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대표 리츠 ETF 중 하나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가 분배금 지급 방식을 변경한다는 공지를 띄웠어요.
사실 그 동안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들쭉날쭉한 분배금 때문에 리츠 ETF를 통해서 월세 받는 기분을 누리기가 좀 애매했는데요, 이번에 그 부분을 개선해서 매월 고른 분배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오늘은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그동안 분배금 지급 이력을 살펴보고, 또 다른 리츠 ETF인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PLUS K리츠와 성과를 비교해보고자 해요.

 

개요

 분배금 지급방식 변경 공지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역대 분배금 지급이력

■ 리츠ETF 3종 2024년도 분배금 지급이력 비교

■ 주가 수익률 비교

■ 배당수익률 비교

■ 주가수익률 + 배당수익률

※ 마무리 의견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분배금 지급방식 변경 공지 (출처 : TIGER ETF 홈페이지)

https://www.tigeretf.com/ko/customer/notice/view.do?listCnt=10&pageIndex=1&detailsKey=600&q=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역대 분배금 지급 이력

  • 과거 분배금 지급 이력을 보면, 이번달은 48원, 다음달은 40~45원의 분배금을 지급할 확률이 높았는데요, 갑자기 매달 33원씩 지급하기로 결정하면서, 이번달과 다음달은 왠지 손해 보는 느낌도 없지 않아 있어요.

 

  • 그런데 앞으로 계속 33원을 지급한다고 가정하면 올해 총 379원의 분배금을 지급하는게 되고, 이는 작년에 총 지급한 분배금 335원 대비 13%가 증가한 금액이 돼요. 이대로만 지급이 된다면 좋을거 같아요.

 

■ 리츠ETF 2024년도 분배금 지급이력 비교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PLUS K리츠 3 종목의 2024년 월별 분배금을 비교해봤어요. 
  • TIGER는 8원~45원까지 제일 적은 달과 많은 달이 5배 넘게 차이가 나요.
  • 반면 KODEX는 30~39원, PLUS는 40~50원으로 꽤 균등하게 지급이 된 걸 알 수 있어요.
  • TIGER 또한 KODEX나 PLUS처럼 매월 고른, 그래서 예측 가능한 분배금을 지급하겠다는 결정을 한거에요.

 

■ 리츠ETF 주가 수익률 비교

 

  • 3 종목의 최근 1년 주가 수익률을 비교를 해보면, TIGER는 6.1% 하락 > PLUS는 6.6% 하락 > KODEX는 10.2% 하락을 했어요. 주가 수익률에선 TIGER가 가장 우수했네요. 

 

■ 리츠ETF 배당 수익률 비교

  • 3 종목의 배당수익률을 비교를 해봤어요.
  • 1년 배당수익률 비교 시 TIGER는 7.23% < PLUS는 7.89% < KODEX는 8.51% 순으로 주가수익률과는 정반대 순으로 높아요. 

 

■ 주가수익률 + 배당수익률

  • 단순히 1년 동안의 주가수익률에 배당수익률을 더한 합산 수익률은 TIGER 1.13%, KODEX -1.68%, PLUS 1.29%로 PLUS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KODEX는 유일하게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어요.

 

※ 마무리 의견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3월 28일 종가는 4230원으로 위에서 언급했듯이 올해 총 379원의 분배금을 지급받게 된다면 분배금 수익률 약 8.95%로 꽤 높은데다가, 
  • 지금까지 들쭉날쭉했던 분배금을 개선해서 매월 꾸준하게 지급을 한다면, 부동산 월세 받는 효과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 반면, 작년 연말에 리츠주들이 대거 유상증자를 실시하면서 개별 리츠주는 물론 리츠 ETF까지 가격이 크게 하락을 했다는 단점도 있으니 주의할 필요는 있어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배대마진, 즉 배당과 대출이자의 차이를 이용한 돈 놓고 돈 먹기 투자를 실제로 해보고 있는데요,

네 번째 배당금을 받았고, 네 번째 대출이자를 납입했어요.

 

오늘 그 내역을 정리해서 공유해볼게요.

 

※ 참고로 아래 글은 투자 권유나 홍보가 아닌 제가 실제로 진행하는 투자 내용을 공유하는 정도입니다.

 


■ 지난 스토리

  • 24년 11월 - 주택청약예금 납부금 580만원으로 예금담보대출 530만원을 금리 4.12%로 받음. 그리고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608주를 매수함
  • 24년 12월 - 608주에 대해서 81,742원(주당 134원)을 받아서 17,898원의 대출이자를 납부하고 남은 금액은 주식 7주를 추가 매수함
  • 25년 1월 - 615주에 대해서 77,490원 (주당 126원)을 받아서 18,516원의 대출이자를 납부하고 남은 금액은 주식 7주를 추가 매수함
  • 25년 2월 - 622주에 대해서 76,224원 (주당 127원)을 받아서 18,545원의 대출이자를 납부하고 남은 금액은 주식 8주를 추가 매수함

 

■ 배당금 입금

 

  • 1주당 128원씩해서 629주에 대한 배당금 80,512원을 받았어요.
  • 절세 계좌가 아닌 일반 계좌로 투자를 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번달엔 세금을 하나도 안 떼였어요.

 

■ 대출이자 납부

  • 530만원에 대한 대출이자 16,750원을 납부했어요.
  • 아직 대출원금은 1원도 갚지 않은 상태에요.
  • 따라서 이번달 배대마진은 배당금 80,512원에서 대출이자 16,750원을 뺀 63,762원이에요.

 

■ 배대마진 투자결정

① 매월 주식 잔고가 마이너스면 배대마진은 주식에 재투자 → 저가매수로 배당금 늘리기
② 매월 주식 잔고가 플러스면 배대마진은 대출 원금 상환  → 대출 원금 줄여서 대출이자 낮추기

 

  • 대출 이자를 상환하고 남은 배당 잔액에 대해선 위와 같은 기준을 설정해놨어요.
  • 배당을 받은 주식 평가금액이 마이너스면 주식에 재투자를 해서 평단가를 낮춤과 동시에 배당금을 늘리고,
  • 주식 평가금액이 플러스면 대출 원금을 일부라도 상환해서 다음달엔 대출 이자를 줄이는 쪽으로 투자하기로요.
  • 그런데 이번달은 주식 평가금액이 마이너스였어요. 그래서 주식을 추가매수하기로 했어요.
  • 대출이자 상환 후 남은 6만3천원과 계좌에 남아있던 예수금을 합해서 8주를 추가 매수했어요.

 

■ 총정리

  • 총 매수금액은 지난달 547만원에서 이번달 553만원이 됐고, 수량은 629주에서 637주가 됐어요.
  • 대출원금은 530만원 그대로이고, 대출이자는 16,750원을 납부했어요.
  • 대출이자를 내고 남은 금액은 63,762원이고, 대출원금 상환없이 주식 추가 매수에 사용했어요.
  • 주식계좌 평가금이 537만원이 되어서 현재 기준으로 모두 처분해서 대출원금을 상환하면 7만원이 남겠네요 ㅎㅎ

 


 

이렇게 4번째 배당금을 받고, 4번째 대출이자를 납부했어요.

다음달엔 주식 평잔이 플러스가 되어서 대출 원금을 일부 상환하는 내용도 작성하기를 바래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 월배당 ETF의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국내 월배당 ETF는 지급 기준일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한 종류는 매월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고, 나머지 한 종류는 매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고 있어요.

그 중 오늘은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월배당ETF의 배당금이 확정되었기에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자 해요.

 


■ 지급 기준일과 지급일

  • 지급기준일 : 3월 14일 (3월 12일까지 매수한 주식)
  • 지급일 : 3월 18일

 

■ 분배금 현황

  • 종목별 배당금, 배당락 전 주가, 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월별 배당수익률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 미국배당다우존스 중에서도 월배당금의 등락이 좀 있는 편이에요. 24년 12월은 68원, 25년 1월은 39원, 2월은 28원으로 지속 떨어지다가 이번달은 46원으로 올라갔어요. 비용까지 차감한 연배당수익률은 3.6%에요.
  • PLUS 코리아밸류업 : 미국배당다우존스처럼 코리아밸류업 ETF도 증권사별로 출시가 되어 있는데요, 그 중에서 가장 높은 배당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어요. 

 

  • 위에 있는 표들 중에서 제일 위에 있는 두 종목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1호,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제외하고는 3월달 주가가 지난달 대비 10% 넘게 떨어진 점을 주의깊게 보실 필요가 있어요. 나스닥 기술주 위주의 커버드콜 종목들은 주가와 함께 배당금도 크게 떨어졌어요. 

 

  • KODEX 미국30년국채타겟커버드콜 : 1월달 대비 주가도 오르고 배당금도 주가 대비 1%를 지급하고 있어요.
  •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 연초 대비 주가도 2% 가량 오르고 배당금도 증가했는데요, 연 배당수익률이 8.4%로 리츠 ETF 중에는 가장 높은 배당수익률의 종목이에요.
  • SOL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KODEX 배당성장채권혼합, KODEX 삼성전자채권혼합은 IRP 계좌에 100% 담을 수 있는 종목이에요.

 


 

분배금과 분배수익률만 보지 마시고, 주가도 같이 확인해서 과도한 배당금을 지급하기 위해 주가가 심하게 훼손되지는 않는지 여부도 꼭 확인하셔서 좋은 투자하시길 바래요.

 

3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의 경우, 3월 27일까지 매수를 하시면 4월 2일에 배당금을 받을 수 있어요.

반응형
반응형

 

 

최근 테크 시장에서 가장 큰 화두 중 하나는 테슬라와 나스닥 지수의 주가 하락이에요.

투자자들 사이에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이번 하락세의 원인과 향후 전망에 대해 간략히 분석을 해봤어요.

 

개요
■ 테슬라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
   1. 일론 머스크 관련 논란과 소비자 반감
   2. 경쟁심화
   3. 공급망 이슈와 비용 증가
   4. 금리 인상 영향 (금리 인하 지연)
■ 나스닥 지수 하락의 배경
   1.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
   2. 테크섹터 전반의 조정
   3. 거시경제적 불확실성
   4. AI 관련 기대감 조정
■ 향후 전망과 투자 전략
   1. 테슬라의 반등 가능성
   2. 나스닥의 향후 방향성
■ 결론

 

■ 테슬라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

 

테슬라는 그동안 전기차 시장의 선두주자로서 높은 성장세를 보여왔지만, 최근 몇 가지 요인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하고 있어요.

 

1. 일론 머스크 관련 논란과 소비자 반감

정부효율부 수장인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의 논란적 행보와 정치적 발언은 미국 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비호감을 불러일으키고 있어요. 특히 소셜 미디어에서의 논쟁적 발언과 정치적 입장 표명은 일부 소비자층의 불매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는 중이에요. '테슬라 보이콧' 해시태그가 소셜 미디어에서 확산되며, 실제 미국 내 일부 지역에서는 테슬라 신규 주문이 감소하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어요. 또한 브랜드 이미지 하락으로 인해 중고 테슬라 차량의 가치 하락도 가속화되고 있어요.

머스크의 행보가 테슬라 브랜드와 분리되지 않는 현실에서, CEO 리스크는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요.

 

2. 경쟁 심화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요.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사들이 전기차 라인업을 확대하면서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에 도전하고 있어요. 특히 중국 시장에서 BYD, 샤오펑 등 현지 브랜드의 성장이 테슬라의 입지를 약화시키고 있는 중이에요.

 

3. 공급망 이슈와 비용 증가

반도체 부족과 같은 글로벌 공급망 문제는 테슬라의 생산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또한 트럼프 관세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은 생산 비용 증가로 이어져 수익성에 압박을 가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어요.

 

4. 금리 인상 영향 (금리 인하 지연)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정책은 성장주인 테슬라와 같은 기업들에 특히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요, 미국의 안정적인 고용과 잘 통제된 인플레이션은 미국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추고 오히려 인상까지 우려되는 상황이에요. 높은 금리 환경에서는 미래 수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할 때 할인율이 높아져 주가 평가에 불리하게 작용해요.

 

 

■ 나스닥 지수 하락의 배경

나스닥 지수는 테크 기업들의 주가 성과를 대표하는 지표로, 최근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중국 및 기타 국가에 대한 관세 정책 강화 기조는 나스닥 지수에 상당한 불확실성을 가져오고 있어요. 특히 10-20%의 일괄 관세 도입 가능성은 글로벌 공급망에 크게 의존하는 테크 기업들에게 직접적인 타격이 될 수 있어요. 애플, 인텔, AMD 등 주요 테크 기업들은 중국에서 상당 부분의 제품을 생산하거나 부품을 조달하고 있어 관세 인상은 이들 기업의 원가 구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요. 또한 관세로 인한 중국과의 무역 갈등 심화는 중국 시장에서 미국 테크 기업들의 사업 환경을 악화시킬 수 있기도 해요.

투자자들은 이러한 관세 정책이 실제 실행될 경우 테크 기업들의 마진과 수익성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선제적으로 반영하여 주가를 조정하고 있는걸로 추측돼요.

 

2. 테크 섹터 전반의 조정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급등했던 테크 주식들은 경제 활동 정상화와 함께 조정 국면을 맞이하고 있어요. 특히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던 기업들이 수익성 압박에 직면하면서 투자자들의 신중한 태도가 확산되고 있어요.

 

3. 거시경제적 불확실성

인플레이션 우려와 경기침체 가능성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주요 요인이에요. 미국의 긴축 통화정책과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또한 시장의 불안정성을 높이고 있어요.

 

4. AI 관련 기대감 조정

AI 붐으로 상승했던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주가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이하면서 나스닥 지수 하락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 향후 전망과 투자 전략

 

1. 테슬라의 반등 가능성

 

테슬라는 여전히 강력한 브랜드 파워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요. 자율주행 기술 발전과 에너지 저장 사업 확대, 새로운 모델 출시 등이 중장기적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어요. 또한 생산 효율성 개선을 통한 원가 절감 노력도 수익성 회복에 도움이 될 전망이에요.

다만 일론 머스크의 이미지 개선과 소비자 신뢰 회복이 테슬라의 장기적 성공을 위한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어요. 회사와 CEO의 이미지 분리 전략 또는 기업 거버넌스 개선 노력이 투자자들에게 긍정적 신호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요.

 

2. 나스닥의 향후 방향성

테크 섹터의 혁신은 계속되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과 AI 발전은 장기적 성장 트렌드로 유효해요. 다만, 단기적으로는 매크로 환경과 무역 정책에 따른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요.

관세 정책의 실제 이행 수준과 범위, 미국과 중국 간 협상 진전 여부가 나스닥 지수의 중요한 변수가 될 거에요. 특히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관련된 기업들의 대응 전략이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을 전망이에요. 또한 금리 정책의 향방과 실적 발표도 시장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걸로 예상돼요.

 

 

■ 결론

 

테슬라와 나스닥의 주가 하락은 단기적인 조정일 수도 있지만, 기업 펀더멘털과 거시경제 환경, 정책적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어요. 테슬라의 경우 기술적 강점과 시장 선도자 위치는 여전히 유효하지만, CEO 리스크 관리와 소비자 신뢰 회복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어요.

 

나스닥 기업들은 관세 인상에 대비한 공급망 다변화와 비용 구조 최적화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요. 투자자들은 장기적 관점에서 우량 기업 중심의 분산 투자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해요. 시장 변동성이 큰 시기일수록 감정적 대응보다는 객관적 데이터에 기반한 투자 결정이 중요해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