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월배당 ETF와 관련해서 눈에 띄는 뉴스 하나를 들고 왔어요.

 

재작년말부터 폭증한 커버드콜 ETF 종목 증가와 또한 폭발적으로 투자금이 몰리는 걸 보면서,

내심 다양한 상품이 나오는건 반기는 마음도 있었지만, 어느 순간부턴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높은 분배수익률을 보면서 불안한 마음도 같이 커졌거든요.

 

그런데 마침 금융감독원이 커버드콜 실태점검을 한다는 기사가 있어서 공유할게요.

 

그리고 글 마지막엔 기사에서 소개된 종목의 수익률 비교 데이타도 첨부했으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 기사 원문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72878

 

금감원, ETF 운용사 커버드콜 서면조사…분배율 정조준 - 연합인포맥스

금융감독원이 높은 분배율 전략을 구사하는 자산운용사의 커버드콜 상장지수펀드(ETF) 운용 행태를 점검한다.개인 투자자들 사이에 월분배 커버드콜 상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과도한 분배 경

news.einfomax.co.kr

 

 

■ 기사 요약 

 

1. 금융감독원의 커버드콜 ETF 운용 실태점검 실시

금융감독원이 높은 분배율을 제공하는 자산운용사들의 커버드콜 ETF 운용 행태를 점검하기 위해 지난달 말 운용사들에게 ETF 분배율 설정 및 지급 내역 등을 서면으로 제출하도록 요구했습니다.

 

2. 커버드콜 ETF 시장의 과열 경쟁 양상

월분배 상품으로 분배금 지급 주기를 단축하고 목표 분배율을 연 20%를 넘기는 상품까지 등장하면서 커버드콜 ETF 시장 경쟁이 과열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3. 커버드콜 ETF의 구조와 특성

커버드콜 ETF는 보유 주식에 대해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으로, 주가 하락 시 옵션 프리미엄으로 손실을 줄일 수 있지만 주가 상승 시에는 수익률이 제한되는 구조화 상품입니다.

 

4. 주요 커버드콜 ETF 상품들의 폭발적 성장

삼성자산운용과 KB자산운용의 코스피200 기반 상품이 합쳐서 1조 원을 넘는 순자산 증가를 기록했고, 미래에셋과 신한자산운용의 상품들도 각각 2천억 원, 1천100억 원가량 순자산이 늘어났습니다.

 

5. 당국의 검사 방향과 규제 포인트

금감원은 집합투자규약 준수 여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며, 분배금이 정해진 기준에 맞게 지급됐는지분배금 재원 마련 과정을 면밀히 검토할 예정입니다.

 

 

■ 개인 의견 

"분배금 재원 마련 과정을 면밀히 검토한다"가 핵심 포인트인거 같아요. 커버드콜 종목은 옵션 매도를 통해서 분배금 재원을 마련한다고 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정해진 분배수익률을 맞추기 위해 원금을 팔아치우면서까지 분배금을 지급한다는 의심이 특정 종목들에 대해선 거의 확신에 가까울 정도거든요.

그런데 마침 금융감독원의 이번 조사를 통해서 옥석 가리기가 가능해질거라는 기대가 있어요. 결국 분배금 재원 마련을 위해 원금에 손을 댔느냐 안 댔느냐에 대한 확인이 꼭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에요.

 

 

■ 수익률 비교  

기사에서 소개된 동일 컨셉의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주가 비교 그래프와 배당수익률 비교했어요.

 

ㅁ 주가수익률 비교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이 상장한 24년 12월 3일부터 주가 수익률 비교 시, RISE는 현재까지 11.71% 상승한 반면, KODEX는 15%가 상승하면서 주가 수익률에서 KODEX가 약 3.2% 우세하네요.

 

ㅁ 배당수익률 비교

 

25년 2월부터 8월까지 배당수익률을 비교했을 때 RISE는 월평균 1.49%의 분배금을 지급하여 비용을 감안한 연 분배수익률은 17.48%, KODEX는 월평균 1.43%의 분배금을 지급하며 비용을 감안한 연 분배수익률은 16.695%로 RISE가 KODEX 대비 약 0.5% 정도 높아요. 

 

배당수익률(=분배수익률)은 분배금을 주가로 나눈 수치이기 때문에 KODEX의 주가수익률이 RISE 대비 높기 때문에 KODEX의 배당수익률이 좀 낮게 보일 수도 있구요. 고려해야할 요소는 많아요.

 

ㅁ 투자를 고려한다면...

  • 두 종목 중에 선택을 해야한다면, 주가수익률+배당수익률이 더 높은 KODEX에만 투자를 할 수도 있구요.
  • 두 종목의 분배금지급일이 RISE는 월말, KODEX는 월중이기 때문에 두 종목에 동시에 투자하여 월중에 받은 KODEX 분배금으로 RISE를 사고, 월초에 받은 RISE 분배금으로 KODEX를 사는 식으로 한 달에 분배금을 두 번씩 받는 투자를 고려해볼 수도 있어요.

 

금감원의 커버드콜 실태 조사 결과가 나오게 되면, 그 때 결과도 공유하도록 할게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그야말로 커버드콜 전성시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각종 커버드콜 상품들이 출시되고 있어요.

투자자 입장에선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는 장점도 있지만, 눈에 띄는 수익률과 컨셉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도 필요해요.

 

오늘은 기존과 다른, 중국의 기술주를 다룬 커버드콜이 상장되어 관련 소식을 공유하고자 해요.

 


 

■ 종목명 

  • RISE 차이나테크TOP10위클리타겟커버드콜 

 

■ 관련 기사 링크 

https://www.smar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076

 

중국 증시서 월배당 받는다..KB자산운용, 커버드콜ETF 출시

|스마트투데이=김세형 기자| 중국 기술주에 투자하면서 월배당을 받을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가 나왔다. KB자산운용이 2일 국내 가치주와 중국 성장주에 투자하는 위클리 커버드콜 상장지수

www.smarttoday.co.kr

 

■ 기사 요약 

중국 기술주 ETF의 핵심 포인트

  • 중국 테크 ETF는 텐센트(18.1%), 샤오미(15.4%), 알리바바(14.8%) 등 중국 대표 기술주 10개 종목에 집중 투자
  • 딥시크 부상과 중국 정부의 'AI+ 이니셔티브' 정책에 힘입어 중국 빅테크 기업들의 성장 모멘텀이 재조명받는 시점에서 주목할 만한 상품
  •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경기소비재 3개 섹터 내 테크 관련 10종목에 집중 투자해 중국 테크주 모멘텀에 적극 참여하는 상품
  • 연 12% 수준의 월 분배금을 목표로 하며, 매주 항셍테크 등 가격 콜옵션을 매도하는 위클리 타겟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

구성종목 포트폴리오  (25/09/02 기준)

 

 

불과 몇 년 전 항셍지수 폭락으로 인한 ELS 대규모 손실이 예상된다고 했었던 적이 있었는데요, 어느덧 근래 3년 최고치를 경신한 항셍지수에요. 그 항셍지수를 이끌고 있는게 중국의 기술주이고요. 과연 해당 종목은 월 1%의 분배금을 지급하면서, 주가도 지수를 어느 수준까지 따라갈 수 있을지 기대가 되네요.

이 종목도 매월 분배금 지급률, 주가, 비용을 조사하여 공유하도록 할테니 관심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5년 8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어요.

8월 27일까지 주식을 매수했을 경우, 9월 둘째 영업일인 9월 2일에 분배금이 입금 예정이에요.

 

그럼 아래에서 2025년 8월 분배수익률 순위와 유형별, 종목별 분배금 확정 내역을 공유할게요.

개요

■ 표 설명

■ 분배금 수익률 순위

■ 유형별 분배 수익률, 주가, 비용 정리
   . 주식형
   . 채권형
   . 커버드콜
   . 리츠 & 혼합

※ 결론

 

 

■ 표 설명 

  • 분배금 : 1주당 분배금
  • 가격 : 분배락이 발생하기 전날 가격
  • 수익률 : 매월 분배금을 가격으로 나눈 값
  • 비용 : 연환산 시 값으로 위의 값을 예로 들면 24년 6월 비용인 0.155%는 6월엔 연 0.155%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용이 발생했다는 의미로, 실제로는 0.155%의 1/12 정도의 비용 발생. 매월 10일 경 지난 달의 비용이 발표됨
  • 월평균수익률 : 월단위 수익률의 평균값으로 1년이 넘은 종목은 24년9월부터 25년8월까지의 배당수익률을 12로 나눈 값
  • 연수익률 : (월평균수익률 x 12) - 비용

 

■ 분배금 수익률 순위

 

국내 상장된 월배당ETF 전체 종목에 대해서 연수익률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했어요. 이번달 총 종목 수는 118개인데요, 그 중 이제 막 상장을 해서 아직 배당을 하지 않은 종목이 4개를 제외하면 총 1위부터 114위까지 있어요.

 

  • 연 배당수익률 1위 종목은 이번달에도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이에요. 채권이 혼합된 종목임에도 불구하고 월평균 2.13%, 연평균 25%의 배당을 하고 있는데요, 주가 변동이 없다면 4년이면 투자 원금을 모두 회수할 수 있을 정도의 배당수익률이에요.
  • 1 위부터 34위까지는 모두 커버드콜 종목들이 차지했어요.

 

  • 이번달에도 커버드콜이 아닌 종목 중에서 배당수익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이며, 연배당수익률은 9.039%에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7.85%로 표기되어 있지만, 이전에 들쭉날쭉한 배당을 하다가 올해 3월부터 꾸준히 33원씩을 배당하고 있는데요, 33원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KODEX와 마찬가지로 9%의 연배당수익률이에요.

 

  • 74 위에 있는 SOL 국제금커버드콜액티브는 금에 투자하면서 커버드콜로 인컴도 노리는 종목인데요, 배당수익률은 3.5% 정도 나오고 있어요.

  • KODEX 미국10년국채액티브(H), KODEX 미국S&P500변동성확대시커버드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10채권혼합액티브 이렇게 4 종목은 이제 막 상장을 해서 아직 배당금을 한 번도 지급하지 않은 종목들이에요.

 

■ 유형별 분배수익률, 주가, 비용 총정리

□  주식형

 

  •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종목들은 월중배당 종목들로 8월 19일에 이미 8월달 배당금을 지급한 종목들이며, 해당 종목들의 주가는 8월 27일 기준이 아니라 8월 12일 기준 가격이에요.
  • OOO미국배당다우존스 중에는 ACE 미국배당다우존스의 배당수익률이 3.6%로 가장 높은데요, ACE는 특히 3, 6, 9, 12월에 다른 달 대비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으므로 9월엔 다른 증권사들과 수익률 차이가 아주 조금 더 벌어지지 않을까 예측해 봅니다.

 

  • 최근 미국 주식시장 흐름이 상승세를 타면서 미국 관련 종목들은 배당수익률 뿐만 아니라 주가 상승으로 인한 주가수익률도 플러스를 기록 중이에요.

 

 

  •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에 집중 투자하는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는 지난달 대비 주가가 떨어졌고, KODEX 대만테크고배당다우존스 또한 지난달 대비 주가가 하락을 했어요.
  • 한국증시도 최근 박스권에 갇히면서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액티브, KODEX 고배당주, PLUS 고배당주 모두 주가가 하락하여, 배당수익률을 주가수익률이 까먹는 모양이 됐어요.

 

 

  • ACE 코리아밸류업은 아무래도 월배당이라기보단 분기배당 종목인거 같네요. 4월, 7월에 배당을 지급했고, 그 외에는 배당금 지급이 없어요. 확인해보고 관리 리스트에서 제외하던지 해야겠어요.

 

  • 밸류업 종목 중에는 PLUS 코리아밸류업의 배당률이 2.7%로 가장 높아요

 

□  채권형

 

  • 최근 미국 10년물 국채를 추종하는 종목이 ACE와 KODEX에서 상장을 했는데요, ACE는 이번달에 첫 배당금을 지급했는데요, 이 종목이 7월 22일에 상장을 했으므로 약 10일치의 배당금이 더 포함되어 있다고 하면, 실제론 3.787%가 아니라 약 3% 정도의 배당수익률이 될거 같아요. 

 

□  커버드콜

 

  • 커버드콜 종목들은 작게나마 S&P500 관련 종목은 주가가 지난달 대비 상승을 했고, 나스닥 관련 종목은 지난달 대비 주가가 하락한걸로 보여요.

 

 

  • 커버드콜 종목은 반드시 높은 배당수익률에 현혹되지 마시고, 주가와 배당을 함께 봐야 해요. 특히 추종하는 지수는 올랐는데 커버드콜은 떨어진 종목이라면 일단 거르는 편이 안전할거 같아요.

 

 

  • 위에 있는 종목들 중에는 RISE 미국배당100데일리고정커버드콜 종목이 배당수익률도 높고, 6~8월 주가도 상승했어요.

 

 

  • KODEX 미국S&P500변동성확대시커버드콜이라는 종목이 8월 12일에 상장을 했는데요, 기존에 있는 다른 커버드콜 종목들은 어느 정도 주가에 연동해서 배당률이 일정한 편이었다면, 이 종목은 시장 상황이 어떠냐에 따라서 커버드콜의 비중이 조절되므로 배당수익률이 일정하지 않을걸로 예상이 돼요.

 

 

  • 코스피가 박스권에서 움직이고 있는데요, 그 와중에 TIGER 200커버드콜은 주가가 조금이나마 상승한 반면,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은 지난달 대비 주가가 하락하면서 차이를 보이네요. 일단 배당수익률에서 10%나 차이가 나다보니, 주가 움직임에서도 차이가 날 수 밖에요.

 

 

□  리츠 & 혼합

 

  • 위에서도 한 번 언급했지만,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경우 25년 2월까지는 매월 일정하지 않은 배당금을 지급했고, 25년 3월부터 매월 33원의 고른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어요. 따라서 이전에 일정치 않았던 배당금으로 인해 배당수익률이 왜곡이 되어 있는 상태이며, 매월 33원의 배당금을 지급하는 현재 상태에서의 배당수익률은 약 9.2% 수준으로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보다 높아요.

 

  •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는 6.5%의 연배당에 주가 움직임도 안정된 편이라 안정된 상태에서 꾸준히 배당금만 챙기고 싶다면 이 종목도 선택 옵션이 될 수 있을거 같아요.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10채권혼합액티브 이 두 종목은 7월 29일에 상장한 월중 배당 종목으로 9월 17일에 배당금이 지급될텐데요, 그 때 한 달이 아닌 한 달 반에 해당하는 배당금을 지급할걸로 예상돼요.

 

 

※ 결론

  • 높은 배당수익률에 현혹되지 말것!
  • 배당금과 함께 주가도 살펴볼 것!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다들 카드 사용하시죠?

 

어떤 카드를 쓰던지 각 카드사별로 포인트를 적립해주는데요,

그 중에서 제가 최근에 알게된 카드 포인트 활용 방법 하나를 공유하고자 해요.

 

제가 오늘 소개해드릴 방법은,

NH카드를 사용하면서 쌓인 NH포인트를 나무증권에서 현금으로 전환하여 월배당 ETF를 매수하여 월배당금을 받는 방법이에요.

 

 

NH포인트로 월배당 ETF 매수하여 월배당 받기

 

 

일단 NH카드를 사용해야 하구요, NH투자증권 앱인 나무증권 앱과 계좌가 있어야 해요.

 

자 그럼, 자세한 과정을 설명해드릴게요.

 

■ 포인트 사용방법 

 

  • 나무증권 앱 실행 후 왼쪽 밑에 三 자를 클릭해요.

 

  • 오른쪽 상단에 "고객센터" → "신청/변경" → "카드.NH멤버스" 순서로 클릭해요.

 

  • "NH멤버스" 카테고리에서 "NH포인트 현금전환 신청"을 클릭해요

 

  • 그러면 바로 "전환가능포인트" 하고 나오고, 밑에 '입금 계좌번호 선택"에서 나무증권에 개설되어 있는 계좌번호 리스트가 나오는데요, 계좌를 선택하고 "신청"을 눌러요.

 

  • 그러면 전환이 완료되었다는 화면이 나오고, "국내주식 잔고/손익"을 클릭하면 전환된 현금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저는 17022포인트를 전환해서 추정자산 17022원이 생겼어요.

 

  • 그리고 17022원으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주식을 4270원에 3주를 매수했어요.

 

  • 이렇게 매수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로 인해 9월 2일부터 배당을 받을 수 있어요. 총 3주를 매수했으므로 대략 99원의 배당금이 예상이 돼요.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배당내역 (24년 8월 ~ 25년 7월) 

제가 NH포인트를 사용하여 매수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올해 2월까지만 해도 매우 들쑥날쑥한 배당금을 지급해왔어요. 그런데 공지를 통해서 매월 33원 수준의 고른 배당금을 지급하기로 했고, 25년 3월부터 7월까지 매월 33원씩을 지급했어요. 이 글을 쓰고 있는 25년 8월 26일 종가인 4270원으로 계산하면 현재 연배당수익률은 9.27% 수준이에요. 

일반계좌에서 매수를 했기 때문에 배당소득세가 발생하겠지만, 세금이 1000원 미만일 경우는 과세 되지 않으므로 대략 196주를 모을 때까지는 일반계좌에서 매수해도 세금은 내지 않을거 같아요.

 


너무 당연하게도 카드 포인트를 위해 일부러 과소비를 하는 일은 없겠지만, 기왕 카드 사용으로 포인트가 생겼다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괜찮을거 같아서 공유해봤어요.

 

그럼 모두 현명한 소비와 투자생활 하시길 바래요~

 

 

 

 

※ 절대 카드 광고, 투자 권유 아닌 정보 공유 차원의 글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