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내 월배당 ETF 중에서,

국내 주식을 기초 자산으로 담고 있으면서, 커버드콜 종목이 아닌 ETF를 대상으로 어떤 종목에 투자하면 좋을지 정리 좀 해봤어요.

 


 

   어떤 종목들이 있나?

  • 국내 주식을 기초 자산으로 담고 있을 것
  • 커버드콜이 아닐 것
  • 코리아 밸류업, 리츠 종목은 제외

했을 때 이렇게 7개의 종목이 있어요.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액티브, KODEX 고배당주, PLUS 고배당주, KIWOOM 고배당,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 KODEX 은행)

 

24년 10월부터 25년 9월까지 최근 1년 배당수익률만 봤을 땐 TIMEFOLIO 종목이 6.865%로 가장 높고, KODEX 은행이 3.824%로 가장 낮은걸로 나오는데요, 주가수익률까지 함께 봤을 땐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봤어요.

 

 

   최근 1년 배당, 주가, 비용 내역 (24년 10월 ~ 25년 9월)

 

우선 배당금 지급내역을 먼저 살펴보면, 배당금이 증가 추세인지, 떨어진적은 없는지 확인을 해보면 되는데요,

  • TIMEFOLIO : 24년 10월, 25년 7월 특별(?) 배당을 지급한 적이 있고, 그 두 번을 제외하면 배당금이 67원에서 최근 80원대로 증가
  • KODEX 고배당주 : 작년 37원, 22원의 낮은 배당금에서 올해는 꾸준히 50원 이상의 배당금을 지급
  • PLUS 고배당주 : 63원 -> 73원 -> 78원으로 들쭉날쭉하지 않고 우상향
  • KIWOOM 고배당 : 24년 10월, 25년 4월의 튀는 두 번을 제외하면 30원, 40원을 꾸준히 지급
  •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 25년 2월까지 73원을 꾸준히 지급하다가 3월에 갑자기 68원으로 배당삭감 이력
  •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 : 47원부터 72원까지 우상향 
  • KODEX 은행 : 25년 5월까지 매월 30원, 6월부터 42원을 꾸준히 지급

이렇게 배당금 지급 특징을 대략 정리를 해봤는데요, 아직도 좀 애매모호함이 있어서 좀 더 수치화를 해봤어요.

 

 

   지수 흐름에 따른 배당수익률, 주가수익률 비교

 

위 차트는 코스피 지수 주봉 차트인데요, 대략 25년 4월까지는 하락 및 횡보를 하다가 4월 이후로 쭉 상승을 했어요. 그래서 지수가 횡보할 때, 상승할 때를 나눠서 각각 배당수익률과 주가수익률을 비교해봤어요.

  • 기간 : 컬럼별로 "1년"은 24년 10월~25년 9월, "하락&횡보"는 24년 10월~25년 3월, "상승"은 25년 4월~25년 9월
  • TIMEFOLIO : 1년동안 배당수익은 1154원, 주가수익은 2625원으로 24년 10월 주가 대비 1년간 배당수익률은 8.25%, 주가수익률은 18.78%, 합산 27.03%
  • KODEX 고배당주 : 1년동안 총 배당수익 584원, 주가수익 2625원으로 24년 10월 주가 대비 1년간 배당수익률은 5.61%, 주가수익률은 25.2%

이런 식으로 보면 돼요.

이렇게 봤을 때, 1년간 배당수익률에 주가수익률을 더한 총 수익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KIWOOM 고배당이 배당수익률 6.52%, 주가수익률 36.89%, 합산수익률 43.41%로 가장 높고,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액티브가 배당수익률 8.25%, 주가수익률 18.78%, 합산수익률 27.03%로 가장 낮았어요.

 

그런데, 횡보장과 상승장을 구분해서 보면요,

횡보장에선 역시 KIWOOM 고배당이 가장 수익률이 좋았고, TIMEFOLIO가 가장 낮았어요.

상승장에선 좀 달라지는데요,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이 배당수익률 3.59%, 주가수익률 41.86%, 합산수익률 45.46%로 가장 높았고, KODEX 고배당주가 배당수익률 3.33%, 주가수익률 24.76%, 합산수익률 28.09%로 가장 낮았어요.

 

주가가 항상 상승한기만 하는 것도 아니고, 항상 횡보만 하는 것도 아니다보니, 횡보장과 상승장을 구분해서 봤는데요, 이번 상승장은 특히 배당 정책과 맡물려 금융지주들이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에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의 수익률이 가장 높았던걸로 추측돼요.

 

   수익률 우수 종목의 포트폴리오 (Kiwoom 고배당, SOL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

두 종목을 구성하고 있는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요, SOL은 금융지주 10종목으로 구성이 되어 있지만 특히 4대 금융지주가 전체 비중의 76.5%를 차지하는 반면, KIWOOM 고배당은 금융지주 외에도 기아, 삼성증권, 제일기획 등의 다양한 종목이 4~6%의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이가 있네요.

 

 

   그래서 선택은?

횡보장 및 최근 1년 동안 배당수익률에 주가수익률을 더한 합산수익률이 가장 높았던 종목을 선택한다면 >>> KIWOOM 고배당

상승장에서 힘을 발휘하여 가장 높은 합산수익률이 높았던 종목을 선택한다면 >>>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

 

금융지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업종의 고배당 종목들로 구성하고 싶다면 >>> KIWOOM 고배당

금융지주에 좀 더 많은 투자비중을 두고 싶다면 >>>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5년 9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어요.

9월 26일까지 주식을 매수했을 경우, 10월 둘째 영업일인 10월 2일에 분배금이 입금 예정이에요.

 

아래에 2025년 9월 분배수익률 순위와 유형별, 종목별 분배금 확정 내역을 정리했어요.

 


   표 설명

 

  • 분배금 : 1주당 분배금
  • 가격 : 분배락 발생 전날 가격 (이번달은 9월 26일 종가)
  • 수익률 : 매월 분배금을 가격으로 나눈 값
  • 비용 : 연환산 시 값으로 위의 값을 예로 들면 24년 6월 비용인 0.155%는 6월엔 연 0.155%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용이 발생했다는 의미로, 실제로는 0.155%의 1/12 정도의 비용 발생. 매월 10일 경 지난 달의 비용이 발표됨
  • 월평균수익률 : 월단위 수익률의 평균값으로 1년이 넘은 종목은 24년10월부터 25년9월까지의 배당수익률을 12로 나눈 값
  • 연수익률 : (월평균수익률 x 12) - 비용

 

   분배 수익률 순위

순위 ETF명 유형 월평균
수익률
연수익률
1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 커버드콜
(혼합)
2.102% 24.67%
2 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1.724% 19.93%
3 RISE 미국테크100데일리고정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1.708% 19.62%
4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커버드콜
(주식)
1.612% 18.85%
5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1.491% 17.49%
6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1.465% 17.10%
7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1.427% 16.66%
8 PLUS 고배당주위클리고정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1.367% 16.04%
9 RISE 미국배당100데일리고정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1.378% 15.59%
10 SOL 팔란티어미국채커버드콜혼합 커버드콜
(혼합)
1.349% 15.48%
11 RISE 테슬라미국채타겟커버드콜혼합(합성) 커버드콜
(혼합)
1.293% 15.17%
12 ACE미국빅테크7+데일리타겟커버드콜(합성) 커버드콜
(주식)
1.279% 14.81%
13 ACE미국500데일리타겟커버드콜(합성) 커버드콜
(주식)
1.277% 14.79%
14 ACE미국반도체데일리타겟커버드콜(합성) 커버드콜
(주식)
1.275% 14.77%
15 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1.250% 14.49%
16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1.244% 14.48%
17 TIGER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1.248% 14.47%
18 KODEX 테슬라커버드콜채권혼합액티브 커버드콜
(혼합)
1.231% 14.16%
19 KODEX 미국AI테크TOP10타겟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1.219% 14.06%
20 KODEX 미국S&P500데일리커버드콜OTM 커버드콜
(주식)
1.179% 13.61%
21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커버드콜
(채권)
1.161% 13.57%
22 TIGER 배당커버드콜액티브 커버드콜
(주식)
1.145% 13.18%
23 PLUS 미국배당증가성장주데일리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1.114% 12.47%
24 RISE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커버드콜
(채권)
1.047% 12.10%
25 KODEX 미국30년국채타겟커버드콜(합성 H) 커버드콜
(채권)
1.015% 11.86%
26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데일리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1.004% 11.57%
27 TIGER 엔비디아미국채커버드콜밸런스(합성) 커버드콜
(주식)
1.000% 11.54%
28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커버드콜
(주식)
0.999% 11.49%
29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H) 커버드콜
(채권)
1.007% 11.28%
30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0.990% 11.27%
31 SOL 미국500타겟데일리커버드콜액티브 커버드콜
(주식)
1.008% 11.25%
32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커버드콜
(주식)
0.881% 9.98%
33 TIGER 미국S&P5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0.834% 9.56%
34 TIGER 미국테크TOP10타겟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0.837% 9.32%
35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리츠 0.772% 9.05%
36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커버드콜
(주식)
0.789% 9.03%
37 RISE 200고배당커버드콜ATM 커버드콜
(주식)
0.707% 7.96%
38 TIGER 200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0.702% 7.91%
39 ACE 미국배당퀄리티+커버드콜액티브 커버드콜
(주식)
0.696% 7.88%
40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리츠 0.651% 7.65%
41 PLUS K리츠 리츠 0.645% 7.39%
42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액티브 주식 0.670% 6.86%
43 KODEX 대만테크고배당다우존스 주식 0.624% 6.74%
44 KODEX 일본부동산리츠(H) 리츠 0.583% 6.54%
45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 혼합 0.572% 6.35%
46 KODEX 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 채권 0.541% 6.20%
47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리츠 0.521% 6.18%
48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1호 커버드콜
(주식)
0.549% 6.02%
49 ACE 미국하이일드액티브(H) 채권 0.539% 5.84%
50 WON 한국부동산TOP3플러스 리츠 0.514% 5.84%
51 KIWOOM 고배당 주식 0.508% 5.80%
52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 주식 0.451% 5.04%
53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주식 0.447% 4.97%
54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채권 리츠 0.436% 4.94%
55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 채권 0.405% 4.72%
56 PLUS 고배당주 주식 0.412% 4.64%
57 RISE 미국30년국채액티브 채권 0.399% 4.58%
58 KODEX 고배당주 주식 0.425% 4.58%
59 Kodex 미국종합채권ESG액티브(H) 채권 0.382% 4.36%
60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 주식 0.385% 4.33%
61 TIGER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H) 채권 0.379% 4.28%
62 ACE 싱가포르리츠 리츠 0.438% 4.20%
63 TIGER 200커버드콜OTM 커버드콜
(주식)
0.379% 4.10%
64 KODEX iShares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 채권 0.351% 4.04%
65 RISE 글로벌리얼티인컴 리츠 0.344% 3.99%
66 KODEX 은행 주식 0.347% 3.82%
67 PLUS 고배당주채권혼합 혼합 0.336% 3.73%
68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채권 0.322% 3.73%
69 RISE 코리아금융고배당 주식 0.323% 3.71%
70 KODEX 미국부동산리츠(H) 리츠 0.330% 3.69%
71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주식 0.304% 3.51%
72 SOL 국제금커버드콜액티브 커버드콜
(원자재)
0.341% 3.47%
73 ACE 미국10년국채액티브(H) 채권 0.305% 3.45%
74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주식 0.296% 3.44%
75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주식 0.298% 3.42%
76 ACE 미국10년국채액티브 채권 0.302% 3.42%
77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채권 0.295% 3.41%
78 RISE 25-11 회사채(AA-이상) 액티브 채권 0.289% 3.37%
79 ACE 미국부동산리츠(합성 H) 리츠 0.314% 3.32%
80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주식 0.292% 3.32%
81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주식 0.293% 3.28%
82 TIGER 미국MSCI리츠(합성 H) 리츠 0.295% 3.14%
83 RISE 금융채액티브 채권 0.268% 3.12%
84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10채권혼합액티브 리츠 0.265% 3.02%
85 TIGER 글로벌멀티에셋TIF액티브 채권 0.316% 3.00%
86 SOL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혼합 0.280% 2.96%
87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 H) 채권 0.253% 2.85%
88 SOL 미국배당다우존스2호 주식 0.271% 2.82%
89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 채권 0.246% 2.73%
90 KODEX iShares미국인플레이션국채액티브 채권 0.238% 2.72%
91 RISE 미국S&P배당킹 주식 0.256% 2.70%
92 RISE 중기우량회사채 채권 0.228% 2.63%
93 PLUS 코리아밸류업 주식 0.224% 2.62%
94 ACE 미국배당퀄리티채권혼합50 혼합 0.239% 2.57%
95 KIWOOM 국고채30년액티브 채권 0.180% 2.10%
96 ACE 코리아밸류업 주식 0.185% 2.04%
97 KIWOOM 엔비디아미국30년국채혼합액티브(H) 혼합 0.198% 1.97%
98 KIWOOM 팔란티어미국30년국채혼합액티브(H) 혼합 0.195% 1.95%
99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주식 0.181% 1.77%
100 TIGER 미국캐시카우100 주식 0.199% 1.73%
101 Kodex 삼성전자채권혼합 혼합 0.156% 1.71%
102 Tiger 코리아밸류업 주식 0.146% 1.67%
103 ACE 미국배당퀄리티 주식 0.163% 1.67%
104 WON 200 주식 0.146% 1.64%
105 RISE 미국은행TOP10 주식 0.163% 1.52%
106 Kodex 코리아밸류업 주식 0.134% 1.51%
107 RISE 코리아밸류업 주식 0.127% 1.47%
108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 주식 0.153% 1.17%
109 TIGER 미국다우존스30 주식 0.130% 1.10%
110 RISE 미국S&P500(H) 주식 0.099% 0.94%
111 SOL 미국S&P500 주식 0.084% 0.82%
112 Kodex 코리아배당성장채권혼합 혼합 0.093% 0.81%
113 KODEX 미국S&P500변동성확대시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0.071% 0.37%
114 HANARO 미국S&P500 주식 0.068% 0.17%
115 SOL 미국S&P500엔화노출(H) 주식 0.094% -0.03%
116 KIWOOM 미국방어배당성장나스닥 주식 0.148% -0.11%
117 KODEX 미국10년국채액티브(H) 채권 0.000% -0.18%
- RISE 차이나테크TOP10위클리타겟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0.893% 10.72%
- RISE 코리아밸류업위클리고정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0.000% 0.00%
- TIGER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0.000% 0.00%
-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위클리커버드콜 커버드콜
(주식)
0.000% 0.00%

 

  • 이번달 분배수익률 1위는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 이며, 월평균 2.1%, 연환산 시 24.67%의 분배수익률을 기록했어요. 분배금이 증가하면서 분배수익률도 1등인건지, 분배금과 주가가 같이 하락하면서 분배수익률만 높은건지는 밑에서 확인해볼게요.
  • 2위 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 3위 RISE 미국테크100데일리고정커버드콜 이 두 종목은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이 상장하기까지 줄곧 1, 2위에 랭크되던 종목들이었어요.
  • 1~4위까지는 모두 나스닥 관련 커버드콜 종목인데요, 5~8위는 코스피 종목 관련 커버드콜 종목들로 국내 지수 추종하는 커버드콜 종목 중 배당수익률이 가장 높은건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이며 월 1.49%, 연 17.5%가 가능해요.
  • 1~34위까지는 모두 커버드콜 종목이고, 커버드콜이 아닌 종목 중에서 배당수익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이며 월 0.77%, 연 9.05%의 배당수익이 가능해요.
  • 117위 밑으로 있는 RISE 차이나테크TOP10위클리타겟커버드콜은 최초의 중국 지수 추종하는 커버드콜 종목으로 9월 2일에 상장하여 첫 배당을 실시했기 때문에 순위에서 제외하였고, RISE 코리아밸류업위클리고정커버드콜, TIGER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위클리커버드콜은 모두 9월에 상장한 종목으로 아직 배당금이 없어요.

 

   유형별 분배수익률, 주가, 비용 총정리

※ 참고사항 - 연두색칠 되어 있는 종목은 월중배당종목으로 매월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이며, 주가 또한 9월 26일 주가가 아닌 9월 11일 주가입니다.

 

주식형

  • K-SCHD로 불리우는 미국배당다우존스 종목 중에슨 ACE 미국배당다우존스가 9월에 44원 0.357%에 해당하는 배당금을 지급하여, 연 배당수익률에서도 3.5%로 가장 높아요. 미국배당다우존스 중 가장 낮은 배당수익률의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와 비교 시 연 0.22% 정도의 배당수익률이 차이가 나는데요,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는 유일한 환헷지 종목으로 원달러 환율이 너무 높다고 판단될 때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 SOL 미국S&P500엔화노출(H)는 연배당수익률이 -0.026%로 연 1%가 넘는 높은 수수료로 인해서 배당수익률은 오히려 손실이 나고 있는데요, 달러에 대해서는 헷지를 하고, 엔화에는 노출을 하는 등 외환 옵션으로 인해 수수료가 높은걸로 예상돼요. 

  • WON 200이 배당수익률은 연 1.64%로 눈에 띄는 수준은 아니지만 주가는 지난달 대비 약 8.6%나 상승했어요.
  • 반면,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는 7월~9월 연속 주가도 하락하고 배당수익률도 1.17% 밖에 안되면서 이중고를 겪고 있어요.

  • 코리아밸류업 종목들의 연배당수익률은 1.5~2% 수준인데요, 배당수익률보단 주가수익률이 더 눈에 띄는데요, RISE 코리아밸류업은 9월 11일 주가 기준으로 지난달 대비 주가가 5.6% 상승했고, 나머지 코리아밸류업은 9월 26일 주가 기준으로 TIGER 코리아밸류업은 9.6%, ACE 코리아밸류업은 9.7% 씩이나 상승을 했어요.

  • 국내 "고배당주" 타이틀을 달고 있는 종목은 과거 "ARIRANG 고배당주"로 유명한 PLUS 고배당주KODEX 고배당주가 있는데요, 최근 배당수익률과 주가수익률 관점에서 KIWOOM 고배당이 가장 성적이 좋은걸로 확인이 돼요. 배당수익률로는 PLUS 4.6%, KODEX 4.6%, KIWOOM 5.8%로 KIWOOM이 가장 높고, 지난달 대비 주가 수익률도 PLUS 1.1%, KODEX 0.7%, KIWOOM 3.4%로 배당수익률, 주가수익률 모두 KIWOOM이 가장 우수해요. 아마도 구성 종목이 달라서 그럴텐데요, 본인이 선호하는 종목을 담고 있는 ETF를 투자하는 방법도 있을테고, 물 들어왔을 때 노를 아주 잘 젓는 ETF를 그냥 선택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어요.

 

 채권형

  • 미국의 금리 인하로 인해 미국 국채 관련 ETF들의 주가 상승이 눈에 띄는데요,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RISE 미국30년국채액티브는 지난달 대비 주가가 약 3.5% 상승을 했어요.
  • TIGER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H), Kodex iShares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는 4% 초반의 배당수익률과 함께 안정적인 주가 흐름도 보여주고 있어요.

  • 미국30년국채액티브 종목들을 보면, 원달러 환율의 영향으로 (H)를 달고 있는 환헷지 종목보다는 환노출 종목들의 주가 상승률이 더 좋았던걸로 확인되네요. 

  • 미국10년채국채액티브 종목들은 연 3.4% 정도의 배당수익률이 나오고 있어요. 확실히 3% 후반~4%대를 지급하는 30년국채액티브보다는 배당수익률이 아주 약간 낮아요.

 

 커버드콜

  • 연일 신고점을 경신하는 S&P500, 나스닥으로 인해 커버드콜 종목들도 대부분 지난달 대비 주가도 상승한 모습인데요, SCHD를 베이스로 하는 종목인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는 배당금은 지난달과 86원으로 동일하지만 주가는 지난달 대비 하락했어요.

 

  • 추종하는 지수가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하락을 하는 커버드콜 종목이 가장 안 좋은 형태의 커버드콜일텐데요, 최근 S&P500, 나스닥100, 코스피는 상승을 했는데요, 이런 움직임과는 반대로 주가가 하락한 커버드콜이라면 선택지에서 제거할 제 1순위가 될거 같은데요. 여기에 그런 종목들이 있네요.
  • RISE 200고배당커버드콜ATM, PLUS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7월 대비, 8월 대비 연속으로 주가가 하락을 하고 있어요. 특히 위에서 KODEX, PLUS, KIWOOM 고배당주는 배당수익률에 주가수익률도 더해졌던 것에 비하면, 이 두 종목의 연속적인 주가 하락은 치명적이네요.

  • PLUS 고배당주위클리고정커버드콜 또한 연속적으로 주가도 하락하고 배당금도 155->150->145원으로 하락하고 있으니 주의가 필요해요.
  • 전체 배당수익률 1위를 하고 있는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이 여기에 있네요. 바로 위에 있는 종목인 SOL 팔란티어미국채커버드콜혼합과 비교를 해볼 수 있겠는데요, 위에 있는 종목은 주가가 2달 연속 상승한데 반해, 아래 있는 종목은 지난달엔 주가가 소폭 하락을 했고, 이번달엔 더 소폭으로 상승을 했어요. 이 정도면 아주 나쁜 정도는 아니고 주가수익률이냐 배당수익률이냐를 놓고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는거 같아요.

 

 리츠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배당금 지급 정책 변화로 인해 배당수익률 계산에 약간의 오차가 있는데요, 현재 배당금 정책 기준으로 배당수익률은 약 9%로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와 유사한 수준이에요.
  • KODEX 일본부동산리츠(H)는 배당수익률은 6.5%로 국내 부동산에 투자하는 종목보다 낮지만, 주가 상승률은 더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혼합 & 기타

  •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 는 배당수익률 6.3%에 주가 흐름 또한 꽤 안정적인걸로 확인이 되네요.
  • SOL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KODE 코리아배당성장채권혼합, KODEX 삼성전자채권혼합 같은 종목들은 IRP 계좌에 100% 투자를 유도하는 종목인것만 같은데요, 배당수익률 관점에서도 주가수익률 관점에서도 매우 어중간한 느낌이에요.

  • 아직 배당을 한 번 밖에 안했거나, 한 번도 안한 종목들은 온전한 한 달치의 배당을 실시할 때 각자의 카테고리인 "커버드콜" 위치로 재배치할 예정이에요.

 


 

배당수익률은 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값으로 결정이 돼요.

배당금이 올라가도 배당수익률이 올라가지만, 배당금은 그대로인데 주가가 떨어져도 배당수익률은 올라가요.

그러니 배당수익률만 보지 마시고, 주가도 함께 고려해서 좋은 선택하시길 바래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전에 삼성전자와 외국인지분율에 대한 글을 3번 썼었구요, 오늘 4번째 글을 쓰려고 해요.

 

  이전글

  - 1편. 삼성전자 주가, 진짜로 외국인이 사면 오르고, 팔면 떨어질까? (24년 11월 16일)

https://fortune7.tistory.com/entry/%EC%82%BC%EC%84%B1%EC%A0%84%EC%9E%90-%EC%A3%BC%EA%B0%80-%EC%A7%84%EC%A7%9C%EB%A1%9C-%EC%99%B8%EA%B5%AD%EC%9D%B8%EC%9D%B4-%EC%82%AC%EB%A9%B4-%EC%98%A4%EB%A5%B4%EA%B3%A0-%ED%8C%94%EB%A9%B4-%EB%96%A8%EC%96%B4%EC%A7%88%EA%B9%8C

 

삼성전자 주가, 진짜로 외국인이 사면 오르고, 팔면 떨어질까?

안녕하세요. 요즘 한국 주식시장 난리도 아니죠?특히 국장 시총 1등 주인 삼성전자의 하락세가 무서운데요.며칠전 4만전자까지 내려갔다가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소식으로 7%대의 반등을 하며 한

bluegosari.com

 

  - 2편. 삼성전자 주가, 외국인 지분율 최저치 근접 (25년 1월 7일)

https://fortune7.tistory.com/entry/%EC%82%BC%EC%84%B1%EC%A0%84%EC%9E%90-%EC%A3%BC%EA%B0%80-%EC%99%B8%EA%B5%AD%EC%9D%B8-%EC%A7%80%EB%B6%84%EC%9C%A8-%EC%B5%9C%EC%A0%80%EC%B9%98-%EA%B7%BC%EC%A0%91

 

삼성전자 주가, 외국인 지분율 최저치 근접

안녕하세요. 25년 새해가 밝고, 증시가 개장한지 아직 일주일이 안됐지만,우려와 달리 나름 선전하고 있는 국내 증시에요. 국내 증시의 시총 1등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의 90%가 손실중이라는

bluegosari.com

 

  - 3편. 삼성전자, 돌아온 외국인? (25년 6월 15일)

https://fortune7.tistory.com/entry/%EC%82%BC%EC%84%B1%EC%A0%84%EC%9E%90-%EB%8F%8C%EC%95%84%EC%98%A8-%EC%99%B8%EA%B5%AD%EC%9D%B8

 

삼성전자, 돌아온 외국인?

안녕하세요. 오늘은 삼성전자 주가와 외국인 지분율의 관계를 살펴보는 3 번째 글이에요. 1편은 24년 11월 16일에 삼성전자 주가와 외국인 지분율 간의 관계를 살펴봤었구요,2편은 25년 1월 7일에

bluegosari.com

 

 

  4편. 외국인 이제 조금 담았을 뿐

  • 2018년 12월부터 25년 9월 23일까지의 삼성전자 주가와 외국인 지분율 추이를 같이 그린 그래프에요.
  • 이 기간 동안 외국인 지분율의 최저치는 49.24%였고, 최고치는 58.01%였어요. 그리고 가장 최근은 51.25%로 최저치 대비 약 2%p 상승을 했구요, 최대치까지는 약 6.8%p가 남았어요.
  • 최저치를 0으로, 최고치를 100으로 봤을 때 현재 위치는 바닥에서 23% 올라온 위치라고 할 수 있구요.

  • 그런데, 항상 외국인 지분율이 주가를 견인하진 않았어요.
  • 대표적으로 위의 연두색 사각형 부분을 보면, 이때는 2020년 코로나 직후로 동학개미 운동이라고 불리며, 개인들의 매수세가 시장을 주도했던 때로 이때만큼은 개인의 영향력이 더 컸었어요.
  • 그런데 연두색 부분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서 외국인 지분율과 삼성전자의 주가가 비슷한 추세로 움직였어요.

  • 오른쪽으로 이동한 연두색 표시 부분을 보면, 최근엔 외국인 지분율이 아주 조금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무려 55000원부터 85000원까지 약 50%를 상승한 모습인데요,

  • 이전에 외국인의 매매 추이를 보면, 첫번째 타원 구간인 20년 10월 ~ 22년 8월까지 무려 1년 10개월 동안 매도세를 유지하는 동안 삼성전자 주가는 91000원에서 54000원까지 약 40% 하락을 했구요.
  • 두번째 타원 구간인 22년 8월 ~ 24년 7월까지는 무려 2년 동안 매수세를 유지했는데요, 이때 주가는 54000원에서 91000원까지 약 68% 상승을 했어요.
  • 그리고 세번째 타원 구간은 24년 8월 ~ 25년 6월까지 10개월에 걸쳐 가파르게 매도를 했는데요, 이때는 주가가 91000원에서 50000만원까지 45% 하락을 했어요.
  • 위의 그래프를 통해서 외국인들은 한 번 매매 포지션을 잡으면 한 두달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서 매수를 했다가 매도를 하고 있으며, 이때마다 주가를 50% 씩 들었다놨다를 반복하고 있어요.
  • 이런 관점에서 보면, 현재의 매수 포지션은 25년 7월을 시작으로 본다면 이제 3개월째인데 주가는 전고점까지 다가가고 있는 중이에요. 그러니 이전에 그랬듯 장기간의 매수포지션의 초입이라고 한다면, 삼성전자 주가가 이번엔 10만원을 돌파할지도...?
  • 반면, 2020년 11월 이전의 모습에선 이런 장기간 포지션을 유지하는 모습이 보이진 않기 때문에 충분히 반론의 여지도 있어요.

  • 투자자별 매매동향을 봐도 확실히 개인은 팔고, 외국인이 사면서 주가가 올라가고 있는 모습이에요.

 

  • 삼성전자의 10년 차트를 보면, 21년 1월에 기록했던 96800원이 최고점인데요, 이번에 3번의 시도만에 10만원을 돌파할지, 아니면 또 다시 10만원의 문턱에서 밀릴지 두고 볼만하네요.

 

  결론

  • 이제 외국인 매수의 초입 부분. 어쩌면 10만원을 돌파할지도? 란 생각이 드네요.

 

※ 투자 권유 아닌 개인 의견일 뿐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 폭등하는 자산 중 대표격인 금 가격과 관련된 기사들을 가져와봤어요.

 


   언론사별 예상 금 가격

■ Reuters

금 가격은 2026년까지 온전히 상승 추세가 유지될 전망이며, 그 전에 5~6% 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여러 이유: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하 기대, 지정학적 불확실성, 중앙은행 및 ETF 수요 강세 등이 배경.

 

 UBS

연말까지 금 가격 목표를 약 $3,800/온스로 상향 조정함. 2026년 중반에는 약 $3,900 예상.

 

 ANZ Group

2025년 말까지 금 가격을 $3,800/온스로 예상.
2026년 초 여름 무렵에는 $4,000 근처에서 정점을 찍을 가능성 제시됨.

 

 Gold.org (World Gold Council)

2025년 상반기에 금 가격이 USD 기준으로 약 26% 오름.
하반기에는 추가로 0–5% 상승이 가능하다는 중립적인 관측. 다만 경제 불안정(경착륙, 스태그플레이션, 지정학적 긴장 강화)이 생길 경우 10–15% 상승 여지도 있음.

 

 John Paulson (투자자)

2028년까지 금 가격이 $5,000/온스 수준에 이를 수 있다고 예측. 그만큼 중앙은행의 매수, 글로벌 무역 긴장, 미국 달러에 대한 대체자산 수요 등이 많아질 것으로 봄.

 

   고려할 리스크 요인들

  • 연준(Fed)의 금리 인하 속도 및 규모: 예상보다 완만하거나 미지근하면 기대가 꺾일 수 있음.
  • 달러 가치: 달러 강세 시 금 가격 상승에는 제약이 있을 수 있음.
  • 지정학적 리스크 /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 오히려 금은 이런 환경에서 더 잘 움직이는 경향 있음. 폭발적으로 상승 가능성.
  • 투자자 심리 및 기술적 과열: 단기적 조정 가능성 있음.

 

   은(Silver)에 대한 언급

<금을 은으로 나눈 값으로 값이 클수록 금 고평가, 은 저평가를 의미>

  • 금의 강세와 더불어, 은도 투자자 수요 및 산업적 수요가 함께 커지면서 강한 흐름을 보이고 있음.
  • 특히 전자 제품, 태양광 패널 등 산업용 수요와 공급 부족(deficit) 우려가 은 가격 상승을 뒷받침함.
  • 은은 현재 온스당 약 $42.50 부근에서 거래 중이며, 이는 14년 만의 최고 수준임.
  • 금을 은으로 나눈 지수는 현재 80~100 사이를 오가고 있으며, 이는 금 가격이 은 가격 대비 고평가 되었음을, 은 가격이 금 가격 대비 저평가 되었음을 의미함.

 

   국내 금 시세

< 출처 : 네이버 >

  • 국내 금 시세 또한 24년 1월부터 줄곧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음.
  • 9월 16일 기준 국내 금 가격은 1g당 16만9천원으로 익숙한 1돈으로 계산시 633,750원임.
  • 아기 돌 반지, 귀금속 등의 가격은 이미 1돈에 70만원을 넘어섬.

 

   국내 금현물 ETF 가격 현황

<출처 : 구글 파이낸스>

  • 국내 금현물 ETF로는 ACE KRX금현물 ETF가 2021년 12월 15일에 상장하여 가장 오래됐으며, 최근에 KODEX 금액티브 (25년6월17일), TIGER KRX금현물(25년6월24일)에 상장함.
  • 가장 오래된 ACE KRX금현물 ETF와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대표 금 ETF인 IAU와 가격 비교 시 최근 1년 수익률은 ACE가 51.62%, IAU 42.26%로 ACE가 더 높으며, 이는 원달러 환율 영향임.

<출처 : 네이버증권>

  • TIGER KRX금현물 ETF 상장일 기준으로 약 최근 3개월의 국내 금현물 ETF 수익률 비교 시, ACE 16%, TIGER 15.5%, KODEX 12.3% 순으로 높음.
  • 수수료는 ACE 0.19%, TIGER 0.15%, KODEX 0.3% 로 액티브 종목인 KODEX가 가장 비쌈. 수익률은 가장 저조하고.

 

   결론 요약

  • 미국 언론에서 다룬 금 예상 가격은 장기적으로 2026년 4000달러 선으로 현재 가격인 3720달러 대비 약 7% 추가 상승 가능하지만, 단기적으론 5~6%의 조정 가능함.
  • 국내엔 ACE, TIGER, KODEX 금현물 ETF가 상장되어 있지만, ACE 또는 TIGER ETF가 투자에 유리.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