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4년 12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고, 새해 둘째 영업일인 1월 3일 금요일에 분배금 지급 예정이에요.

(참고로, SOL ETF는 하루 빠른 1월 2일인 목요일 지급 예정)

배당지급 기준일이 15일인 종목은 12월 17일에 이미 분배금이 지급되었어요.

 

​그럼 아래에서 각 종목별 분배금 지급 내용 확인해볼게요.

 


■ 테이블 설명

  1. 분배금 : 1주당 분배금
  2. 가격 : 분배락이 발생하기 전날 가격
  3. 수익률 : 매월 분배금을 가격으로 나눈 값
  4. 비용 : 연환산 시 값. 위의 값을 예로 들면 24년 6월 비용인 0.155%는 6월엔 연 0.155%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용이 발생했다는 의미로, 실제로는 0.155%의 1/12 정도의 비용 발생. 매월 10일 경 지난 달의 비용이 발표됨
  5. 월평균수익률 : 3번 월단위 수익률의 평균값
  6. 연평균수익률 : 월평균수익률에 12를 곱한 값
  7. 순수익률 : 월평균수익률에서 4번의 가장 최근 비용을 뺀 값

 


■ 분배금 수익률 순위 

 

전체 종목에 대해서 연환산 수익률이 높은 종목부터 낮은순으로 정렬한 결과에요.

지난달엔 1~79위까지 순위를 정렬했었는데요, 이번달은 84개로 또 늘었어요.

 

  •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도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이 24.48%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어요. 그렇지만, 이제 두 번째 배당이구요, 지난 달엔 주가 대비 2.45%의 배당을 했었는데요, 이번달은 1.63%로 조금 낮아졌어요. 앞으로의 추이는 지켜봐야겠지만, 2번째 종목 대비 배당수익률에서 5%나 높네요.

  • 커버드콜이 아닌 종목 중 배당수익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에요. 이 종목은 주가가 오르나 떨어지나 상관없이 매달 35원 수준의 배당금을 일정하게 지급하고 있어요.

  • 국내형 SCHD인 미국배당다우존스 중에는 ACE미국배당다우존스가 3.71%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어요. 그 다음은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3.58% >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3.57%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3.54%에요.

 

  • 낮은 순위에는 주식형, 채권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요, 특히 S&P500 지수 추종하는 종목들이 하위에 있는데요, 이건 어디까지나 배당수익률만을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했기 때문이구요, 실제로 주가수익률이 반영된 순위는 아니에요.

 

여기까지는 단순히 배당수익률 위주로 정렬해서 봤구요, 아래는 배당금, 주가, 비용 등을 각 ETF의 유형별로 나눠서 볼게요.

 


■ 유형별 주가, 분배금, 배당수익률 정리

    아래 표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종목들은 월말이 아닌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들이에요.

- 주식형

  • TIGER / SOL / ACE /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가 있어요. 이 중 ACE와 KODEX는 매월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고, TIGER와 SOL은 매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해요. 그래서 ACE와 TIGER를 보유하고 있다면 17일에 ACE 배당금으로 TIGER를 사고, 2일에 TIGER 배당금으로 ACE를 산다면 보름 단위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어요. 그러기 위해선 각각 약 300주씩 보유를 해야 가능해요. 12월 배당금은 ACE가 68원으로 가장 높았네요.

  • S&P 500 지수 추종하는 월배당 ETF는 배당수익률은 월 1% 미만인데요, 주가를 보면, SOL S&P500HANARO S&P500은 10월 대비 12월에 주가가 약 10% 정도 올랐어요. 반면 환헷지 종목인 RISE 미국S&P500(H)는 주가가 약 3% 정도 밖에 안 올랐어요. 원달러 환율 영향이 이런 차이를 만들었어요.
  • 배당귀족 1.65%, 배당킹 2.87%의 연배당이 가능해요. 

  •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액티브는 일반 펀드처럼 펀드매니저에 의해 운용되는 종목이라고 해요. 그래서 1%대의 높은 비용을 지급하지만, 올해 국내 증시가 죽을 쑨데 반해서 이 종목은 주가가 올해 약 30%나 올랐어요.
  • "고배당"이 붙은 종목들은 대부분 국내 은행주들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4% 후반에서 5%대의 배당수익률을 지급해요.

  • 코리아밸류업 종목들은 월배당이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12월 배당이 지급되지 않으며, 유일하게 Kodex만 10원의 배당금을 지급하네요.

 

- 채권형

  • 미국채 ETF들도 언헷지 종목은 주가의 변동이 작은데 반해, 헷지 종목은 주가가 더 떨어졌어요. 

 

 

- 커버드콜

  • 파란색으로 색칠되어 있는건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이에요.
  • 커버드콜 종목은 높은 배당률만 보지 마시고, 반드시 주가 변화도 함께 확인을 해야해요.

  • 미국 지수 및 테마를 추종하는 커버드콜 종목은 높은 배당수익률과 함께 주가 또한 상승했어요.

  • TIGER200커버드콜 부터가 국내 지수를 추종하는 커버드콜인데요, 국내 지수 추종 커버드콜은 주가도 떨어졌고, 배당금도 같이 하락했어요. 그래서 월단위 배당수익률은 변화가 없는데요, 그래서 반드시 배당금과 주가를 같이 확인해야해요.

 

- 리츠 & 혼합

  • 상장한지 얼마 안되어서 아직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은 종목들도 대기중인데요, 다음달엔 과연 얼마나 높은 배당금을 줄지 기대가 되네요.

 


 

이렇게 국내에 상장된 월배당 / 월분배 / 월지급 국내ETF를 살펴봤는데요.

요즘처럼 그 특성이 극명히 드러나는 시기도 없었던거 같아요.

 

국내 지수 커버드콜처럼 주가가 떨어지면 배당금도 같이 떨어져서 배당수익률만 봐서는 속기 쉬운 상황,

해외 지수 커버드콜처럼 주가도 오르고 배당금도 오르면서 일석이조의 혜택을 누리는 상황,

미국채처럼 헷지 종목은 미국채의 하락이 그대로 반영된 반면, 언헷지 종목은 주가의 하락이 환율로 방어가 된 상황.

 

엎친데 덮친 상황, 일석이조의 상황, 그나마 다행인 상황.

 

어떤 상황에 올라타느냐는 운이고,

요한건 꾸준히 당금을 투자하는 습관인거 같아요. ㅎㅎ

 

 

그러면 2025년에도 월배당으로 월세수입을, 월배당으로 월급을 만드는 날까지 모두 화이팅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돈 놓고 돈 먹기 투자를 실제로 해보고 있는데요,처음으로 배당금을 받았고, 처음으로 대출이자를 상환을 했어요.

 

오늘은 첫번째 배당받은 내역을 공유해보고자 해요.

 

 

※ 참고로 아래 글은 투자 권유나 홍보가 아닌 제가 실제로 진행하는 투자 내용을 공유하는 정도입니다.


 

■ 이전 글

https://fortune7.tistory.com/manage/newpost/91?type=post&returnURL=https%3A%2F%2Ffortune7.tistory.com%2Fmanage%2Fposts

 

티스토리

좀 아는 블로거들의 유용한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 포트폴리오, 웹사이트까지 티스토리에서 나를 표현해 보세요.

www.tistory.com

 

 

■ 배당금입금

 

  • 1주당 134원씩, 608주에 대한 배당금 81,472원이 입금이 됐어요.
  • 일반 계좌로 투자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지수 커버드콜이다보니 세금은 0원이네요.

 

■ 대출이자 납부

  • 530만원에 대한 대출이자로 17,898원을 납부를 했어요.
  • 따라서 이번달 배대마진은 81,472원에서 17,898원을 뺀 63,574원이에요.

 

■ 배대마진 투자결정

   ① 매월 주식 잔고가 마이너스면 배대마진은 주식에 재투자 → 저가매수로 배당금 늘리기
   ② 매월 주식 잔고가 플러스면 배대마진은 대출 원금 상환  → 대출 원금 줄여서 대출이자 낮추기

 

  • 대출 이자를 상환하고 남은 배당 잔액에 대해선 위와 같은 기준을 설정해놨어요. 배당을 받은 주식 평가금액이 마이너스면 주식에 재투자를 해서 평단가를 낮춤과 동시에 배당금을 늘리고, 주식 평가금액이 플러스면 대출 원금을 일부라도 상환해서 다음달엔 대출 이자를 줄이는 쪽으로 투자하기로요.
  • 그런데 이번달은 주식 평가금액이 마이너스였어요. 그래서 주식을 추가매수했어요.
  • 대출이자 상환 후 남은 6만3천원으로 아래와 같이 주식을 7주 추가매수를 했어요.

 

■ 총정리

  • 총 매수금액은 지난달 529만원에서 이제 535만원이 됐고, 수량은 608주에서 615주가 됐어요.
  • 대출원금은 530만원 그대로이고, 대출이자는 17,898원을 납부했어요.
  • 대출이자를 내고 남은 배당금은 63,574원이고, 원금 상환없이 주식 추가 매수에 사용했어요.

 


 

이렇게 첫번째 배당금을 받고, 첫번째 대출이자를 납부했어요.

다음달에도 이렇게 투자내역을 공유할게요.

 

모두 연말연시 건강하게 보내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8월에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종목에 대해서 코스피 지수를 얼마나 잘 쫓아가는지 정리했었는데요,

최근 코스피의 변동성이 심해지기도 했고, 또한 이 종목의 월 분배금이 10월부터 상향되어서 다시 한 번 정리해봤어요.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주가와 배당금 지급 내역

 

  • 9월까지는 매월 배당금이 100~106원 정도 입금되며, 주가 대비 배당률은 월 1.2% 가량 됐었어요.
  • 그런데 10월에 갑자기 배당금이 140원까지 올라가면서 10월 140원, 11월 142원, 12원 134원을 지급하면서 주가 대비 배당률이 약 1.5%까지 올라갔어요.
  • 그러면 많은 사람들이 커버드콜에 대해 우려하는 "제 살 깎아먹기 배당"이 이뤄진건지 코스피 지수와 해당 종목의 주가를 비교해봤어요.

 

■ KODEX 200과 RISE 200위커 주가 비교

  • KODEX 200과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주가를 한 페이지에 합쳐놓은 그래프에요. 좌측의 시작지점은 초록색의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위치가 더 높았는데, 가장 오른쪽의 최근 주가는 초록색이 오히려 더 낮은 곳에 위치해 있어요. 막연히 KODEX 200 대비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주가가 더 떨어졌다는 걸 알 수 있어요.

 

  • KODEX 200과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시작점을 맞춰놓고, 지난 금요일까지의 주가 변화율을 비교한 그래프에요. 3월초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상장시점) 이후 KODEX 200은 10.01%가 하락한데 반해, RISE는 16.07%나 하락한 것을 알 수 있어요. 여기서 RISE의 배당금은 반영되지 않은 수치에요.
  • RISE의 배당금을 재투자 하지 않은 상황으로, 12월까지 RISE로 수령한 배당금은 총 1040원으로 이는 시작지점 주가 대비 10.28%에 해당하는 수치에요. 
  • 따라서, 최종 KODEX200은 10.01% 하락, RISE의 주가는 16.07% 하락, RISE의 배당금 반영 시 5.79% 하락으로 RISE가 약 4.22% 우세한 걸로 확인이 돼요.

 

  • RISE의 배당금을 매월 받자마자 재투자를 했을 때의 주가 변화율을 비교한 그래프에요.
  • 이 때 KODEX 200은 10.01% 하락,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은 6.57% 하락으로 RISE가 3.44% 우세한 걸로 확인이 돼요.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의 배당금을 재투자 했을 때와 재투자를 하지 않았을 때의 주가 비교 그래프에요. 배당금을 재투자 했을 경우엔 주가에 영향을 주지만, 재투자를 하지 않았을 땐 주가에 영향이 없으므로 재투자 했을 때 -6.57%,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 -16.07%로 주가 차이가 발생하지만, 주가가 아닌 수익률 측면에서 재투자 했을 때 -6.57%,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 -5.79%로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가 오히려 0.78% 유리했어요.
  • 우상향 하는 그래프에선 배당재투자가 수익률을 극대화하지만, 오히려 하락하는 장에선 수익률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걸 새삼 깨닫게 되는 데이타네요.

 

■ 결론

  • 단순히 주가만 비교했을 때 KODEX200이 RISE200위클리커버드콜 대비 6.06% 주가 우위
  • 재투자 하지 않은 배당금을 반영했을 때 KODEX 200이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대비 4.22% 수익률 열위
  • 배당금을 지속 재투자 했을 때 KODEX 200이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대비 3.44% 수익률 열위
  • 배당금을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와 재투자 했을 때 재투자 하지 않았을 때 0.78% 수익률 우위

 


 

배당금을 제외하면 커버드콜의 주가가 추종하는 지수 대비 더 떨어지는 것은 맞아요. 이 차이는 매월 발생하는 배당락에 의한 것으로 배당락은 커버드콜 뿐만 아니라 리츠에서도 있고, 많은 분들이 선호하는 미국배당다우존스에서도 배당락은 존재해요. 커버드콜이 더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그 차이가 더 도드라져 보일 수 있죠. 그렇지만 제 살 깎아먹는 배당이란건 좀 옛날 얘기가 아닌가 싶네요.

특성을 잘 이해하고 투자를 한다면, 분명 누군가에겐 유용한 종목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4년 11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고, 12월 둘째 영업일인 12월 3일 화요일에 분배금 지급 예정이에요.

참고로, SOL ETF는 12월 2일 월요일 지급 예정이고, 15일 기준일인 종목은 11월 19일경에 이미 분배금이 지급되었어요.

 

​그럼 아래에서 각 종목별 분배금 지급 내용 확인해볼게요.

 


■ 테이블 설명

 


■ 분배금 수익률 순위 

 

전체 종목에 대해서 연환산 수익률이 높은 종목부터 낮은순으로 정렬한 결과에요.

지난달엔 1~76위까지 순위를 정렬했었는데, 이번달은 종목이 추가되어 79위까지 순위를 매겼어요.

 

  • 이번달에 수익률 1위에 오른 종목은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으로 10월 22일 상장해서 이번에 첫 분배금을 지급하는데요, 자그마치 월 2.45% 수준이고 이를 연으로 환산할 경우 29.45%에 달하네요. 아직 한 번의 분배금을 지급했을 뿐이기에 좀 더 지켜볼 필요는 있겠어요.

  • 수익률 상위 1~24위까지는 모두 커버드콜 종목이고 커버드콜 종목이 아닌 종목 중에는 리츠 ETF인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가 연수익률 7.85%로 가장 높네요.
  • 주식형 중에는 KODEX 대만테크고배당다우존스 7.48%로 가장 높으며, 채권형 중엔 KODEX 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 종목이 6.14%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어요.

  • 배당투자자들 사이에 인기가 높았던 ARIRANG 고배당주 ETF는 44위에 PLUS 고배당주이고 연 4.74%의 배당수익률이 가능해요.
  • K-SCHD, 한국판 슈드로 불리우는 미국배당다우존스 종목 중엔 ACE 미국배당다우존스가 연 수익률 3.62%로 57위에 가장 높이 위치해 있어요. 그 다음으로 TIGER, SOL, KODEX 순서네요.

  • 수익률 가장 낮은 위치에는 주로 채권형과 미국 S&P500 지수 추종형 ETF들이 있어요. 
  • 미국 지수에 투자를 할거라면 월배당을 받기보단 종목명 뒤에 "TR"이 붙은 배당을 지급하지 않고 자동으로 재투자 되는 상품을 선택하는 편이 나을거 같구요,
  • 배당킹, 배당귀족, 미국배당다우존스처럼 배당성장을 목표로 하는 투자,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에 동시 투자하는 투자 등 본인의 투자목적에 맞는 종목에 투자를 할 수도 있겠어요.

여기까진 단순히 배당수익률만 정렬해서 순위를 살펴봤구요,

아래에서는 유형별 종목, 배당금, 주가, 총비용도 같이 살펴볼게요.

 


■ 유형별 주가, 분배금, 배당수익률 정리

    아래 표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종목들은 월말이 아닌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들이에요.

- 주식형

  • K-SCHD, 한국판 슈드 종목들의 배당수익률은 3% 중반으로 ACE가 3.619%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TIGER 3.607%에요. TIGER와 SOL은 월말을 지급기준일로 하고 ACE와 KODEX는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해요. 만약 TIGER와 ACE를 동시에 갖고 있다면, TIGER 배당금으로 ACE에 재투자하고 ACE 배당금으로 TIGER에 재투자를 할 경우 보름 단위의 복리효과를 볼 수도 있어요.

  • 배당귀족, 배당킹, 다우존스30, 캐시카우 등의 종목은 배당수익률은 연 1% 초반으로 낮지만 주가가 9월 대비 많이 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을 예로 들면, 9월엔 주가가 12025원이었는데, 11월은 12870원으로 주가가 7% 이상 올랐고, 배당금 또한 22원에서 25원으로 약간 올랐어요.
  • 반면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에 집중 투자를 하는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는 배당수익률도 0.837%로 낮지만 주가 또한 9월의 11135원에서 9980원으로 10% 가량 하락했어요.

  • 올해 한국 증시에선 밸류업 흐름을 타고 은행주들의 주가가 많이 올랐는데요, 월배당 ETF 중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 KODEX 은행 같은 금융주 ETF들이 3~5%의 분배금과 함께 주가 상승도 있었어요.

 

- 채권형

  • 동일한 컨셉의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 종목 중에 TIGER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H)는 연 4.25%, KODEX iShares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는 연 3.94%의 배당수익률로 큰 차이는 없지만, 주가 측면에서 환헷지가 된 TIGER는 9월 대비 주가가 떨어진 반면, 언헷지 종목인 KODEX는 주가가 오히려 상승했어요.
  • 위의 표 마지막에 있는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와 아래 표의 첫칸에 있는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의 주가를 비교해봐도 (H)가 붙어있는 헷지 종목은 9월 대비 주가가 6.5%나 하락한 반면, 언헷지 종목은 1.2% 가량 하락해서 무려 5.3%나 차이가 발생했어요.

  • 채권형은 미국 장기채, 하이일드, 회사채 중에 어떤 종목에 투자를 할지 종목별 배당수익률과 주가 변화를 봐서 선택을 하면 될거 같아요.

 

- 커버드콜

 

  • 커버드콜 종목은 매달 신규로 생겨나고 있는데요, 높은 배당수익률만 볼게 아니라 주가 변화도 잘 비교해서 선택해야 해요. 종목명에 포함되어 있는 "위클리" "데일리타겟" "OTM" 등의 용어는 모르더라도, 종목명을 통해 한국에 투자를 하는지 미국에 투자를 하는지, 지수에 투자를 하는지 섹터 또는 테마에 투자를 하는지 정도는 확인한 후 추종하는 지수 대비 내가 투자하고자 하는 ETF의 주가와 격차가 얼마나 발생하는지 확인이 반드시 필요해요.

 

- 리츠 & 혼합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연 7.27%,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7.85%로 배당수익률 차이는 크지 않지만 TIGER는 11월 배당금이 10원이고, KODEX는 36원이에요. TIGER는 매월 배당금이 들쭉날쭉하고 KODEX는 고른 편이에요. 두 종목 모두 주가는 9월 대비 10%씩 떨어진 상태에요.

 

 


 

이렇게 국내에 상장된 월배당/월분배/월지급 ETF의 11월 분배금/배당금을 살펴봤는데요,

파란색 표시가 되지 않은 종목들은 매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들로 11월 27일까지 매수한 분들은 다음주 월요일(SOL ETF) 또는 화요일에 배당금을 지급받게 돼요.

 

그러면 월배당으로 월세수입을, 월배당으로 월급을 만드는 날까지 모두 화이팅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