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월배당 ETF와 관련해서 눈에 띄는 뉴스 하나를 들고 왔어요.

 

재작년말부터 폭증한 커버드콜 ETF 종목 증가와 또한 폭발적으로 투자금이 몰리는 걸 보면서,

내심 다양한 상품이 나오는건 반기는 마음도 있었지만, 어느 순간부턴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높은 분배수익률을 보면서 불안한 마음도 같이 커졌거든요.

 

그런데 마침 금융감독원이 커버드콜 실태점검을 한다는 기사가 있어서 공유할게요.

 

그리고 글 마지막엔 기사에서 소개된 종목의 수익률 비교 데이타도 첨부했으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 기사 원문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72878

 

금감원, ETF 운용사 커버드콜 서면조사…분배율 정조준 - 연합인포맥스

금융감독원이 높은 분배율 전략을 구사하는 자산운용사의 커버드콜 상장지수펀드(ETF) 운용 행태를 점검한다.개인 투자자들 사이에 월분배 커버드콜 상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과도한 분배 경

news.einfomax.co.kr

 

 

■ 기사 요약 

 

1. 금융감독원의 커버드콜 ETF 운용 실태점검 실시

금융감독원이 높은 분배율을 제공하는 자산운용사들의 커버드콜 ETF 운용 행태를 점검하기 위해 지난달 말 운용사들에게 ETF 분배율 설정 및 지급 내역 등을 서면으로 제출하도록 요구했습니다.

 

2. 커버드콜 ETF 시장의 과열 경쟁 양상

월분배 상품으로 분배금 지급 주기를 단축하고 목표 분배율을 연 20%를 넘기는 상품까지 등장하면서 커버드콜 ETF 시장 경쟁이 과열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3. 커버드콜 ETF의 구조와 특성

커버드콜 ETF는 보유 주식에 대해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으로, 주가 하락 시 옵션 프리미엄으로 손실을 줄일 수 있지만 주가 상승 시에는 수익률이 제한되는 구조화 상품입니다.

 

4. 주요 커버드콜 ETF 상품들의 폭발적 성장

삼성자산운용과 KB자산운용의 코스피200 기반 상품이 합쳐서 1조 원을 넘는 순자산 증가를 기록했고, 미래에셋과 신한자산운용의 상품들도 각각 2천억 원, 1천100억 원가량 순자산이 늘어났습니다.

 

5. 당국의 검사 방향과 규제 포인트

금감원은 집합투자규약 준수 여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며, 분배금이 정해진 기준에 맞게 지급됐는지분배금 재원 마련 과정을 면밀히 검토할 예정입니다.

 

 

■ 개인 의견 

"분배금 재원 마련 과정을 면밀히 검토한다"가 핵심 포인트인거 같아요. 커버드콜 종목은 옵션 매도를 통해서 분배금 재원을 마련한다고 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정해진 분배수익률을 맞추기 위해 원금을 팔아치우면서까지 분배금을 지급한다는 의심이 특정 종목들에 대해선 거의 확신에 가까울 정도거든요.

그런데 마침 금융감독원의 이번 조사를 통해서 옥석 가리기가 가능해질거라는 기대가 있어요. 결국 분배금 재원 마련을 위해 원금에 손을 댔느냐 안 댔느냐에 대한 확인이 꼭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에요.

 

 

■ 수익률 비교  

기사에서 소개된 동일 컨셉의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주가 비교 그래프와 배당수익률 비교했어요.

 

ㅁ 주가수익률 비교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이 상장한 24년 12월 3일부터 주가 수익률 비교 시, RISE는 현재까지 11.71% 상승한 반면, KODEX는 15%가 상승하면서 주가 수익률에서 KODEX가 약 3.2% 우세하네요.

 

ㅁ 배당수익률 비교

 

25년 2월부터 8월까지 배당수익률을 비교했을 때 RISE는 월평균 1.49%의 분배금을 지급하여 비용을 감안한 연 분배수익률은 17.48%, KODEX는 월평균 1.43%의 분배금을 지급하며 비용을 감안한 연 분배수익률은 16.695%로 RISE가 KODEX 대비 약 0.5% 정도 높아요. 

 

배당수익률(=분배수익률)은 분배금을 주가로 나눈 수치이기 때문에 KODEX의 주가수익률이 RISE 대비 높기 때문에 KODEX의 배당수익률이 좀 낮게 보일 수도 있구요. 고려해야할 요소는 많아요.

 

ㅁ 투자를 고려한다면...

  • 두 종목 중에 선택을 해야한다면, 주가수익률+배당수익률이 더 높은 KODEX에만 투자를 할 수도 있구요.
  • 두 종목의 분배금지급일이 RISE는 월말, KODEX는 월중이기 때문에 두 종목에 동시에 투자하여 월중에 받은 KODEX 분배금으로 RISE를 사고, 월초에 받은 RISE 분배금으로 KODEX를 사는 식으로 한 달에 분배금을 두 번씩 받는 투자를 고려해볼 수도 있어요.

 

금감원의 커버드콜 실태 조사 결과가 나오게 되면, 그 때 결과도 공유하도록 할게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배대마진, 즉 배당과 대출이자의 차이를 이용한 돈 놓고 돈 먹기 투자를 실제로 해보고 있는데요,

네 번째 배당금을 받았고, 네 번째 대출이자를 납입했어요.

 

오늘 그 내역을 정리해서 공유해볼게요.

 

※ 참고로 아래 글은 투자 권유나 홍보가 아닌 제가 실제로 진행하는 투자 내용을 공유하는 정도입니다.

 


■ 지난 스토리

  • 24년 11월 - 주택청약예금 납부금 580만원으로 예금담보대출 530만원을 금리 4.12%로 받음. 그리고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608주를 매수함
  • 24년 12월 - 608주에 대해서 81,742원(주당 134원)을 받아서 17,898원의 대출이자를 납부하고 남은 금액은 주식 7주를 추가 매수함
  • 25년 1월 - 615주에 대해서 77,490원 (주당 126원)을 받아서 18,516원의 대출이자를 납부하고 남은 금액은 주식 7주를 추가 매수함
  • 25년 2월 - 622주에 대해서 76,224원 (주당 127원)을 받아서 18,545원의 대출이자를 납부하고 남은 금액은 주식 8주를 추가 매수함

 

■ 배당금 입금

 

  • 1주당 128원씩해서 629주에 대한 배당금 80,512원을 받았어요.
  • 절세 계좌가 아닌 일반 계좌로 투자를 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번달엔 세금을 하나도 안 떼였어요.

 

■ 대출이자 납부

  • 530만원에 대한 대출이자 16,750원을 납부했어요.
  • 아직 대출원금은 1원도 갚지 않은 상태에요.
  • 따라서 이번달 배대마진은 배당금 80,512원에서 대출이자 16,750원을 뺀 63,762원이에요.

 

■ 배대마진 투자결정

① 매월 주식 잔고가 마이너스면 배대마진은 주식에 재투자 → 저가매수로 배당금 늘리기
② 매월 주식 잔고가 플러스면 배대마진은 대출 원금 상환  → 대출 원금 줄여서 대출이자 낮추기

 

  • 대출 이자를 상환하고 남은 배당 잔액에 대해선 위와 같은 기준을 설정해놨어요.
  • 배당을 받은 주식 평가금액이 마이너스면 주식에 재투자를 해서 평단가를 낮춤과 동시에 배당금을 늘리고,
  • 주식 평가금액이 플러스면 대출 원금을 일부라도 상환해서 다음달엔 대출 이자를 줄이는 쪽으로 투자하기로요.
  • 그런데 이번달은 주식 평가금액이 마이너스였어요. 그래서 주식을 추가매수하기로 했어요.
  • 대출이자 상환 후 남은 6만3천원과 계좌에 남아있던 예수금을 합해서 8주를 추가 매수했어요.

 

■ 총정리

  • 총 매수금액은 지난달 547만원에서 이번달 553만원이 됐고, 수량은 629주에서 637주가 됐어요.
  • 대출원금은 530만원 그대로이고, 대출이자는 16,750원을 납부했어요.
  • 대출이자를 내고 남은 금액은 63,762원이고, 대출원금 상환없이 주식 추가 매수에 사용했어요.
  • 주식계좌 평가금이 537만원이 되어서 현재 기준으로 모두 처분해서 대출원금을 상환하면 7만원이 남겠네요 ㅎㅎ

 


 

이렇게 4번째 배당금을 받고, 4번째 대출이자를 납부했어요.

다음달엔 주식 평잔이 플러스가 되어서 대출 원금을 일부 상환하는 내용도 작성하기를 바래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8월에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종목에 대해서 코스피 지수를 얼마나 잘 쫓아가는지 정리했었는데요,

최근 코스피의 변동성이 심해지기도 했고, 또한 이 종목의 월 분배금이 10월부터 상향되어서 다시 한 번 정리해봤어요.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주가와 배당금 지급 내역

 

  • 9월까지는 매월 배당금이 100~106원 정도 입금되며, 주가 대비 배당률은 월 1.2% 가량 됐었어요.
  • 그런데 10월에 갑자기 배당금이 140원까지 올라가면서 10월 140원, 11월 142원, 12원 134원을 지급하면서 주가 대비 배당률이 약 1.5%까지 올라갔어요.
  • 그러면 많은 사람들이 커버드콜에 대해 우려하는 "제 살 깎아먹기 배당"이 이뤄진건지 코스피 지수와 해당 종목의 주가를 비교해봤어요.

 

■ KODEX 200과 RISE 200위커 주가 비교

  • KODEX 200과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주가를 한 페이지에 합쳐놓은 그래프에요. 좌측의 시작지점은 초록색의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위치가 더 높았는데, 가장 오른쪽의 최근 주가는 초록색이 오히려 더 낮은 곳에 위치해 있어요. 막연히 KODEX 200 대비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주가가 더 떨어졌다는 걸 알 수 있어요.

 

  • KODEX 200과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시작점을 맞춰놓고, 지난 금요일까지의 주가 변화율을 비교한 그래프에요. 3월초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상장시점) 이후 KODEX 200은 10.01%가 하락한데 반해, RISE는 16.07%나 하락한 것을 알 수 있어요. 여기서 RISE의 배당금은 반영되지 않은 수치에요.
  • RISE의 배당금을 재투자 하지 않은 상황으로, 12월까지 RISE로 수령한 배당금은 총 1040원으로 이는 시작지점 주가 대비 10.28%에 해당하는 수치에요. 
  • 따라서, 최종 KODEX200은 10.01% 하락, RISE의 주가는 16.07% 하락, RISE의 배당금 반영 시 5.79% 하락으로 RISE가 약 4.22% 우세한 걸로 확인이 돼요.

 

  • RISE의 배당금을 매월 받자마자 재투자를 했을 때의 주가 변화율을 비교한 그래프에요.
  • 이 때 KODEX 200은 10.01% 하락,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은 6.57% 하락으로 RISE가 3.44% 우세한 걸로 확인이 돼요.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배당금을 재투자 했을 때와 재투자를 하지 않았을 때의 주가 비교 그래프에요. 배당금을 재투자 했을 경우엔 주가에 영향을 주지만, 재투자를 하지 않았을 땐 주가에 영향이 없으므로 재투자 했을 때 -6.57%,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 -16.07%로 주가 차이가 발생하지만, 주가가 아닌 수익률 측면에서 재투자 했을 때 -6.57%,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 -5.79%로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가 오히려 0.78% 유리했어요.
  • 우상향 하는 그래프에선 배당재투자가 수익률을 극대화하지만, 오히려 하락하는 장에선 수익률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걸 새삼 깨닫게 되는 데이타네요.

 

■ 결론

  • 단순히 주가만 비교했을 때 KODEX200이 RISE200위클리커버드콜 대비 6.06% 주가 우위
  • 재투자 하지 않은 배당금을 반영했을 때 KODEX 200이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대비 4.22% 수익률 열위
  • 배당금을 지속 재투자 했을 때 KODEX 200이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대비 3.44% 수익률 열위
  • 배당금을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와 재투자 했을 때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 0.78% 수익률 우위

 


 

배당금을 제외하면 커버드콜의 주가가 추종하는 지수 대비 더 떨어지는 것은 맞아요. 이 차이는 매월 발생하는 배당락에 의한 것으로 배당락은 커버드콜 뿐만 아니라 리츠에서도 있고, 많은 분들이 선호하는 미국배당다우존스에서도 배당락은 존재해요. 커버드콜이 더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그 차이가 더 도드라져 보일 수 있죠. 그렇지만 제 살 깎아먹는 배당이란건 좀 옛날 얘기가 아닌가 싶네요.

특성을 잘 이해하고 투자를 한다면, 분명 누군가에겐 유용한 종목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ETF 이름을 보면, 어느 증권사에서 출시한 상품인지를 알 수 있잖아요.

삼성은 KODEX, 미래에셋은 TIGER, 신한은 SOL, 한투는 ACE, KB는 KBSTAR에서 얼마전 RISE로 변경을 했는데요, 마찬가지로 한화는 ARIRANG에서 PLUS로 최근에 변경을 했어요.

 

그래서 배당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던 ARIRANG 고배당주 ETF는 PLUS 고배당주 로 종목명이 변경이 되었는데요,

그런 PLUS 고배당주에 커버드콜 옵션이 더해진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 이란 종목이 얼마전 상장을 했길래 해당 종목에 대해서 좀 알아본 내용을 공유하려고 해요.


■ 개요

   . 종목 소개

   . 분배금 지급현황

   . 구성종목 비교 (vs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 주가 비교 (vs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 결론


■ 종목소개

 

< 출처 : PLUS ETF 홈페이지 >

  • PLUS 고배당주는 2012년에 상장하여 국내 배당주 ETF로 많은 인기를 누려왔어요, 그 PLUS 고배당주에 커버드콜 옵션이 더해진 종목이라고 해요.
  • 그리고 매월 1.2%의 분배금을 지급한다고 되어 있어요. 

 


■ 분배금 지급현황

 

< 출처 : PLUS ETF 홈페이지 >

 

  • 8월 13일에 상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8월 분배금을 지급하기까지 했어요. 주당 130원을 지급했으며, 분배락 전일 주가가 10560원이었으므로 1.23% 정도 되네요. 
  • 주당과세표준액은 8원이라고 되어 있는데요, 실제로 130원의 배당금을 받았지만 8원에 대해서만 세금을 내고, 122원에 대해선 세금을 안 내도 된다는 뜻이에요. 이건 이 종목만 가진 특징이 아니라 국내 커버드콜 종목의 특징이에요.

 


 

■ 구성종목비교 (vs RISE200위클리커버드콜)

 

  • 국내 월배당 ETF 중에 "위클리옵션" 종목이 또 하나 있는데요, 바로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이에요. 이 종목과 종목 구성을 비교해보고자 해요. 아래는 제가 한 달 전 올렸던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종목 분석했던 내용이에요.

https://fortune7.tistory.com/manage/newpost/80?type=post&returnURL=https%3A%2F%2Ffortune7.tistory.com%2Fmanage%2Fposts

 

티스토리

좀 아는 블로거들의 유용한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 포트폴리오, 웹사이트까지 티스토리에서 나를 표현해 보세요.

www.tistory.com

 

  • 아래 표는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의 9월 20일 기준 구성종목 현황이에요. 두 종목 모두 원화예금을 보유하고 있고, 코스피위클리 어쩌고 하는 옵션, 그리고 RISE 200과 PLUS 고배당주 라는 오리지널(?) ETF 또한 구성종목으로 편입시켜놨어요. 오리지널 종목을 RISE는 21.6%나 편입했고, PLUS는 0.9% 밖에 안되네요. 그 외 개별종목으로 PLUS는 우리금융지주 5%, SKT 4.9%, KT&G 4.8% 등 배당주 위주로 동일 비중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 RISE 는 삼성전자 19%, SK하이닉스 5.5%, 현대차 2.2% 등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구성이 되어 있어요.

 

  • 아래표는 PLUS 고배당주와 RISE 200을 풀어버린 결과에요. PLUS 커버드콜이 PLUS 고배당주를 0.89% 만큼 보유하고 있는데, PLUS 고배당주에 들어있는 종목과 PLUS 커버드콜에 있는 종목이 중복되므로 PLUS 고배당주 내 종목 비중에 0.89%를 곱했을 때 실제로 PLUS 커버드콜의 종목 비중을 "실제비중" 이라고 표현했어요. RISE 커버드콜도 마찬가지로 RISE 200 내 종목 현황을 RISE 200의 비중인 21.59%의 비중으로 풀었을 때 RISE 커버드콜의 종목별 비중을 다시 계산한 값이에요.

 

  • PLUS 커버드콜 내에 PLUS 고배당주 비중은 0.89% 밖에 안됐었기 때문에 실제 비중의 변화가 크지 않지만, RISE 커버드콜은 삼성전자 비중이 19.2%에서 24.85%까지 증가하고, SK하이닉스 또한 5.53에서 7.15%로 증가했어요. 이렇게 다시 계산해보니, PLUS 커버드콜은 금융주와 배당주 위주로 종목별 5% 이내의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RISE 커버드콜은 삼성전자가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고 하이닉스, 현대차 처럼 시총 상위 종목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요.

 

■ 주가 비교 (vs RISE200위클리커버드콜)

 

 

  •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이 상장한 이후의 주가를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과 비교한거에요. 비록 한 달 밖에 안됐지만, PLUS는 횡보한 반면, RISE는 많이 하락을 해서 두 종목간 주가 수익률 차이는 무려 4.5%나 나네요. 그 이유는 위에서 얘기한 구성종목 현황으로 설명이 될거 같아요. RISE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비중이 32%나 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이 가능하네요.

■ 결론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분배금 지급내역 >

 

  • 5% 정도의 배당주 위주로 구성된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과 시총 상위 종목으로 구성된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은 본인의 성향에 따라 한 개를 선택할 수도 있지만, 두 개 종목을 동시에 보유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거 같아요. 
  • PLUS는 좀 더 두고봐야겠지만, PLUS ETF 홈페이지에도 있듯이 월 1.2%의 분배금 지급 시 연 14.4%가 되고, RISE 커버드콜은 약 12%가 돼요. 두 종목을 반반씩 보유할 경우 약 13.5%의 배당수익률이 가능해요.

 


 

 

얼마전 금감원에서 커버드콜 종목에 대해 유의하라는 주의보를 발령했었는데요, 스스로 알아보지 않고 하는 투자는 어느것인들 위험하지 않을 수 있겠나 싶어요. 

높은 분배수익률에만 현혹되지 않고, 분배금이 얼마나 꾸준한지, 주가 변동폭은 시장 대비 또는 추종지수 대비 괴리가 크지 않은지 등 잘 확인하고 투자를 한다면, 충분히 유용하게 활용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다음주도 모두 성투하는 한 주 되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