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5년 8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어요.
8월 27일까지 주식을 매수했을 경우, 9월 둘째 영업일인 9월 2일에 분배금이 입금 예정이에요.
그럼 아래에서 2025년 8월 분배수익률 순위와 유형별, 종목별 분배금 확정 내역을 공유할게요.
개요
■ 표 설명
■ 분배금 수익률 순위
■ 유형별 분배 수익률, 주가, 비용 정리
. 주식형
. 채권형
. 커버드콜
. 리츠 & 혼합
※ 결론
■ 표 설명
- 분배금 : 1주당 분배금
- 가격 : 분배락이 발생하기 전날 가격
- 수익률 : 매월 분배금을 가격으로 나눈 값
- 비용 : 연환산 시 값으로 위의 값을 예로 들면 24년 6월 비용인 0.155%는 6월엔 연 0.155%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용이 발생했다는 의미로, 실제로는 0.155%의 1/12 정도의 비용 발생. 매월 10일 경 지난 달의 비용이 발표됨
- 월평균수익률 : 월단위 수익률의 평균값으로 1년이 넘은 종목은 24년9월부터 25년8월까지의 배당수익률을 12로 나눈 값
- 연수익률 : (월평균수익률 x 12) - 비용
■ 분배금 수익률 순위
국내 상장된 월배당ETF 전체 종목에 대해서 연수익률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했어요. 이번달 총 종목 수는 118개인데요, 그 중 이제 막 상장을 해서 아직 배당을 하지 않은 종목이 4개를 제외하면 총 1위부터 114위까지 있어요.
- 연 배당수익률 1위 종목은 이번달에도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이에요. 채권이 혼합된 종목임에도 불구하고 월평균 2.13%, 연평균 25%의 배당을 하고 있는데요, 주가 변동이 없다면 4년이면 투자 원금을 모두 회수할 수 있을 정도의 배당수익률이에요.
- 1 위부터 34위까지는 모두 커버드콜 종목들이 차지했어요.
- 이번달에도 커버드콜이 아닌 종목 중에서 배당수익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이며, 연배당수익률은 9.039%에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7.85%로 표기되어 있지만, 이전에 들쭉날쭉한 배당을 하다가 올해 3월부터 꾸준히 33원씩을 배당하고 있는데요, 33원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KODEX와 마찬가지로 9%의 연배당수익률이에요.
- 74 위에 있는 SOL 국제금커버드콜액티브는 금에 투자하면서 커버드콜로 인컴도 노리는 종목인데요, 배당수익률은 3.5% 정도 나오고 있어요.
- KODEX 미국10년국채액티브(H), KODEX 미국S&P500변동성확대시커버드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10채권혼합액티브 이렇게 4 종목은 이제 막 상장을 해서 아직 배당금을 한 번도 지급하지 않은 종목들이에요.
■ 유형별 분배수익률, 주가, 비용 총정리
□ 주식형
-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종목들은 월중배당 종목들로 8월 19일에 이미 8월달 배당금을 지급한 종목들이며, 해당 종목들의 주가는 8월 27일 기준이 아니라 8월 12일 기준 가격이에요.
- OOO미국배당다우존스 중에는 ACE 미국배당다우존스의 배당수익률이 3.6%로 가장 높은데요, ACE는 특히 3, 6, 9, 12월에 다른 달 대비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으므로 9월엔 다른 증권사들과 수익률 차이가 아주 조금 더 벌어지지 않을까 예측해 봅니다.
- 최근 미국 주식시장 흐름이 상승세를 타면서 미국 관련 종목들은 배당수익률 뿐만 아니라 주가 상승으로 인한 주가수익률도 플러스를 기록 중이에요.
-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에 집중 투자하는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는 지난달 대비 주가가 떨어졌고, KODEX 대만테크고배당다우존스 또한 지난달 대비 주가가 하락을 했어요.
- 한국증시도 최근 박스권에 갇히면서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액티브, KODEX 고배당주, PLUS 고배당주 모두 주가가 하락하여, 배당수익률을 주가수익률이 까먹는 모양이 됐어요.
- ACE 코리아밸류업은 아무래도 월배당이라기보단 분기배당 종목인거 같네요. 4월, 7월에 배당을 지급했고, 그 외에는 배당금 지급이 없어요. 확인해보고 관리 리스트에서 제외하던지 해야겠어요.
- 밸류업 종목 중에는 PLUS 코리아밸류업의 배당률이 2.7%로 가장 높아요
□ 채권형
- 최근 미국 10년물 국채를 추종하는 종목이 ACE와 KODEX에서 상장을 했는데요, ACE는 이번달에 첫 배당금을 지급했는데요, 이 종목이 7월 22일에 상장을 했으므로 약 10일치의 배당금이 더 포함되어 있다고 하면, 실제론 3.787%가 아니라 약 3% 정도의 배당수익률이 될거 같아요.
□ 커버드콜
- 커버드콜 종목들은 작게나마 S&P500 관련 종목은 주가가 지난달 대비 상승을 했고, 나스닥 관련 종목은 지난달 대비 주가가 하락한걸로 보여요.
- 커버드콜 종목은 반드시 높은 배당수익률에 현혹되지 마시고, 주가와 배당을 함께 봐야 해요. 특히 추종하는 지수는 올랐는데 커버드콜은 떨어진 종목이라면 일단 거르는 편이 안전할거 같아요.
- 위에 있는 종목들 중에는 RISE 미국배당100데일리고정커버드콜 종목이 배당수익률도 높고, 6~8월 주가도 상승했어요.
- KODEX 미국S&P500변동성확대시커버드콜이라는 종목이 8월 12일에 상장을 했는데요, 기존에 있는 다른 커버드콜 종목들은 어느 정도 주가에 연동해서 배당률이 일정한 편이었다면, 이 종목은 시장 상황이 어떠냐에 따라서 커버드콜의 비중이 조절되므로 배당수익률이 일정하지 않을걸로 예상이 돼요.
- 코스피가 박스권에서 움직이고 있는데요, 그 와중에 TIGER 200커버드콜은 주가가 조금이나마 상승한 반면,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은 지난달 대비 주가가 하락하면서 차이를 보이네요. 일단 배당수익률에서 10%나 차이가 나다보니, 주가 움직임에서도 차이가 날 수 밖에요.
□ 리츠 & 혼합
- 위에서도 한 번 언급했지만,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경우 25년 2월까지는 매월 일정하지 않은 배당금을 지급했고, 25년 3월부터 매월 33원의 고른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어요. 따라서 이전에 일정치 않았던 배당금으로 인해 배당수익률이 왜곡이 되어 있는 상태이며, 매월 33원의 배당금을 지급하는 현재 상태에서의 배당수익률은 약 9.2% 수준으로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보다 높아요.
-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는 6.5%의 연배당에 주가 움직임도 안정된 편이라 안정된 상태에서 꾸준히 배당금만 챙기고 싶다면 이 종목도 선택 옵션이 될 수 있을거 같아요.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10채권혼합액티브 이 두 종목은 7월 29일에 상장한 월중 배당 종목으로 9월 17일에 배당금이 지급될텐데요, 그 때 한 달이 아닌 한 달 반에 해당하는 배당금을 지급할걸로 예상돼요.
※ 결론
- 높은 배당수익률에 현혹되지 말것!
- 배당금과 함께 주가도 살펴볼 것!
'월분배금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월배당ETF] 25년 8월 월중 분배금 (지급기준일 15일 종목) (6) | 2025.08.15 |
---|---|
[국내월배당ETF] 25년 7월 분배금 총정리 (8) | 2025.08.03 |
[국내월배당ETF] 25년 7월 월중 분배금 (지급기준일 15일 종목) (3) | 2025.07.13 |
[국내월배당ETF] 25년 6월 분배금 총정리 (3) | 2025.06.29 |
[국내월배당ETF] 25년 6월 월중 분배금 (지급기준일 15일 종목) (2)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