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천안에 거주하시는 분이라면 천안사랑카드를 많이들 사용하고 계실텐데요.

 

월 30만원 사용금액 까지는 8%의 캐쉬백이 적립되고,

30만원을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는 1%의 캐쉬백이 적립되고 있어요.

작년, 올해 초까지만 해도 10%씩 적립이 됐었는데, 2%가 줄어든건 좀 아쉬워요.

 

천안사랑카드로 사용할 수 있는 많은 항목들 중에서 "주유소"에 대해서 알아볼건데요,

 

오피넷에 들어가보면, 오늘의 유가는 휘발유가 전국평균 1651.44원, 충남평균이 1658.61원이고, 경유는 전국평균 1481.4원, 충남은 1487.50원으로 휘발유, 경유 모두 충남이 전국평균 대비 조금씩 비싼걸 알 수 있어요.

 

< 참고 : 싼 주유소 찾기 오피넷 (opinet.co.kr) >

 

만약 천안사랑카드로 충남평균의 가격으로 주유를 하게 된다면, 휘발유는 1658.61원 →  1525.83원 으로 리터당 132.7원의 효과를 절약하는 효과를 볼 수가 있구요, 경유는 1487.50원  →  1369.50원으로 리터당 119원을 절약하는 효과를 볼 수가 있어요.

 

그러면, 천안사랑카드가 사용 가능한 주유소 중에서도 저렴한 주유소를 찾아간다면 더욱 저렴하게 주유를 할 수 있을텐데요, 그래서 오늘 천안사랑카드 사용 가능한 주유소 목록과 해당 주유소들의 휘발유, 경유 가격을 조사해봤어요.

6월23일 오피넷에 공시된 자료를 참고했어요.

 


동남구
읍면동 주유소명 주소 휘발유 경유
동남구 광덕면 광덕셀프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풍로 240 1668 1498
동남구 광덕면 보산원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보산원로 55 1689 1499
동남구 광덕면 공원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로 225 1698 1538
동남구 광덕면 남양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풍로 987 1718 1538
동남구 구성동 대원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충절로 261  1668 1478
동남구 다가동 우리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로 895  1594 1444
동남구 다가동 동신셀프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로 907  1599 1419
동남구 다가동 미니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다가7길 18  1679 1499
동남구 동면 천안동남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동면 충절로 2720 1697 1508
동남구 목천읍 신천안스테이션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성4길 43  1613 1412
동남구 목천읍 해오름셀프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남부대로 949 1634 1454
동남구 목천읍 흑성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충절로 1175 1635 1445
동남구 목천읍 GS목천IC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남부대로 983 1649 1459
동남구 목천읍 대평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충절로 779  1658 1468
동남구 목천읍 신계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충절로 833 1677 1470
동남구 목천읍 힐링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충절로 897 1678 1498
동남구 목천읍 목천IC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남부대로 829  1698 1518
동남구 목천읍 EM톨게이트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남부대로 950 1717 1527
동남구 목천읍 목천톨게이트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충절로 952 1727 1547
동남구 병천면 송정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매봉로 244 1616 1432
동남구 병천면 매봉셀프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충절로 1532 1657 1467
동남구 병천면 신은성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매봉로 243 1760 1590
동남구 북면 북면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북면 위례성로 715 1745 1595
동남구 사직동 남산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천안천공원3길 27-10  1699 1529
동남구 삼룡동 햇님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충절로 461  1609 1417
동남구 삼룡동 삼흥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충절로 395  1638 1438
동남구 성남면 동방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5산단로 236 1649 1459
동남구 성남면 청솔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성남로 413 1658 1468
동남구 수신면 5공단셀프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5산단로 196 1639 1449
동남구 수신면 수신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수신로 290  1725 1548
동남구 수신면 상록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수신로 642 1727 1527
동남구 신방동 지에스칼텍스(주)우리네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서부대로 235  1634 1559
동남구 신방동 ㈜백마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신방남부길 87-1  1650 1480
동남구 신부동 신광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망향로 42  1615 1419
동남구 신부동 친절한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289  1675 1518
동남구 안서동 태조산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각원사길 111  1699 1529
동남구 원성동 형제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성황로 93  1779 1599
동남구 청룡동 영남문셀프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충절로 488  1607 1417
동남구 청룡동 청룡셀프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대흥로 22  1645 1445
동남구 풍세면 보성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광풍로 1333  1639 1469
동남구 풍세면 은광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풍세로 477  1664 1487
동남구 풍세면 아람주유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풍세로 161 1718 1558

 

 

서북구
읍면동 주유소명 주소 휘발유 경유
서북구 부대동 세일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천안대로 1201  1615 1438
서북구 성거읍 창선셀프주유소 ㈜케이아이랜드개발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망향로 251  1594 1392
서북구 성거읍 대아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성거길 16 1629 1439
서북구 성거읍 은성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망향로 819 1638 1423
서북구 성거읍 미래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성진로 588 1675 1495
서북구 성성동 2공단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2공단4로 34  1689 1529
서북구 성성동 지에스칼텍스(주)3공단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번영로 446  1704 1559
서북구 성정동 (주)신진에너지프라임오에스 충남 천안시 서북구 쌍용대로 269  1595 1425
서북구 성정동 굿모닝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봉정로 246  1598 1448
서북구 성정동 왕대박셀프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정9길 23-29  1598 1469
서북구 성정동 SK에너지(주) 중부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쌍용대로 215  1599 1429
서북구 성환읍 성환셀프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천안대로 1781  1598 1413
서북구 성환읍 자이안트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환1로 308 1611 1411
서북구 성환읍 가은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천안대로 1899 1617 1427
서북구 성환읍 천안성환현대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천안대로 2230 1620 1467
서북구 성환읍 평온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18길 11-124 1627 1497
서북구 성환읍 신방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신방로 41 1627 1458
서북구 성환읍 성환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연암율금로 103 1668 1478
서북구 성환읍 대성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천안대로 2021 1678 1528
서북구 성환읍 창성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환1로 201 1779 1679
서북구 신당동 주식회사 스타홀딩스 충남 천안시 서북구 천안대로 1207  1585 1395
서북구 신당동 (주)대운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천안대로 1307  1585 1395
서북구 신당동 선녀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천안대로 1394  1595 1395
서북구 쌍용동 대양셀프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충무로 166  1628 1458
서북구 업성동 태양주유소/충전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번영로 613  1898 1698
서북구 입장면 조은기름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망향로 1237 1607 1437
서북구 입장면 청룡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성진로 1400 1677 1498
서북구 입장면 도림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성진로 1123 1699 1529
서북구 직산읍 홍익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상덕로 155 1639 1479
서북구 직산읍 GS4공단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4산단3로 69  1657 1475
서북구 직산읍 북천안IC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직산로 214 1679 1495
서북구 차암동 삼원주유소 충남 천안시 서북구 4산단로 217  1699 1529

 

천안에서 제일 저렴한 곳

 

   . 휘발유 : 1585원 ( 스타홀딩스 @ 신당동, 대운주유소 @ 신당동 )

   . 경유 : 1392원 ( 창선셀프주유소 @ 성거읍 )

 

동남구에서 제일 저렴한 곳

  

   . 휘발유 : 1594원 ( 우리주유소 @ 다가동 )

   . 경유 : 1412원 ( 신천안스테이션 @ 목천읍 )

 

서북구에서 제일 저렴한 곳

 

   . 휘발유 : 1585원 ( 스타홀딩스 @ 신당동, 대운주유소 @ 신당동 )

   . 경유 : 1392원 ( 창선셀프주유소 @ 성거읍 )

 


 

천안사랑카드를 사용하여 천안에서 제일 저렴한 곳에서 주유할 경우, 휘발유는 1458.2 원에 주유하는 효과가, 경유는 1280.64원에 주유하는 효과가 있어요.

 

물론, 매월 한도인 30만원 중 잔여 한도 내에서 사용가능할 경우의 예시지만, 혜택을 전부 챙길 수 있다면, 꽤 쏠쏠한 금액인거 같으니 주변에 천안사랑카드 사용 가능한 주유소 있으면, 꼭 그곳에서 주유하세요.

 

 

※ 참고사항

  오피넷에 주유소 가격 정보가 제대로 업데이트 되지 않은 경우 가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천안사랑카드 결제 가능여부도 주유소에 전화문의 후 방문하는게 가장 안전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대출을 받아서 월배당ETF에 투자하는 얘기를 해볼까 해요.

은행들이 예대마진으로 돈 놓고 돈 먹기를 하듯이,

개인들이 대출을 받아서 부동산 임대업으로 월세를 받듯이,

대출 받아서 월배당 ETF에 투자하는 내용을 정리해봤어요.

일명 배대마진배당수익률과 대출이자의 마진을 뜻하는 용어로 만들어봤어요.

월배당 ETF도 매달 배당금을 지급하고, 대출금에 대한 이자도 매달 납부를 해야하니, 대출 이자보다 높은 배당수익이 가능하다면 충분히 가능한 투자라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서 설명을 해볼게요.

대출이자 6%로 100만원을 대출받아서 연배당수익률 10%인 월배당ETF를 매수했을 때 배당금으로 대출이자를 상환하는걸 가정하고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에요.

 


■ 첫번째. 배당금으로 대출 이자 상환하고 잔액은 원금 상환하기

 

 연배당수익률 10%인 월배당ETF를 매수하게 되면 매월 8333원의 배당금을 수령하게 돼요.

 그러면 첫 번째 달에 대출원금 100만원에 대한 이자 5000원을 배당금으로 납부하고 나면 3333원이 남는데요, 3333원은 대출 원금을 상환해요.

 

 두 번째 달에는 대출원금 996,667원에 대한 6% 이자로 5000원이 아닌 4983원이 발생하게 되고, 역시나 배당금 8333원으로 대출이자를 상환하고 남은 잔액은 원금을 상환하는데 사용해요. 그러면 이번엔 8333원에서 4983원을 제외한 3350원을 상환하게 되고 대출원금은 993,317원이 남게 돼요.

 

 

 이런 식으로 반복을 하게 되면, 184개월째가 될 때 대출원금 100만원을 모두 상환하고, 수중엔 100만원의 주식이 남아있게 돼요.

 

 

차트로 보면 위와 같이 배당금을 나타내는 회색 막대는 8,333원으로 일정하고, 이자를 상환하고 남은 잔액으로 대출원금을 지속 상환했기 때문에 대출원금을 나타낸 빨간색 실선은 우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어요. 원금이 줄어듦에 따라 대출이자를 표현한 노란색 막대 또한 지속 감소하구요.

 


■ 두번째. 배당금으로 대출 이자 상환하고 잔액은 주식 추가 매수

 

 

 마찬가지로 연배당수익률 10% 이면, 첫번째 달에는 배당금으로 8333원을 받게 돼요.

 첫째달에는 배당금 8333원으로 대출금 100만원에 대한 이자 5000원을 상환해요. 그러면 잔액 3333원이 남는데요, 첫번째 방법에선 대출원금을 상환했지만 이번엔 대출원금을 상환하지 않고, 3333원어치 주식을 더 사요. 

 

 둘째달에는 100만원이 아닌 1백만 3333원에 대한 배당금으로 8361원을 받게 되고, 첫째달에 원금을 상환하지 않았기 때문에 역시나 100만원에 대한 이자로 5000원이 발생해요. 대출이자를 상환하고 나면 3361원이 남게 되고 이 금액만큼 주식을 더 사요. 지난달보다 주식을 28원어치 더 살 수 있게 됐어요.

 

 

 이렇게 반복을 하면, 152개월째가 됐을 때 주식은 200만원어치 보유하게 됐기 때문에 대출원금 100만원을 상환하고 나면 100만원의 주식을 보유하게 돼요.

 

 

 차트로 보면, 주식 보유금을 나타내는 파란색선은 우상향하고 그에 따라 배당금(회색막대) 또한 지속 상승을 해요. 반면 대출원금(빨간선)은 원금 상환이 없기 때문에 수평선을 나타내고, 그에 따라 대출이자(노란막대) 또한 일정한 수평을 그려요.

 


■ 결론

 배당금을 받아서 대출이자를 상환하고 남은 금액으로 대출원금을 상환하여 이자를 계속 줄여나갔을 때와 대출이자를 상환하고 남은 금액으로 주식을 더 샀을 때 100만원의 대출을 다 갚고 수중에 100만원의 주식이 남아 있기까지 걸린 시간은 원금을 상환했을 때가 184개월, 주식을 더 샀을 때가 152개월로 42개월의 차이가 발생했어요. 

 

 배당수익률과 대출이자율, 즉 배대마진이 더 크면 위에서 언급한 기간이 더 짧아질거고, 배대마진이 작다면 더 길어지겠죠. 

 

 부동산 임대수익과 비교를 하자면, 레버리지를 일으켜 임대수익과 대출이자간의 마진을 버는 것과 동일한 개념이며, 공실리스크가 없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종합소득세, 재산세, 부가세 등의 세금 문제가 없다는 것 또한 장점이 될 수 있어요.

 

 반면, 연 10%의 배당수익을 꾸준히 지급하는 월배당 ETF가 있느냐는 의문이 생길 수 있는데요, 커버드콜 / 채권/ 리츠 ETF를 조합했을 때 가능할거로 예상되며, 10%가 아니라 대출이자보다만 높은 수익을 유지할 수 있다면 결국 돈 놓고 돈 먹기가 가능하다고 생각해요.

 


 

지금까지 대출을 받아서 배당수익에 투자를 하는 방법을 시뮬레이션 해봤는데요,

감당 가능한 수준에서 안전하게 대출을 활용하는 것도 현명한 투자자가 할 수 있는 선택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5월에 종합소득세 납부를 하자마자 국세청으로부터 아래와 같이 "2024년 사업용계좌 신고 안내문" 이란 우편물을 받으신 분들 있으시죠? 

 

특히 부업으로 부동산 임대업을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안내문을 받으신 분들도 계실거에요. 안내문에도 고지가 되어 있지만 2023년 부동산 임대 수입이 7천5백만원을 넘어가면 사업용 계좌를 반드시 신고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가산세까지 내야 한다고 되어 있어요.

 

안내문에도 신고방법이 설명되어 있지만, 화면을 따라가면서 신고 방법을 안내해드릴게요.

 


■ 신고방법

 

① 홈택스에 로그인을 하면 "국세증명, 사업자등록, 세금관련 신청/신고" 라는 메뉴가 있어요.

 

 

② 그러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 화면에서 "세금관련 신청/신고 공통분야"를 클릭해요.

 

 

③ "사업용, 공익법인 계좌 개설/조회"에서 "사업용, 공익법인 계좌 개설/해지' 메뉴를 클릭해요.

 

 

④ "사업자등록번호" 에서 사업자 번호를 선택해요.

 


⑤ 오른쪽 하단의 "계좌추가"를 클릭한 후 계좌정보를 입력하면 돼요.

 

 

⑥ 그러면 아래와 같이 "사업용 계좌 등록 1건을 신청하시겠습니까?"란 메세지가 뜨면서 완료 돼요.

 

 

⑦ 마지막으로 제대로 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3번의 화면으로 돌아가서 "사업용계좌 신고현황 조회"를 클릭해요.

 

⑧ 그러면 아래와 같이 사업용 계좌가 정상적으로 등록된걸 확인할 수 있어요.

 

 


 

 

그런데 이렇게 사업용계좌만 등록하면 끝나는게 아니더라구요.

아래 표를 보시면, 부동산 임대업으로 7천5백만원 이상의 매출이 있는 사람은 "복식부기 의무자" 가 돼요.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된다는 뜻이에요. ㅜㅠ

 

 

< 출처 : 국세청 >

 

 

정리하자면, 2023년 사업자 부동산임대 매출이 7천5백만원 이상이면 올해 7월 1일까지 사업용 계좌를 등록해야 하고, 해당 계좌를 통해 임대료 및 대출 이자의 입금, 출금 내역이 기록이 되어야 하며, 2024년의 소득을 신고하는 2025년 5월에는 재무제표가 작성된 복식부기로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한다고 해요.

 

다시 간편장부 대상자가 되기 위해 임대료가 줄거나 매각을 하게 되어 2024년 총 임대 매출이 7천5백만원 이하가 된다면, 2026년 종합소득세 신고시 다시 간편장부 대상자가 됩니다.

 

그리고 여기서 얘기하는 기준 소득인 7천5백만원은 대출 이자를 제외한 순이익이 아니라 대출 이자는 무시한 매출 기준입니다. 대출 이자가 이렇게 높은 시기에 대출 이자가 감안되지 않은 금액이 기준이라는게 좀....

 

 


 

 

여기까지 사업용계좌와 관련하여 제가 알고 있는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아무쪼록 늦지 않게 등록하셔서 불이익을 당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4년 5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고, 6월 둘째 영업일인 6월 4일 화요일에 분배금 지급 예정이에요.

15일 기준일인 종목 4개는 5월 17일에 이미 분배금이 지급이 되었는데요,

아래에서 각 종목별 분배금 지급 내용 확인해볼게요.

 


■ 테이블 설명

 


■ 주식형

 

* SCHD 지수를 추종하는 한국판 SCHD 3총사

 

   . 지난 달에 이어 이번달에도 SOL이 가장 높은 분배수익률인 0.378%, ACE가 가장 낮은 0.342%에요. 그래도 아직 연수익률은 ACE가 3.858%로 가장 우세해요.

   . 배당성장으로 유명한 SCHD와 동일 지수를 추종하는 종목들로 SCHD의 특징은 배당성장형 ETF로서 지금 당장의 배당수익은 크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배당금이 상승할 수 있는 개별종목들로 구성된 ETF에요.

 

 

* S&P 지수에 투자

 

   . 미국 S&P500 지수에 투자하는 종목들이에요, 월 분배금 수익률은 0.1%나 그 이하지만 최근 미국 시장이 상승함에 따라 주가가 지난달 대비 3~4%나 상승했어요. 

   . 연 1%대의 분배수익률 밖에 안되기 때문에 분배금보단 지수 투자 목적에 적합하며, 지수 투자 목적이라면 월지급식보다는 TR 종목이 적합해 보이기도 해요.

 

 

* S&P 테마에 투자

 

   . 배당귀족, 배당킹, 캐시카우, 비만치료제 등 컨셉이 있는 투자를 하기에 적합한 종목이에요.

   . 배당귀족은 25년간, 배당킹은 50년 이상 배당금을 인상해온 기업들로 구성된 ETF에요. 

   . 캐시카우는 워렌버핏이 강조한 현금흐름이 좋은 기업들로 구성된 ETF이고,

   . 글로벌비만치료제는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에 집중 투자하는 종목이에요.

 

 

* 국내 종목에 투자

   . 국내 종목에 투자하는 ETF들이에요.

   . 이 중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액티브는 월 0.5%의 높은 분배금을 지급하지만, 연 1.2%에 달하는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순수익률은 4.8% 정도 되는 종목이구요,

   .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은 국내 은행 주식 10종목으로 구성된 ETF에요.

 

 

■ 채권형

* 국내 채권

 

   . 국내 채권에 투자하는 종목들로 월 2.6~4%의 분배수익률이 가능해요.

   . 국내 채권 ETF는 거래량이 많지 않은 종목들이 많아서 투자 전 거래량 확인이 필요해요.

 

 

* 미국 채권

 

   . 미국 채권에 투자하는 ETF들로 배당수익률은 대략 3.5~4.5% 수준이에요

   . ACE미국30년국채액티브, 엔화노출액티브는 3월에 상장 후 이번에 두 번째 분배금을 지급하는데요, 두 종목 모두 0.2%대의 분배금으로 지난 달의 0.35% 에서 0.1% 넘게 하락을 했네요.

 

   

   . 하이일드액티브는 연 5~6%대의 분배수익률이 가능한 종목들이에요.

 

 

■ 커버드콜

* 미국 주식 & 채권 커버드콜

 

   . TIGER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은 이번달에도 0.996%의 분배금을 지급하며 연 환산 시 11.5%의 분배수익률이 가능해요. 2022년 10월부터 꾸준히 월 1% 가량의 분배금을 지급해오고 있어요.

   . TIGER미국배당+3%, +7%프리미엄 이 두 종목은 SCHD에 커버드콜을 합친 종목으로 SCHD의 3% 배당수익에 각각 3%와 7%의 수익이 추가된 연 6%, 10%의 배당수익이 가능한 종목이에요.

 

   . KBSTAR 미국채30년커버드콜, TIGER미국30년국채프리미엄액티브 이 두 종목은 미국의 TLTW와 비슷하거나 동일한 상품으로 채권임에도 불구하고 연 10~12%의 배당수익이 가능한 종목들이에요. 두 종목 모두 3월 대비 4월의 주가는 4~5%씩 하락했지만, 5월은 4월 대비 아주 소폭 상승했어요.

   . TIGER 미국테크10+10%프리미엄 15일이 분배금지급기준일인 종목이에요.

   . KODEX테슬라인컴프리미엄채권혼합액티브는 TSLA 아니고 TSLY 30%, 국내 채권 70%에 투자하는 종목으로 무려 연 15%의 배당 수익이 가능한 종목이에요.

 

 

* 국내 주식 커버드콜

 

   . 국내 지수에 투자하는 커버드콜 종목들이에요.

   . OTM 종목을 제외하고는 월 단위 매우 균일한 퍼센트로 분배금을 지급하고 있어요. TIGER 200커버드콜ATM 월 0.7%, KBSTAR 200위클리커버드콜은 상장 후 세 번째 분배금 지급인데 지난달과 비슷한 1% 수준, KBSTAR 200고배당커버드콜ATM 월 0.7% 수준의 분배금을 지속 지급하고 있어요.

 

 

* 4월 30일 상장된 미국 주식 커버드콜 (15일 분배금 종목)

   

   . 4월 30일에 상장된 ACE의 15% 프리미엄 3총사에요.

   . 3 종목 모두 15일이 분배지급기준일인 종목으로 4월 30일에 상장했음에도 불구하고 5월 17일에 이미 분배금을 한차례 지급을 했어요. 상장 후 15일 밖에 안됐지만, 주가 대비 0.8~9%대의 분배금을 지급하였기 때문에 6월부턴 연 15%에 달하는 월 1.2%의 분배금 지급이 기대되네요.

 

 

■ 리츠

 

   .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는 역시 들쑥날쑥한 분배금이 최대의 단점이에요. 지난달엔 40원의 분배금을 지급했으나 이번달엔 13원의 분배금을 지급하네요. 반면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는 이번에 두 번째 분배금을 지급하는데요, 지난달과 동일한 수준인 0.63%의 분배금이 지급 예정이에요. 두 종목 모두 연 7.2% 정도의 분배수익률은 아직까진 비슷해요.

   . 미국, 일본 부동산에 투자하는 종목과 KBSTAR는 리얼티인컴과 맥쿼리인프라에 비중을 두고 투자를 하는 리츠 종목으로 미국리츠는 4%, 일본은 6%, 리얼티+맥쿼리는 4.4% 정도의 분배금을 지급해요.

 

 

■ 기타

 

   . ACE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는 미국 채권 커버드콜, 러셀2000 커버드콜 등 다양한 커버드콜 종목이 섞인 종목으로 월평균 0.6% 정도의 분배금이 지급되고 있어요.

   . 또 하나의 리츠형 월분배ETF가 상장됐어요. 이번엔 분배금 지급이 없는데요, 다음달부턴 기존의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나 KODEX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대비 어느 정도 되는 분배금을 지급할지 기대되네요.

 

 


 

월분배, 월배당, 월지급 국내ETF 많네요. 많아졌어요.

분배금 지급 현황을 공유하는거다보니, 대체적으로 분배금과 분배수익률만 언급을 했어요.

그렇지만 분배수익률은 분배금이 높을 때 높아지기도 하지만, 가격이 낮아져도 수익률은 올라갈 수 있으니, "분배금" 밑에 있는 "주가"도 확인이 필요해요.

분배금, 가격, 수익률 이 3가지를 같이 확인해서 자신에게 맞는 종목을 잘 선택하시길 바래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