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5년 7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어요.

7월 29일까지 주식을 매수했을 경우, 8월 둘째 영업일인 8월 4일에 분배금이 입금 예정이에요.

 

그럼 아래에서 2025년 7월 분배수익률 순위와 유형별, 종목별 분배금 확정 내역을 공유할게요.

 

개요

■ 표 설명

■ 분배금 수익률 순위

■ 유형별 분배 수익률, 주가, 비용 정리
   . 주식형
   . 채권형
   . 커버드콜
   . 리츠 & 혼합

※ 결론

 

 

■ 표 설명 

 

  • 분배금 : 1주당 분배금
  • 가격 : 분배락이 발생하기 전날 가격
  • 수익률 : 매월 분배금을 가격으로 나눈 값
  • 비용 : 연환산 시 값. 위의 값을 예로 들면 24년 6월 비용인 0.155%는 6월엔 연 0.155%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용이 발생했다는 의미로, 실제로는 0.155%의 1/12 정도의 비용 발생. 매월 10일 경 지난 달의 비용이 발표됨
  • 월평균수익률 : 월단위 수익률의 평균값
  • 연수익률 : (월평균수익률 x 12) - (비용 ÷ 12)

 

■ 분배금 수익률 순위

 

전체 종목에 대해서 연환산 수익률이 높은 종목부터 낮은순으로 정렬한 결과로 총 종목수는 111개에요.

아래 표에서 "연수익률"은 수수료까지 반영한 배당수익률로 실질적인 수익률이에요.

  • 7월 배당수익률 1등은 지난달에 이어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이에요. 자그마치 월2.18%의 배당을 하고, 이를 연으로 환산했을 때 무려 25.66%나 돼요. 주가가 떨어져서 배당수익률에 왜곡이 발생한건지는 밑에서 종목별로 주가와 배당금을 표기한 표에서 확인해볼게요.
  • 배당수익률 상위 34개는 모두 커버드콜 종목이에요.

  • 커버드콜이 아닌 종목 중에서 가장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는건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에요. 국내 리츠 ETF의 양대산맥(?)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배당수익률 7.76%로 KODEX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거 같지만, 이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배당정책이 변경되었기 때문으로 실제론 TIGER 또한 약 9%의 배당수익률이 나와요.

  • 이 위에 ACE / KODEX / SOL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가 포함되어 있는데요, 배당수익률 순위로는 TIGER > ACE > SOL > KODEX 순서인데요, 아주 근소한 차이에요.

 

 

■ 유형별 분배수익률, 주가, 비용 총정리

 

  • 살구색으로 색이 들어가 있는 종목은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이며, 해당 종목들의 주가는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 가격인 7월 11일 주가에요.
  • 마찬가지로 월말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의 주가는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 가격인 7월 29일 주가에요.
  • 아래 표에서는 배당수익률 뿐만 아니라, 배당금과 주가를 같이 볼 수 있도록 정리를 했어요.

 

□  주식형

  • ACE 미국배당퀄리티가 5월 13일에 상장하여 처음으로 리스트업 되었는데요, 6월 배당금에는 5월의 보름치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번달에 지급하 0.083%가 실제 수준이며, 이를 연으로 환산 시 0.996%로 1%가 안되는 수준이에요.

  • S&P500 지수 추종하는 ETF들은 비록 낮은 배당수익률이지만, 주가는 조금씩 상승을 함으로써 주가수익률이 배당수익률보다 괜찮았어요.

  • PLUS 고배당주는 오랫동안 배당 투자자들 사이에 인기가 많은 종목인데요, 최근에 주가가 크게 상승을 했어요. 지난달 대비해선 4% 상승, 5월 대비해선 18%나 상승을 했어요.

  • 국내 금융지주 및 코리아밸류업 ETF 들도 배당수익률 대비 주가수익률이 최근에 좋아졌어요. 

 

□  채권형

  • ACE 미국하이일드액티브(H), KODEX 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 이 두 종목은 약 6%의 배당금을 지급하며, 하이일드라는 이름에서 느껴지는 리스크랑 무관하게 주가 변화가 거의 없는 편인데요, 주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6% 수준의 배당금을 원한다면, 고려해볼만한 종목인거 같아요.

 

□  커버드콜

  •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이 3 종목은 최근 나스닥의 상승세와는 괴리가 너무 커졌는데요, 나스닥이 상승세일 때 주가가 그대로 유지된 수준이라 나스닥이 하락했을 땐 손실이 커질 우려가 있어요.

  • TIGER 배당커버드콜액티브는 7월 배당금으로 평소 0.65% 수준의 3배나 되는 1.98%의 배당금을 지급하기로 했으며, 주가 또한 최근 두 달 13% 상승하여 배당수익률과 주가수익률 모두 잡은 모습이에요.

  • 오랫동안 배당수익률 1, 2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고, 현재는 2, 3위로 내려온 RISE 미국테크100데일리고정커버드콜, 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의 주가를 확인해보면, 1~2달 전 대비 주가도 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어요.

  • RISE, TIGER,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 중 주가수익률 측면에선 TIGER가 가장 열위에 있는게 확인돼요.

  • 국내 증시 상승으로 국내 지수를 기초로 하는 커버드콜 종목도 성적이 좋은 편인데요, 특히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은 최근 배당금도 상승했을 뿐만 아니라 주가도 상승을 해서 배당수익률, 주가수익률 모두 괜찮아요.

  • 배당수익률 1위를 기록한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을 보면, 매월 2.2%에 해당하는 배당금을 지급하며, 주가는 보합에 가까운 수준인데요, 주가가 계속 보합인 상태에서 매월 2%씩 배당을 받을 수 있다면 그것도 정말 괜찮은 조건일거 같아요.

 

□  리츠

  • 연수익률을 계산할 때 이번달이 7월이므로 24년 8월부터 25년 7월까지의 월평균수익률을 연수익률로 환산하는데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올해 2월까진 들쑥날쑥한 배당금을 지급하다가 3월부터 33원으로 균등 지급을 결정하면서 배당수익률에 왜곡이 생겼어요. 그래서 33원으로 계산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배당수익률은 9%로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와 비슷한 수준이에요.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액티브 종목 2개가 7월 29일에 상장을 했는데요, 기존 TIGER 리츠와 다르게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월중배당 상품이에요. 작년 말 개별 리츠 종목의 대량 유상증자로 인한 주가 하락이 리츠 ETF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어 주가 하락이 컸는데요, "액티브" 종목이다보니 이런 리스크를 회피하는데 유리할거라고 하네요.

 

□  혼합

  • 국내 증시 상승과 함께 KODEX 배당성장채권혼합도 주가수익률은 괜찮은 편인데, 배당수익률이 너무 형편없네요.
  • 위에 있는 혼합 종목들은 안전자산 30%는 의무적으로 담아야 하는 IRP 계좌에서 투자를 하게끔 유도하는 상품들인거 같아요.

 

 

 

※ 결론

  • 높은 배당수익률에 현혹되지 말것!
  • 배당금과 함께 주가도 살펴볼 것!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