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다들 카드 사용하시죠?

 

어떤 카드를 쓰던지 각 카드사별로 포인트를 적립해주는데요,

그 중에서 제가 최근에 알게된 카드 포인트 활용 방법 하나를 공유하고자 해요.

 

제가 오늘 소개해드릴 방법은,

NH카드를 사용하면서 쌓인 NH포인트를 나무증권에서 현금으로 전환하여 월배당 ETF를 매수하여 월배당금을 받는 방법이에요.

 

 

NH포인트로 월배당 ETF 매수하여 월배당 받기

 

 

일단 NH카드를 사용해야 하구요, NH투자증권 앱인 나무증권 앱과 계좌가 있어야 해요.

 

자 그럼, 자세한 과정을 설명해드릴게요.

 

■ 포인트 사용방법 

 

  • 나무증권 앱 실행 후 왼쪽 밑에 三 자를 클릭해요.

 

  • 오른쪽 상단에 "고객센터" → "신청/변경" → "카드.NH멤버스" 순서로 클릭해요.

 

  • "NH멤버스" 카테고리에서 "NH포인트 현금전환 신청"을 클릭해요

 

  • 그러면 바로 "전환가능포인트" 하고 나오고, 밑에 '입금 계좌번호 선택"에서 나무증권에 개설되어 있는 계좌번호 리스트가 나오는데요, 계좌를 선택하고 "신청"을 눌러요.

 

  • 그러면 전환이 완료되었다는 화면이 나오고, "국내주식 잔고/손익"을 클릭하면 전환된 현금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저는 17022포인트를 전환해서 추정자산 17022원이 생겼어요.

 

  • 그리고 17022원으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주식을 4270원에 3주를 매수했어요.

 

  • 이렇게 매수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로 인해 9월 2일부터 배당을 받을 수 있어요. 총 3주를 매수했으므로 대략 99원의 배당금이 예상이 돼요.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배당내역 (24년 8월 ~ 25년 7월) 

제가 NH포인트를 사용하여 매수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올해 2월까지만 해도 매우 들쑥날쑥한 배당금을 지급해왔어요. 그런데 공지를 통해서 매월 33원 수준의 고른 배당금을 지급하기로 했고, 25년 3월부터 7월까지 매월 33원씩을 지급했어요. 이 글을 쓰고 있는 25년 8월 26일 종가인 4270원으로 계산하면 현재 연배당수익률은 9.27% 수준이에요. 

일반계좌에서 매수를 했기 때문에 배당소득세가 발생하겠지만, 세금이 1000원 미만일 경우는 과세 되지 않으므로 대략 196주를 모을 때까지는 일반계좌에서 매수해도 세금은 내지 않을거 같아요.

 


너무 당연하게도 카드 포인트를 위해 일부러 과소비를 하는 일은 없겠지만, 기왕 카드 사용으로 포인트가 생겼다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괜찮을거 같아서 공유해봤어요.

 

그럼 모두 현명한 소비와 투자생활 하시길 바래요~

 

 

 

 

※ 절대 카드 광고, 투자 권유 아닌 정보 공유 차원의 글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신규 월배당 ETF 2종을 상장했어요. 관련해서 정보 공유하고자 해요.

 

 


주요 상품 개요

  • 미래에셋자산운용이 7월 29일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ETF와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10채권혼합액티브 ETF를 신규 출시했어요. 기존 패시브 리츠 ETF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액티브 운용방식을 도입한 것이 핵심 특징이에요.

 

액티브 전략의 차별화 포인트

  • 새로운 ETF는 개별 리츠의 유상증자 참여 여부를 능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요. 신규자산 편입, 재무개선 상황, 시장 컨센서스 등을 종합 검토하여 긍정적 증자에는 신주인수권 교체매매나 초과청약으로 추가 이익을 실현하고, 부정적 증자에는 참여를 제한하거나 비중을 축소하는 전략을 구사할거라고 해요.

 

리츠 유상증자 이슈와 해결책

  • 현행법상 리츠는 배당가능이익의 90% 이상을 배당해야 하므로 신규 자산 편입이나 차환 자금 마련을 위해 유상증자가 불가피 한데요, 2024년 한화리츠(3,836억원), 롯데리츠(1,472억원), 신한알파리츠(1,859억원) 등 대기업 리츠들의 연이은 대규모 유상증자로 주가가 급락한 바 있어, 이를 해결할 상품에 대한 시장 니즈가 높았어요.
  • 위의 차트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주봉으로 작년 하반기 개별 리츠 종목의 대규모 유상증자로 인해 리츠 ETF 주가가 크게 하락한 모습의 차트에요. 
  •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액티브"라는 컨셉을 장착했다고 해요.

 

포트폴리오 구성의 특징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ETF는 시가총액 기준 국내 우량 리츠와 인프라 10종목에 집중 투자합해요. 기존 상품 대비 맥쿼리인프라 비중을 확대하고 해외리츠인 제이알글로벌리츠는 제외했어요. 맥쿼리인프라는 수도권 유료도로, 도시가스, 데이터센터, 항만 등 국내 대표 인프라 투자종목으로 배당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은 종목이에요.

 

시장 전망과 의미

  •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리츠 ETF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미래에셋운용의 이번 상품 출시는 리츠 ETF 시장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요. 업계에서는 기존 패시브 ETF의 유상증자 참여 의무로 인한 단기 수익률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 상품으로 평가하고 있어요.

 

수수료 및 배당정보

  • 배당지급기준일 - 기존에 상장되어 있던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채권 2 종목은 매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기 때문에 매월 초 분배금이 입금되지만, 신규 상장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10채권혼합액티브 2 종목은 지급기준일이 매월 15일이에요. 따라서 매월 중순 분배금이 입금될 예정이에요.
  • 수수료 - 네이버증권에서 조회해본 보수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0.08%,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0.06%로 "액티브"라길래 더 비쌀 줄 알았던 수수료도 오히려 더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결론

  • 장점 : "액티브" 컨셉으로 나쁜 유상증자 이슈를 피해갈 수 있을거란 기대, 기존보다 저렴한 수수료
  • 단점 : 아직 분배금 지급 이력이 없기에 확실하지 않은 분배수익률
  • 따라서, 분배수익률만 기존 종목의 8~9% 수준과 동일하다면, 기존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투자자도 이 종목으로 갈아타지 않을 이유가 없는거 같아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대표 리츠 ETF 중 하나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가 분배금 지급 방식을 변경한다는 공지를 띄웠어요.
사실 그 동안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들쭉날쭉한 분배금 때문에 리츠 ETF를 통해서 월세 받는 기분을 누리기가 좀 애매했는데요, 이번에 그 부분을 개선해서 매월 고른 분배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오늘은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그동안 분배금 지급 이력을 살펴보고, 또 다른 리츠 ETF인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PLUS K리츠와 성과를 비교해보고자 해요.

 

개요

 분배금 지급방식 변경 공지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역대 분배금 지급이력

■ 리츠ETF 3종 2024년도 분배금 지급이력 비교

■ 주가 수익률 비교

■ 배당수익률 비교

■ 주가수익률 + 배당수익률

※ 마무리 의견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분배금 지급방식 변경 공지 (출처 : TIGER ETF 홈페이지)

https://www.tigeretf.com/ko/customer/notice/view.do?listCnt=10&pageIndex=1&detailsKey=600&q=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역대 분배금 지급 이력

  • 과거 분배금 지급 이력을 보면, 이번달은 48원, 다음달은 40~45원의 분배금을 지급할 확률이 높았는데요, 갑자기 매달 33원씩 지급하기로 결정하면서, 이번달과 다음달은 왠지 손해 보는 느낌도 없지 않아 있어요.

 

  • 그런데 앞으로 계속 33원을 지급한다고 가정하면 올해 총 379원의 분배금을 지급하는게 되고, 이는 작년에 총 지급한 분배금 335원 대비 13%가 증가한 금액이 돼요. 이대로만 지급이 된다면 좋을거 같아요.

 

■ 리츠ETF 2024년도 분배금 지급이력 비교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PLUS K리츠 3 종목의 2024년 월별 분배금을 비교해봤어요. 
  • TIGER는 8원~45원까지 제일 적은 달과 많은 달이 5배 넘게 차이가 나요.
  • 반면 KODEX는 30~39원, PLUS는 40~50원으로 꽤 균등하게 지급이 된 걸 알 수 있어요.
  • TIGER 또한 KODEX나 PLUS처럼 매월 고른, 그래서 예측 가능한 분배금을 지급하겠다는 결정을 한거에요.

 

■ 리츠ETF 주가 수익률 비교

 

  • 3 종목의 최근 1년 주가 수익률을 비교를 해보면, TIGER는 6.1% 하락 > PLUS는 6.6% 하락 > KODEX는 10.2% 하락을 했어요. 주가 수익률에선 TIGER가 가장 우수했네요. 

 

■ 리츠ETF 배당 수익률 비교

  • 3 종목의 배당수익률을 비교를 해봤어요.
  • 1년 배당수익률 비교 시 TIGER는 7.23% < PLUS는 7.89% < KODEX는 8.51% 순으로 주가수익률과는 정반대 순으로 높아요. 

 

■ 주가수익률 + 배당수익률

  • 단순히 1년 동안의 주가수익률에 배당수익률을 더한 합산 수익률은 TIGER 1.13%, KODEX -1.68%, PLUS 1.29%로 PLUS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KODEX는 유일하게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어요.

 

※ 마무리 의견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3월 28일 종가는 4230원으로 위에서 언급했듯이 올해 총 379원의 분배금을 지급받게 된다면 분배금 수익률 약 8.95%로 꽤 높은데다가, 
  • 지금까지 들쭉날쭉했던 분배금을 개선해서 매월 꾸준하게 지급을 한다면, 부동산 월세 받는 효과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 반면, 작년 연말에 리츠주들이 대거 유상증자를 실시하면서 개별 리츠주는 물론 리츠 ETF까지 가격이 크게 하락을 했다는 단점도 있으니 주의할 필요는 있어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 상장된 월배당 ETF의 2024년 12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어요.

그 중 제가 관심을 두고 있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에 대해서 몇 가지 정보를 업데이트 했어요.

 

이전에도 몇 차례 해당 종목에 대해서 다뤘었기 때문에, 종목 소개 같은 글은 반복하지 않을게요.

 


■ 최근 주가 동향

 

  • 최근 주가흐름은 매우 나쁘죠. 국내 상장된 리츠주들이 11, 12월에 유상증자가 몰려있었던 점, 부동산 매입시 오버페이로 인한 모럴해저드 이슈 등으로 주가 상황은 아주 나쁜 상태에요. 

■ 역대 배당금 지급내역

  • 2020년 첫 배당을 시작한 이후로 총 배당금이 2020년엔 240원, 2021년 300원, 2022년 305원, 2023년 311원, 2024년 335원으로 매년 배당금이 조금씩 성장해왔어요.
  • 그래서 지금까지 조금씩이나마 배당을 성장시켜왔으니, "내년에도 최소한 올해만큼은 주겠지"란 가정을 할 수가 있어요. "2025년에도 최소 335원의 배당은 주겠지"라고 가정할 수가 있어요.
  • 그러면 12월 27일 종가 4095원 대비 연 335원의 배당금은 약 8.2%가 돼요.
  • 이런 가정을 통해 만들어진게 아래 차트에요.

■ 배당수익률 그래프

 

  • 파란색은 주가이고, 빨간색은 배당수익률에서 기준금리를 뺀 값이에요. 여기서 배당수익률은 전년도의 배당금을 당일의 주가로 나눈 값이구요. 기준금리는 한국은행 기준금리에요.
  • 빨간색 선이 상승할수록 배당수익 대비 주가가 빠지고 있는걸 의미하고, 빨간색 선이 하락할수록 배당수익 대비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걸 의미해요.
  • 이 선이 2021년초부터 2024년 10월까진 3~4% 구간 내에서 움직여 왔는데요, 11월부터 상단인 4%를 이탈하여 5% 가까이 치솟은 상태에요. 
  • 역대급 저평가 구간인지, 아니면 각종 악재들로 이 정도의 배당수익률론 메리트가 없는건지, 그건 시간이 지나봐야 알 수 있겠죠.
  • 단순히 배당금과 기준금리, 주가만 보면 투자하기에 좋은 구간에 있긴 해요. 결국 판단은 각자의 몫이죠.

 


 

아무쪼록 국내에도 미국의 리얼티인컴처럼 수십년간 안정적으로 배당을 성장시켜주는 리츠주가 있으면 좋겠고, 그게 국내 부동산 ETF들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