하는 배당금을 지급했어요.

 

■ 배당수익률 비교

 

  • 위의 표와 그래프는 배당수익률만 따로 본거에요.
  • 특이사항으로 SOL과 TIGER는 배당수익률이 대체로 동일한데, 파란색의 ACE만 중간 중간 툭 튀어나오고, 또 쏙 들어간 부분이 있어요. 핑크색 화살표는 위에서 언급한 분배금 지급기준일 변경으로 인한 공백이구요.
  • 중간중간 ACE가 툭 튀어나온 부분이 있어서 ACE가 가장 우수한 성적일거 같지만, 막상 연평균 배당수익률을 비교해보면, ACE 0.313%, TIGER 0.307%, SOL 0.303%로 크게 차이가 없어요.
  • ACE와 SOL의 월평균 차이는 0.01%로 12를 곱해서 1년치를 비교해봐도, ACE와 SOL의 차이는 0.12% 차이에요.

 

■ 총 비용 비교

  • 2024년 12월 비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아서, 11월까지만 비교했어요.
  • 비용은 1월만해도 TIGER 0.126%, ACE 0.194%, SOL 0.224%로 차이가 좀 있었는데요, 7월부턴 TIGER와 ACE/SOL간의 비용 차이가 약 0.15% 수준으로 줄어들었어요.
  • 0.15%라고 하지만 이는 연환산 기준이기 때문에 월별로는 0.012%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정도에요.

 

■ 순수익률 (배당수익률에서 비용을 제외한 값)

  • 매월 배당수익률에서 매월 비용을 12로 나눈 값을 뺀 실제 수익률이에요.
  • 이 그래프도 SOL과 TIGER는 거의 동일한데 반해, ACE만 들쑥 날쑥한데요, 그래서 ACE가 더 좋아보일 수도 있고, 또는 더 나빠보일 수도 있는데요, 막상 평균을 비교해보면 ACE 0.298%, TIGER 0.294%, SOL 0.287% 차이로 차이가 미미해요.
  • 가장 차이가 큰 ACE와 SOL을 비교해보면, 월별 0.011% 차이로 연으로 환산하면 약 0.12% 차이 정도가 나겠네요.

 

■ 결론

  •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따르면, ACE / SOL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는 주가와 배당수익률에서 큰 차이가 없는걸로 확인됐어요. 오늘 다루지는 않았지만,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또한 별반 차이가 없을거 같아요.
  • 단, 차이가 있다면 ACE와 KODEX는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반면, SOL과 TIGER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한다는 차이가 있어요.
  • 따라서, 4 종목 중 어느 종목을 투자하든 수익률에선 크게 차이가 없으므로 꾸준히 적립식 투자를 하면 좋을거 같구요.
  • 좀 더 잦은 매매를 좋아하신다면, 15일 종목과 말일 종목을 한개씩 보유해서 15일 종목에서 나온 배당금으로 말일 종목을 사고, 말일 종목에서 나온 배당금으로 15일 종목을 사서 보름 단위로 배당금 재투자를 하는 방법도 있겠구요.
  • 위에서 언급한 종목은 모두 달러 영향을 받는 언헷지 종목이므로, 현재의 달러 수준이 높아서 조만간 하락할지도 모른다고 판단되신다면, 달러 헷지 종목인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투자도 고려해보실 수 있겠어요. 

  • 위 그래프는 이전 글에서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의 수익률과 달러 영향을 비교했던 그래프인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하세요.

 

https://fortune7.tistory.com/entry/%ED%95%9C%EA%B5%AD%ED%8C%90-SCHD-%EB%AF%B8%EA%B5%AD%EB%B0%B0%EB%8B%B9%EB%8B%A4%EC%9A%B0%EC%A1%B4%EC%8A%A4%EC%9D%98-%EB%8B%AC%EB%9F%AC-%EC%98%81%ED%96%A5%EC%84%B1-%EB%B9%84%EA%B5%90

 

한국판 SCHD "미국배당다우존스"의 달러 영향성 비교

안녕하세요.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어 1430원대에 있으며, 외국계 증권사 중에선 원달러 환율이 1500원까지 갈 가능성이 있다는 예측을 내놓기도 했어요. 현재의 1400원대 원달러 환율도

bluegosari.com

 


 

 

미국 주식 관련 유튜브 영상을 보다보면, "매월 OO만원씩 적립하면 노후에 OO만원씩 받는다" 라는 영상에서 주로 다루는 SCHD인 한국판 SCHD 미국배당다우존스에 대해서 다뤄봤는데요. 증권사별로 우열을 가릴 수는 없으니, 아무거나 꾸준하게 적립하는게 최선의 길인거 같아요.

 

 

※ 절대 투자 권유 목적으로 작성한 글이 아니니 투자에 참고만 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 상장된 월배당 ETF의 2024년 12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어요.

그 중 제가 관심을 두고 있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에 대해서 몇 가지 정보를 업데이트 했어요.

 

이전에도 몇 차례 해당 종목에 대해서 다뤘었기 때문에, 종목 소개 같은 글은 반복하지 않을게요.

 


■ 최근 주가 동향

 

  • 최근 주가흐름은 매우 나쁘죠. 국내 상장된 리츠주들이 11, 12월에 유상증자가 몰려있었던 점, 부동산 매입시 오버페이로 인한 모럴해저드 이슈 등으로 주가 상황은 아주 나쁜 상태에요. 

■ 역대 배당금 지급내역

  • 2020년 첫 배당을 시작한 이후로 총 배당금이 2020년엔 240원, 2021년 300원, 2022년 305원, 2023년 311원, 2024년 335원으로 매년 배당금이 조금씩 성장해왔어요.
  • 그래서 지금까지 조금씩이나마 배당을 성장시켜왔으니, "내년에도 최소한 올해만큼은 주겠지"란 가정을 할 수가 있어요. "2025년에도 최소 335원의 배당은 주겠지"라고 가정할 수가 있어요.
  • 그러면 12월 27일 종가 4095원 대비 연 335원의 배당금은 약 8.2%가 돼요.
  • 이런 가정을 통해 만들어진게 아래 차트에요.

■ 배당수익률 그래프

 

  • 파란색은 주가이고, 빨간색은 배당수익률에서 기준금리를 뺀 값이에요. 여기서 배당수익률은 전년도의 배당금을 당일의 주가로 나눈 값이구요. 기준금리는 한국은행 기준금리에요.
  • 빨간색 선이 상승할수록 배당수익 대비 주가가 빠지고 있는걸 의미하고, 빨간색 선이 하락할수록 배당수익 대비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걸 의미해요.
  • 이 선이 2021년초부터 2024년 10월까진 3~4% 구간 내에서 움직여 왔는데요, 11월부터 상단인 4%를 이탈하여 5% 가까이 치솟은 상태에요. 
  • 역대급 저평가 구간인지, 아니면 각종 악재들로 이 정도의 배당수익률론 메리트가 없는건지, 그건 시간이 지나봐야 알 수 있겠죠.
  • 단순히 배당금과 기준금리, 주가만 보면 투자하기에 좋은 구간에 있긴 해요. 결국 판단은 각자의 몫이죠.

 


 

아무쪼록 국내에도 미국의 리얼티인컴처럼 수십년간 안정적으로 배당을 성장시켜주는 리츠주가 있으면 좋겠고, 그게 국내 부동산 ETF들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어 1430원대에 있으며, 외국계 증권사 중에선 원달러 환율이 1500원까지 갈 가능성이 있다는 예측을 내놓기도 했어요. 현재의 1400원대 원달러 환율도 역사적으로 몇 번 없던 일로 가장 최근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때라고 하네요.

 

그래서 오늘은 국내 인기 ETF인 한국판 슈드(SCHD)라고 불리우는 "미국배당다우존스" 종목의 원달러 환율에 따른 주가 영향성을 확인해봤는데요, 대상 종목은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에요. 

 


■ 종목 소개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의 최근 1년간 배당금 지급내역과 그에 따른 배당수익률, 평균비용, 연수익률 등을 비교한 표에요.
  • 두 종목의 차이는 종목명 뒤에 "(H)"가 있고 없고의 차이로 H가 있는건 "헷지", 없는건 "언헷지" 종목이에요. 여기서 "헷지"는 달러 영향성을 배제한 것을 의미하고, "언헷지"는 달러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해요. 즉 "헷지"는 달러가 변하든 말든 상관없이 타겟으로 하는 지수만 추종하는거구요, "언헷지"는 지수 영향성에 더해서 달러 영향까지 받는 걸 의미해요. 
  • 두 종목의 월평균 배당수익률은 0.310%와 0.307%로 거의 차이가 없으며, 연평균 수익률에서 비용을 제외한 순수익률은 3.53%와 3.43%로 0.1%의 차이가 있는 정도로 배당수익률에선 대체적으로 별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겠네요.

 

 

  • 그런데 두 종목의 주가를 보면 차이가 보이는데요, 23년 12월에 "UH"는 9720원, "H"는 10665원으로 "H"가 무려 1000원 가까이 더 비쌌었는데요, 24년 11월 주가를 보면 "UH"는 12085원, "H"는 12050원으로 "UH"가 오히려 더 비싸졌어요. 배당수익률은 0.1%의 차이 정도 밖에 없었으나, 주가수익률은 "UH" 24%, "H" 13%로 "UH"가 무려 9%나 더 많이 상승했어요.

 

■ 단순 주가 비교 

23년 11월 1일 ~ 24년 12월 13일

  • 23년 11월 1일엔 분명 주황색 선이 더 높은 위치에 있었는데요, 가장 최근의 주가를 보면 파란색 선이 더 높은 위치에 있어요. 좀 더 정확히 비교를 하기 위해서 11월 1일을 기준으로 매일매일 주가수익률이 어떻게 변했는지 수익률로 비교를 해봤어요.

 

■ 주가 수익률 비교

  • 출발점을 같게 해놓고 보니 둘의 차이가 좀 더 명확하게 보이죠. 11월1일날 두 종목을 동일한 금액만큼 매수를 했다면, UH는 최종 31.71%의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H는 21.53%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둘의 차이는 약 10%나 되네요.

 

■ 주가수익률과 달러 영향성 비교

  • 동일한 기간 동안 달러를 표시해봤는데요, 24-10-01 부분에서 원달러 환율이 급격히 오르는 부분이 있는데 이때 파란색 선과 주황색 선의 격차가 커지는게 확인되네요.
  • 그래서 달러 움직임을 좀 구분해서 주가와 비교를 해봤어요.

 

  • 달러의 추세를 오를 땐 핑크색, 횡보할 땐 연두색, 하락할 땐 파란색으로 표시를 해봤는데요,
  • 첫번째 핑크색 구간부터 살펴보면, (핑크색구간) 밑에 있던 파란색 선이 주황색 선을 따라잡고, (연두색구간) 격차가 벌어지지 않은 채 횡보, (핑크색구간) 다시 밑에 있던 파란색이 주황색보다 더 올랐다가 떨어질 땐 덜 떨어짐, (파란색구간) 이땐 밑에 있던 주황색이 파란색을 따라잡음, (핑크색구간) 파란색과 주황색의 격차가 벌어짐
  • 즉, 달러가 오르면 H 대비 UH가 더 크게 오르고, 덜 떨어지고, 달러가 떨어지면 UH가 덜 오르고, 더 크게 떨어진다고 요약할 수가 있겠네요.

 

■ 언헷지에서 달러 영향성을 제거하면

  • UH 에서 달러 영향성을 배제하고 주가수익률을 다시 비교를 해보면, 대체적으로 비슷한 모습이긴한데요, 그런데 24-08-01 부터 일정한 격차가 발생해서 그 격차가 유지되고 있다는건, H 종목이 지수 움직임을 온전히 다 반영하지 못한다? 고 봐야할까요. 

 

■ 결론

  • 달러가 강할 땐 UH 종목이 유리, 더 오르고 덜 떨어지므로. 반대로 달러가 약할 땐 H 종목이 유리, 마찬가지로 더 오르고 덜 떨어지므로.
  • 현재의 원달러 환율이 역사적으로 몇 번 없었던 고환율의 시기이며, 앞으로 달러가 오르기보단 떨어질 확률이 높다고 판단되면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 달러가 더 오른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그런거 고려하지 않고 묵묵히 투자를 이어나가겠다고 하면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이렇게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헷지 종목과 언헷지 종목으로 달러 영향에 따른 주가 변화를 비교해봤어요.

달러 움직임을 아주 디테일하게 쫓진 않더라도 자기 나름의 적당한 기준선을 두고 그 보다 높을 땐 헷지 종목에 그 보다 낮을 땐 언헷지 종목에 투자하는 방식을 사용하는게 어떨까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8월에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종목에 대해서 코스피 지수를 얼마나 잘 쫓아가는지 정리했었는데요,

최근 코스피의 변동성이 심해지기도 했고, 또한 이 종목의 월 분배금이 10월부터 상향되어서 다시 한 번 정리해봤어요.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주가와 배당금 지급 내역

 

  • 9월까지는 매월 배당금이 100~106원 정도 입금되며, 주가 대비 배당률은 월 1.2% 가량 됐었어요.
  • 그런데 10월에 갑자기 배당금이 140원까지 올라가면서 10월 140원, 11월 142원, 12원 134원을 지급하면서 주가 대비 배당률이 약 1.5%까지 올라갔어요.
  • 그러면 많은 사람들이 커버드콜에 대해 우려하는 "제 살 깎아먹기 배당"이 이뤄진건지 코스피 지수와 해당 종목의 주가를 비교해봤어요.

 

■ KODEX 200과 RISE 200위커 주가 비교

  • KODEX 200과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주가를 한 페이지에 합쳐놓은 그래프에요. 좌측의 시작지점은 초록색의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위치가 더 높았는데, 가장 오른쪽의 최근 주가는 초록색이 오히려 더 낮은 곳에 위치해 있어요. 막연히 KODEX 200 대비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주가가 더 떨어졌다는 걸 알 수 있어요.

 

  • KODEX 200과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시작점을 맞춰놓고, 지난 금요일까지의 주가 변화율을 비교한 그래프에요. 3월초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상장시점) 이후 KODEX 200은 10.01%가 하락한데 반해, RISE는 16.07%나 하락한 것을 알 수 있어요. 여기서 RISE의 배당금은 반영되지 않은 수치에요.
  • RISE의 배당금을 재투자 하지 않은 상황으로, 12월까지 RISE로 수령한 배당금은 총 1040원으로 이는 시작지점 주가 대비 10.28%에 해당하는 수치에요. 
  • 따라서, 최종 KODEX200은 10.01% 하락, RISE의 주가는 16.07% 하락, RISE의 배당금 반영 시 5.79% 하락으로 RISE가 약 4.22% 우세한 걸로 확인이 돼요.

 

  • RISE의 배당금을 매월 받자마자 재투자를 했을 때의 주가 변화율을 비교한 그래프에요.
  • 이 때 KODEX 200은 10.01% 하락,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은 6.57% 하락으로 RISE가 3.44% 우세한 걸로 확인이 돼요.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배당금을 재투자 했을 때와 재투자를 하지 않았을 때의 주가 비교 그래프에요. 배당금을 재투자 했을 경우엔 주가에 영향을 주지만, 재투자를 하지 않았을 땐 주가에 영향이 없으므로 재투자 했을 때 -6.57%,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 -16.07%로 주가 차이가 발생하지만, 주가가 아닌 수익률 측면에서 재투자 했을 때 -6.57%,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 -5.79%로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가 오히려 0.78% 유리했어요.
  • 우상향 하는 그래프에선 배당재투자가 수익률을 극대화하지만, 오히려 하락하는 장에선 수익률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걸 새삼 깨닫게 되는 데이타네요.

 

■ 결론

  • 단순히 주가만 비교했을 때 KODEX200이 RISE200위클리커버드콜 대비 6.06% 주가 우위
  • 재투자 하지 않은 배당금을 반영했을 때 KODEX 200이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대비 4.22% 수익률 열위
  • 배당금을 지속 재투자 했을 때 KODEX 200이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대비 3.44% 수익률 열위
  • 배당금을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와 재투자 했을 때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 0.78% 수익률 우위

 


 

배당금을 제외하면 커버드콜의 주가가 추종하는 지수 대비 더 떨어지는 것은 맞아요. 이 차이는 매월 발생하는 배당락에 의한 것으로 배당락은 커버드콜 뿐만 아니라 리츠에서도 있고, 많은 분들이 선호하는 미국배당다우존스에서도 배당락은 존재해요. 커버드콜이 더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그 차이가 더 도드라져 보일 수 있죠. 그렇지만 제 살 깎아먹는 배당이란건 좀 옛날 얘기가 아닌가 싶네요.

특성을 잘 이해하고 투자를 한다면, 분명 누군가에겐 유용한 종목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