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신규 월배당 ETF 2종을 상장했어요. 관련해서 정보 공유하고자 해요.

 

 


주요 상품 개요

  • 미래에셋자산운용이 7월 29일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ETF와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10채권혼합액티브 ETF를 신규 출시했어요. 기존 패시브 리츠 ETF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액티브 운용방식을 도입한 것이 핵심 특징이에요.

 

액티브 전략의 차별화 포인트

  • 새로운 ETF는 개별 리츠의 유상증자 참여 여부를 능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요. 신규자산 편입, 재무개선 상황, 시장 컨센서스 등을 종합 검토하여 긍정적 증자에는 신주인수권 교체매매나 초과청약으로 추가 이익을 실현하고, 부정적 증자에는 참여를 제한하거나 비중을 축소하는 전략을 구사할거라고 해요.

 

리츠 유상증자 이슈와 해결책

  • 현행법상 리츠는 배당가능이익의 90% 이상을 배당해야 하므로 신규 자산 편입이나 차환 자금 마련을 위해 유상증자가 불가피 한데요, 2024년 한화리츠(3,836억원), 롯데리츠(1,472억원), 신한알파리츠(1,859억원) 등 대기업 리츠들의 연이은 대규모 유상증자로 주가가 급락한 바 있어, 이를 해결할 상품에 대한 시장 니즈가 높았어요.
  • 위의 차트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주봉으로 작년 하반기 개별 리츠 종목의 대규모 유상증자로 인해 리츠 ETF 주가가 크게 하락한 모습의 차트에요. 
  •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액티브"라는 컨셉을 장착했다고 해요.

 

포트폴리오 구성의 특징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ETF는 시가총액 기준 국내 우량 리츠와 인프라 10종목에 집중 투자합해요. 기존 상품 대비 맥쿼리인프라 비중을 확대하고 해외리츠인 제이알글로벌리츠는 제외했어요. 맥쿼리인프라는 수도권 유료도로, 도시가스, 데이터센터, 항만 등 국내 대표 인프라 투자종목으로 배당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은 종목이에요.

 

시장 전망과 의미

  •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리츠 ETF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미래에셋운용의 이번 상품 출시는 리츠 ETF 시장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요. 업계에서는 기존 패시브 ETF의 유상증자 참여 의무로 인한 단기 수익률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 상품으로 평가하고 있어요.

 

수수료 및 배당정보

  • 배당지급기준일 - 기존에 상장되어 있던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채권 2 종목은 매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기 때문에 매월 초 분배금이 입금되지만, 신규 상장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10채권혼합액티브 2 종목은 지급기준일이 매월 15일이에요. 따라서 매월 중순 분배금이 입금될 예정이에요.
  • 수수료 - 네이버증권에서 조회해본 보수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0.08%,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0.06%로 "액티브"라길래 더 비쌀 줄 알았던 수수료도 오히려 더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결론

  • 장점 : "액티브" 컨셉으로 나쁜 유상증자 이슈를 피해갈 수 있을거란 기대, 기존보다 저렴한 수수료
  • 단점 : 아직 분배금 지급 이력이 없기에 확실하지 않은 분배수익률
  • 따라서, 분배수익률만 기존 종목의 8~9% 수준과 동일하다면, 기존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투자자도 이 종목으로 갈아타지 않을 이유가 없는거 같아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5년 7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어요.

7월 29일까지 주식을 매수했을 경우, 8월 둘째 영업일인 8월 4일에 분배금이 입금 예정이에요.

 

그럼 아래에서 2025년 7월 분배수익률 순위와 유형별, 종목별 분배금 확정 내역을 공유할게요.

 

개요

■ 표 설명

■ 분배금 수익률 순위

■ 유형별 분배 수익률, 주가, 비용 정리
   . 주식형
   . 채권형
   . 커버드콜
   . 리츠 & 혼합

※ 결론

 

 

■ 표 설명 

 

  • 분배금 : 1주당 분배금
  • 가격 : 분배락이 발생하기 전날 가격
  • 수익률 : 매월 분배금을 가격으로 나눈 값
  • 비용 : 연환산 시 값. 위의 값을 예로 들면 24년 6월 비용인 0.155%는 6월엔 연 0.155%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용이 발생했다는 의미로, 실제로는 0.155%의 1/12 정도의 비용 발생. 매월 10일 경 지난 달의 비용이 발표됨
  • 월평균수익률 : 월단위 수익률의 평균값
  • 연수익률 : (월평균수익률 x 12) - (비용 ÷ 12)

 

■ 분배금 수익률 순위

 

전체 종목에 대해서 연환산 수익률이 높은 종목부터 낮은순으로 정렬한 결과로 총 종목수는 111개에요.

아래 표에서 "연수익률"은 수수료까지 반영한 배당수익률로 실질적인 수익률이에요.

  • 7월 배당수익률 1등은 지난달에 이어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이에요. 자그마치 월2.18%의 배당을 하고, 이를 연으로 환산했을 때 무려 25.66%나 돼요. 주가가 떨어져서 배당수익률에 왜곡이 발생한건지는 밑에서 종목별로 주가와 배당금을 표기한 표에서 확인해볼게요.
  • 배당수익률 상위 34개는 모두 커버드콜 종목이에요.

  • 커버드콜이 아닌 종목 중에서 가장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는건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에요. 국내 리츠 ETF의 양대산맥(?)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배당수익률 7.76%로 KODEX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거 같지만, 이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배당정책이 변경되었기 때문으로 실제론 TIGER 또한 약 9%의 배당수익률이 나와요.

  • 이 위에 ACE / KODEX / SOL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가 포함되어 있는데요, 배당수익률 순위로는 TIGER > ACE > SOL > KODEX 순서인데요, 아주 근소한 차이에요.

 

 

■ 유형별 분배수익률, 주가, 비용 총정리

 

  • 살구색으로 색이 들어가 있는 종목은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이며, 해당 종목들의 주가는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 가격인 7월 11일 주가에요.
  • 마찬가지로 월말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의 주가는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 가격인 7월 29일 주가에요.
  • 아래 표에서는 배당수익률 뿐만 아니라, 배당금과 주가를 같이 볼 수 있도록 정리를 했어요.

 

□  주식형

  • ACE 미국배당퀄리티가 5월 13일에 상장하여 처음으로 리스트업 되었는데요, 6월 배당금에는 5월의 보름치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번달에 지급하 0.083%가 실제 수준이며, 이를 연으로 환산 시 0.996%로 1%가 안되는 수준이에요.

  • S&P500 지수 추종하는 ETF들은 비록 낮은 배당수익률이지만, 주가는 조금씩 상승을 함으로써 주가수익률이 배당수익률보다 괜찮았어요.

  • PLUS 고배당주는 오랫동안 배당 투자자들 사이에 인기가 많은 종목인데요, 최근에 주가가 크게 상승을 했어요. 지난달 대비해선 4% 상승, 5월 대비해선 18%나 상승을 했어요.

  • 국내 금융지주 및 코리아밸류업 ETF 들도 배당수익률 대비 주가수익률이 최근에 좋아졌어요. 

 

□  채권형

  • ACE 미국하이일드액티브(H), KODEX 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 이 두 종목은 약 6%의 배당금을 지급하며, 하이일드라는 이름에서 느껴지는 리스크랑 무관하게 주가 변화가 거의 없는 편인데요, 주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6% 수준의 배당금을 원한다면, 고려해볼만한 종목인거 같아요.

 

□  커버드콜

  •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이 3 종목은 최근 나스닥의 상승세와는 괴리가 너무 커졌는데요, 나스닥이 상승세일 때 주가가 그대로 유지된 수준이라 나스닥이 하락했을 땐 손실이 커질 우려가 있어요.

  • TIGER 배당커버드콜액티브는 7월 배당금으로 평소 0.65% 수준의 3배나 되는 1.98%의 배당금을 지급하기로 했으며, 주가 또한 최근 두 달 13% 상승하여 배당수익률과 주가수익률 모두 잡은 모습이에요.

  • 오랫동안 배당수익률 1, 2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고, 현재는 2, 3위로 내려온 RISE 미국테크100데일리고정커버드콜, 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의 주가를 확인해보면, 1~2달 전 대비 주가도 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어요.

  • RISE, TIGER,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 중 주가수익률 측면에선 TIGER가 가장 열위에 있는게 확인돼요.

  • 국내 증시 상승으로 국내 지수를 기초로 하는 커버드콜 종목도 성적이 좋은 편인데요, 특히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은 최근 배당금도 상승했을 뿐만 아니라 주가도 상승을 해서 배당수익률, 주가수익률 모두 괜찮아요.

  • 배당수익률 1위를 기록한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을 보면, 매월 2.2%에 해당하는 배당금을 지급하며, 주가는 보합에 가까운 수준인데요, 주가가 계속 보합인 상태에서 매월 2%씩 배당을 받을 수 있다면 그것도 정말 괜찮은 조건일거 같아요.

 

□  리츠

  • 연수익률을 계산할 때 이번달이 7월이므로 24년 8월부터 25년 7월까지의 월평균수익률을 연수익률로 환산하는데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올해 2월까진 들쑥날쑥한 배당금을 지급하다가 3월부터 33원으로 균등 지급을 결정하면서 배당수익률에 왜곡이 생겼어요. 그래서 33원으로 계산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배당수익률은 9%로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와 비슷한 수준이에요.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액티브 종목 2개가 7월 29일에 상장을 했는데요, 기존 TIGER 리츠와 다르게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월중배당 상품이에요. 작년 말 개별 리츠 종목의 대량 유상증자로 인한 주가 하락이 리츠 ETF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어 주가 하락이 컸는데요, "액티브" 종목이다보니 이런 리스크를 회피하는데 유리할거라고 하네요.

 

□  혼합

  • 국내 증시 상승과 함께 KODEX 배당성장채권혼합도 주가수익률은 괜찮은 편인데, 배당수익률이 너무 형편없네요.
  • 위에 있는 혼합 종목들은 안전자산 30%는 의무적으로 담아야 하는 IRP 계좌에서 투자를 하게끔 유도하는 상품들인거 같아요.

 

 

 

※ 결론

  • 높은 배당수익률에 현혹되지 말것!
  • 배당금과 함께 주가도 살펴볼 것!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5년 6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어요.

6월 26일까지 주식을 매수했을 경우, 7월 둘째 영업일인 7월 2일에 분배금이 입금 예정이에요.

 

그럼 아래에서 2025년 6월 분배수익률 순위와 유형별, 종목별 분배금 확정 내역을 공유할게요.

 

개요

■ 표 설명

■ 분배금 수익률 순위

■ 유형별 분배 수익률, 주가, 비용 정리
   . 주식형
   . 채권형
   . 커버드콜
   . 리츠 & 혼합

※ 결론

 

 

■ 표 설명 

  • 분배금 : 1주당 분배금
  • 가격 : 분배락이 발생하기 전날 가격
  • 수익률 : 매월 분배금을 가격으로 나눈 값
  • 비용 : 연환산 시 값. 위의 값을 예로 들면 24년 6월 비용인 0.155%는 6월엔 연 0.155%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용이 발생했다는 의미로, 실제로는 0.155%의 1/12 정도의 비용 발생. 매월 10일 경 지난 달의 비용이 발표됨
  • 월평균수익률 : 월단위 수익률의 평균값
  • 연수익률 : (월평균수익률 x 12) - (비용 ÷ 12)

 

■ 분배금 수익률 순위 

 

전체 종목에 대해서 연환산 수익률이 높은 종목부터 낮은순으로 정렬한 결과로 총 종목수는 112개에요.

아래 표에서 "연수익률"은 수수료까지 반영한 배당수익률로 실질적인 수익률이에요.

 

  • 굉장히 오랫만에 배당수익률 1위 종목이 바뀌었어요. 몇 개월 동안 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이 배당수익률 1위 자리를 지켜왔는데요, 이번달은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이 1위에 랭크됐어요. 그런데 4월에 상장을 해서 이제 두 번의 배당을 했을 뿐이므로 더 지켜볼 필요가 있어요.

  • 커버드콜 제외 시 가장 높은 배당수익률의 종목은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이며, 배당수익률 8.89%에요.

  • 맨 밑에 있는 ACE 3종목(ACE 미국배당퀄리티+커버드콜액티브, ACE 미국배당퀄리티, ACE 미국배당퀄리티채권혼합50)은 5월13일에 상장한 종목으로 이번에 첫 배당을 하므로, 순위에선 제외 시켰어요. 다음달부턴 온전한 한 달치의 배당금 확인이 가능하므로 순위에 편입될 예정이에요.

 

■ 유형별 분배 수익률, 주가, 비용 정리 

 

  • 살구색으로 색이 들어가 있는 종목은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이며, 해당 종목들의 주가는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 가격인 6월 11일 주가에요.
  • 마찬가지로 월말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의 주가는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 가격인 6월 26일 주가에요.

 

▶ 주식형

  • 미국의 SCHD 또한 주가흐름이 좋지 못한 상태이다보니, ACE, TIGER, SOL,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는 3개월째 주가가 제자리 걸음 중이에요. 

  •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액티브는 한 달 동안 주가가 22%나 상승을 했구요, 배당 또한 22%를 상승하며 엄청난 상승을 했어요. 액티브 종목이다보니 비용이 1%가 넘는다는 단점이 있지만, 최근 국내 시장 상승과 함께 주가도 배당도 엄청난 상승세네요.
  • KODEX 고배당주, TIGER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 모두 매월 큰 폭으로 주가가 오르고 있어요.

  • 코리아밸류업 종목들도 최근 엄청난 주가 상승을 기록하고 있는데요, 배당금 측면에선 TIGER 코리아밸류업 외에는 일정한 분배금을 지급하지 않고 있어 아쉬워요.

 

 

▶ 채권형

  • 회사채, 금융채 종목들은 주가 변동이 크지 않으면서 3~4%의 배당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어요. 낮은 배당수익률은 아쉽지만, 배당금 재투자를 통해 안정적으로 복리 효과를 누리려면 선택 옵션이 될 수도 있을거 같아요.

  • 트럼프가 지속적으로 파월의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는데요, 금리 인하가 단행된다면 미국30년국채 ETF들은 주가가 상승하면서 배당수익률은 떨어지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을거 같아요.

 

 

 

▶ 커버드콜

 

  • 아래 차트를 보면, 나스닥100 지수를 비교적 잘 따라가던 나스닥100 추종 커버드콜 종목들이 지수와 괴리가 커졌어요.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이 3 종목 모두요. 나스닥은 최고점을 갱신한 상태인데, 나스닥이 더 상승한다고 해도 그 상승분을 전혀 못 쫓아가고 있고, 나스닥이 떨어진다고 하면 하락은 반영될 수도 있는 리스크가 생긴 상태니 주의 필요해요.

  • 미국지수를 추종하는 커버드콜 종목보다 국내 지수를 추종하는 커버드콜 종목들의 성적이 오히려 우수한 편이에요.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은 지난달 대비 주가는 10.5% 상승을 했고, 배당금은 12%가 상승을 했어요.
  • RISE 200고배당커버드콜ATM 또한 올초 주가 8170원에서 9445원까지 15% 넘게 주가가 상승을 했으며, 배당금 또한 59원에서 67원까지 매월 조금씩 상승을 하고 있어요.

  •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은 무려 매월 2%가 넘는 배당을 하면서 연배당수익률이 25%에 달하구요, 주가 또한 지난달 대비 이번달 소폭 상승을 하면서 엄청난 수익률을 보여주네요. 과연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해요.

 

▶ 리츠 & 혼합

  • 국내 리츠 ETF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PLUS K리츠 이 3 종목은 주가가 계속 하락하면서 배당수익률이 올라가고 있는 형태에요. 국내 금리인하라는 호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 불황과 공실 증가, 폭탄 유상증자 등의 이슈로 주가는 연일 하락세에요.

 

▶ 신규

  • 5월 13일에 ACE 미국배당퀄리티 3총사가 상자을 했는데요, 이번엔 5월 13일~6월까지 약 한달 반에 해당하는 분배금이 계산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다음달부터가 온전히 한 달치의 배당이 얼마인지 확인 가능해요.

 

※ 결론

  • 결론은 늘 동일한데요
  • 높은 배당수익률에 현혹되지 말것!
  • 배당금과 함께 주가도 살펴볼 것!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5년 5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어요.

5월 28일까지 주식을 매수했을 경우, 6월 둘째 영업일인 6월 4일에 분배금이 입금 예정이에요.

 

그럼 아래에서 2025년 5월 분배수익률 순위와 유형별, 종목별 분배금 확정 내역을 공유할게요.

 


개요


■ 표 설명

■ 분배금 수익률 순위

■ 유형별 분배 수익률, 주가, 비용 정리
   . 주식형
   . 채권형
   . 커버드콜
   . 리츠 & 혼합

※ 결론

 

 

■ 표 설명 

 

  • 분배금 : 1주당 분배금
  • 가격 : 분배락이 발생하기 전날 가격
  • 수익률 : 매월 분배금을 가격으로 나눈 값
  • 비용 : 연환산 시 값. 위의 값을 예로 들면 24년 6월 비용인 0.155%는 6월엔 연 0.155%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용이 발생했다는 의미로, 실제로는 0.155%의 1/12 정도의 비용 발생. 매월 10일 경 지난 달의 비용이 발표됨
  • 월평균수익률 : 월단위 수익률의 평균값
  • 연수익률 : (월평균수익률 x 12) - (비용 ÷ 12)

 

■ 분배금 수익률 순위 

 

전체 종목에 대해서 연환산 수익률이 높은 종목부터 낮은순으로 정렬한 결과로 총 종목수는 106개에요.

아래 표에서 "연수익률"은 수수료까지 반영한 배당수익률이에요.

  • 이번달도 1위~31위까지는 모두 커버드콜 종목이 배당수익률 상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요.
  • 그 중 1~5위까지의 순위는 몇 개월째 변동이 없어요.

  • 커버드콜 제외 시 가장 높은 배당수익률의 종목은 리츠ETF로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이며, 월평균 배당수익률은 0.75%, 비용 포함한 연 배당수익률은 약 8.8% 수준이에요.

  • 105, 106위에 위치한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 SOL 팔란티어국채커버드콜혼합은 4월 22일 상장 후 이번달에 처음 분배금을 지급하는데요, 이번 분배금에는 4월 22일~30일까지의 수익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제일 아래 위치해놨어요. 6월 분배금을 봤을 때 정확한 한 달치의 수익률 확인이 가능해요.

 

 

■ 유형별 분배 수익률, 주가, 비용 정리 

 

  • 살구색으로 색이 들어가 있는 종목은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이며, 해당 종목들의 주가는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 가격인 5월 13일 주가에요.
  • 마찬가지로 월말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의 주가는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 가격인 5월 28일 주가에요.

 

▶ 주식형

  • 한국판 SCHD로 불리는 ACE / KODEX / SOL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의 주가가 4월엔 3월 대비 10% 가까이 하락을 했었는데요, 이번달에도 지난달 대비 약 2% 가량 추가 하락을 한 상태에요.  미국배당다우존스 종목 중 유일하게 환헷지 종목인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만 지난달 대비 1.5% 가량 주가 상승이 있었어요. 이는 SCHD 주가는 올랐지만, 원달러 환율이 떨어진 결과라고 볼 수 있겠네요.

 

  • S&P 500 지수 추종하는 ETF들은 지난달 대비 주가 상승이 있었던 반면,
  •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는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에도 주가가 많이 떨어지면서 2달 동안 주가 수익률은 무려 -11%에요.

 

  •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액티브 5.9%, KODEX 고배당 9.5%, PLUS고배당주 11.6%, TIGER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12.3%, SOL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 14.8%. 2 달 동안 기록한 주가 수익률이에요. 최근 국내 증시에서 배당주 또는 지주사들의 주가 상승률이 높았는데요, ETF에서도 고배당과 은행주를 담고 있는 ETF들은 배당수익과 함께 주가수익도 누릴 수 있었어요.

 

  • 코리아밸류업 ETF들도 고배당주 ETF들만큼은 아니더라도 최근 주가가 많이 상승했어요. 

 

  • KIWOOM 미국방어배당성장나스닥은 월 0.135%의 배당금을 지급하지만 수수료가 연 1.68%로 너무 높아서 배당 열심히 모아도 전부 수수료로 나갈 판이에요. 

 

▶ 채권형

  • ACE 미국하이일드액티브, KODEX 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 같은 하이일드 채권 ETF는 주가 변동이 크지 않으면서 연 6% 가량의 배당수익률을 올릴 수 있어서 나름 안정적인거 같아요.

 

 

 

▶ 커버드콜

  •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라도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은 지난달 대비 이번달 주가가 하락한 반면,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은 지난달 대비 주가가 상승했어요. 이 세 종목을 비교해놓은 글은 아래 링크 걸어놨으니 혹시 나스닥100 커버드콜에 투자하고 싶으신 분들은 참고하세요.

※ 참고 - 나스닥100 추종 커버드콜 ETF 비교분석

https://fortune7.tistory.com/entry/%EB%AF%B8%EA%B5%AD%EC%A6%9D%EC%8B%9C-%EB%8C%80%ED%95%98%EB%9D%BD-%EB%82%98%EC%8A%A4%EB%8B%A5-100-%EC%A7%80%EC%88%98-%EC%B6%94%EC%A2%85%ED%95%98%EB%8A%94-%EC%BB%A4%EB%B2%84%EB%93%9C%EC%BD%9C-%EB%B6%84%EC%84%9D

 

미국증시 대하락! 나스닥 100 지수 추종하는 커버드콜 분석

안녕하세요. 트럼프 관세 영향으로 인해 전세계 증시가 폭락을 하고 있어요.특히 미국은 그 어느 나라보다 큰 폭으로 하락을 하고 있는데요,미국3대 지수인 다우산업, 나스닥, S&P500 지수가 이틀

bluegosari.com

 

  • 상장 이후 줄곧 배당수익률 1위와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종목이 여기에 있어요. 1위는 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이고 2위는 RISE미국테크100데일리고정커버드콜이에요. 이 두 종목의 주가 추이를 보면, 4월엔 3월 대비 주가가 크게 하락을 했었지만, 이번달엔 4월 대비 주가가 상승하면서 3월과 거의 비슷한 수준까지 회복된걸 확인할 수 있어요.

 

  • RISE / TIGER /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 3종목 모두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도 주가가 약 5%씩 하락을 한 상태에요.

 

  • 위에 있는 종목들은 한국에 투자하는 커버드콜 종목들로 대부분의 종목이 지난달 대비 주가가 상승했는데요,
  • 그 중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은 지난달 대비 주가가 무려 8%나 상승을 해서 월 1.5%의 배당수익과 함께 주가수익률도 누릴 수 있었어요.

 

  • SOL 팔란티어국채커버드콜 종목은 4월 22일 상장 이후 첫 분배금을 지급하는데요, 이는 한 달치가 아니라 4월22일~30일까지도 추가된 부분이라 정확한 월평균 수익률은 6월 분배금을 받아봐야 알 수 있어요.
  • SOL 골드커버드콜액티브는 특이하게도 금과 프리미엄 매도가 결합된 종목이에요. 금에 투자하면서 배당수익률까지 노리는 종목이라고 하는데요 과연 금 시세를 어느 정도까지 따라가는지 나중에 따로 확인해볼 예정이에요.

 

▶ 리츠 & 혼합

  • 리츠 ETF의 배당수익률은 이젠 확실히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가 제일 높네요. 

 

  • KIWOOM 리츠이지스액티브는 적은 거래량으로 인해 상폐가 결정되었어요.

 

  • 개별종목 + 채권이 혼합된 ETF들은 배당수익률의 매력은 없고, 연금계좌를 통해 개별 종목에 투자하고 싶으신 분들께 적합한 종목일 수도 있겠네요.

 

※ 결론

  • 결론은 늘 동일해요.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높은 배당수익률에 현혹되지 말고, 주가도 같이 살펴서 배당금이 올라서 배당수익률이 상승한 진짜 상승인지, 
  • 아니면, 배당금은 동일하거나 떨어졌는데도 불구하고 주가가 더 크게 떨어져서 배당수익률이 올라간 거서럼 보이는 착시인지, 반드시 확인 후 좋은 종목을 선택하여 오래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