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전에 삼성전자와 외국인지분율에 대한 글을 3번 썼었구요, 오늘 4번째 글을 쓰려고 해요.

 

  이전글

  - 1편. 삼성전자 주가, 진짜로 외국인이 사면 오르고, 팔면 떨어질까? (24년 11월 16일)

https://fortune7.tistory.com/entry/%EC%82%BC%EC%84%B1%EC%A0%84%EC%9E%90-%EC%A3%BC%EA%B0%80-%EC%A7%84%EC%A7%9C%EB%A1%9C-%EC%99%B8%EA%B5%AD%EC%9D%B8%EC%9D%B4-%EC%82%AC%EB%A9%B4-%EC%98%A4%EB%A5%B4%EA%B3%A0-%ED%8C%94%EB%A9%B4-%EB%96%A8%EC%96%B4%EC%A7%88%EA%B9%8C

 

삼성전자 주가, 진짜로 외국인이 사면 오르고, 팔면 떨어질까?

안녕하세요. 요즘 한국 주식시장 난리도 아니죠?특히 국장 시총 1등 주인 삼성전자의 하락세가 무서운데요.며칠전 4만전자까지 내려갔다가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소식으로 7%대의 반등을 하며 한

bluegosari.com

 

  - 2편. 삼성전자 주가, 외국인 지분율 최저치 근접 (25년 1월 7일)

https://fortune7.tistory.com/entry/%EC%82%BC%EC%84%B1%EC%A0%84%EC%9E%90-%EC%A3%BC%EA%B0%80-%EC%99%B8%EA%B5%AD%EC%9D%B8-%EC%A7%80%EB%B6%84%EC%9C%A8-%EC%B5%9C%EC%A0%80%EC%B9%98-%EA%B7%BC%EC%A0%91

 

삼성전자 주가, 외국인 지분율 최저치 근접

안녕하세요. 25년 새해가 밝고, 증시가 개장한지 아직 일주일이 안됐지만,우려와 달리 나름 선전하고 있는 국내 증시에요. 국내 증시의 시총 1등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의 90%가 손실중이라는

bluegosari.com

 

  - 3편. 삼성전자, 돌아온 외국인? (25년 6월 15일)

https://fortune7.tistory.com/entry/%EC%82%BC%EC%84%B1%EC%A0%84%EC%9E%90-%EB%8F%8C%EC%95%84%EC%98%A8-%EC%99%B8%EA%B5%AD%EC%9D%B8

 

삼성전자, 돌아온 외국인?

안녕하세요. 오늘은 삼성전자 주가와 외국인 지분율의 관계를 살펴보는 3 번째 글이에요. 1편은 24년 11월 16일에 삼성전자 주가와 외국인 지분율 간의 관계를 살펴봤었구요,2편은 25년 1월 7일에

bluegosari.com

 

 

  4편. 외국인 이제 조금 담았을 뿐

  • 2018년 12월부터 25년 9월 23일까지의 삼성전자 주가와 외국인 지분율 추이를 같이 그린 그래프에요.
  • 이 기간 동안 외국인 지분율의 최저치는 49.24%였고, 최고치는 58.01%였어요. 그리고 가장 최근은 51.25%로 최저치 대비 약 2%p 상승을 했구요, 최대치까지는 약 6.8%p가 남았어요.
  • 최저치를 0으로, 최고치를 100으로 봤을 때 현재 위치는 바닥에서 23% 올라온 위치라고 할 수 있구요.

  • 그런데, 항상 외국인 지분율이 주가를 견인하진 않았어요.
  • 대표적으로 위의 연두색 사각형 부분을 보면, 이때는 2020년 코로나 직후로 동학개미 운동이라고 불리며, 개인들의 매수세가 시장을 주도했던 때로 이때만큼은 개인의 영향력이 더 컸었어요.
  • 그런데 연두색 부분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서 외국인 지분율과 삼성전자의 주가가 비슷한 추세로 움직였어요.

  • 오른쪽으로 이동한 연두색 표시 부분을 보면, 최근엔 외국인 지분율이 아주 조금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무려 55000원부터 85000원까지 약 50%를 상승한 모습인데요,

  • 이전에 외국인의 매매 추이를 보면, 첫번째 타원 구간인 20년 10월 ~ 22년 8월까지 무려 1년 10개월 동안 매도세를 유지하는 동안 삼성전자 주가는 91000원에서 54000원까지 약 40% 하락을 했구요.
  • 두번째 타원 구간인 22년 8월 ~ 24년 7월까지는 무려 2년 동안 매수세를 유지했는데요, 이때 주가는 54000원에서 91000원까지 약 68% 상승을 했어요.
  • 그리고 세번째 타원 구간은 24년 8월 ~ 25년 6월까지 10개월에 걸쳐 가파르게 매도를 했는데요, 이때는 주가가 91000원에서 50000만원까지 45% 하락을 했어요.
  • 위의 그래프를 통해서 외국인들은 한 번 매매 포지션을 잡으면 한 두달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서 매수를 했다가 매도를 하고 있으며, 이때마다 주가를 50% 씩 들었다놨다를 반복하고 있어요.
  • 이런 관점에서 보면, 현재의 매수 포지션은 25년 7월을 시작으로 본다면 이제 3개월째인데 주가는 전고점까지 다가가고 있는 중이에요. 그러니 이전에 그랬듯 장기간의 매수포지션의 초입이라고 한다면, 삼성전자 주가가 이번엔 10만원을 돌파할지도...?
  • 반면, 2020년 11월 이전의 모습에선 이런 장기간 포지션을 유지하는 모습이 보이진 않기 때문에 충분히 반론의 여지도 있어요.

  • 투자자별 매매동향을 봐도 확실히 개인은 팔고, 외국인이 사면서 주가가 올라가고 있는 모습이에요.

 

  • 삼성전자의 10년 차트를 보면, 21년 1월에 기록했던 96800원이 최고점인데요, 이번에 3번의 시도만에 10만원을 돌파할지, 아니면 또 다시 10만원의 문턱에서 밀릴지 두고 볼만하네요.

 

  결론

  • 이제 외국인 매수의 초입 부분. 어쩌면 10만원을 돌파할지도? 란 생각이 드네요.

 

※ 투자 권유 아닌 개인 의견일 뿐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삼성전자 주가와 외국인 지분율의 관계를 살펴보는 3 번째 글이에요.

 

1편은 24년 11월 16일에 삼성전자 주가와 외국인 지분율 간의 관계를 살펴봤었구요,

2편은 25년 1월 7일에 역대 최저치까지 근접했던 외국인 지분율과 주가의 상관관계를 확인했었어요.

 

그리고 오늘은 2편의 반복일지도 모르지만,

최근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을 확인해보려고 해요.

 

요즘 외국인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주식을 많이 매수했다고 하는데 진짜 그런지 살펴보려구요.

 

 

■ 이전글

. 1편 - 삼성전자 주가, 진짜로 외국인이 사면 오르고, 팔면 떨어질까? (24년 11월 16일)

https://fortune7.tistory.com/entry/%EC%82%BC%EC%84%B1%EC%A0%84%EC%9E%90-%EC%A3%BC%EA%B0%80-%EC%A7%84%EC%A7%9C%EB%A1%9C-%EC%99%B8%EA%B5%AD%EC%9D%B8%EC%9D%B4-%EC%82%AC%EB%A9%B4-%EC%98%A4%EB%A5%B4%EA%B3%A0-%ED%8C%94%EB%A9%B4-%EB%96%A8%EC%96%B4%EC%A7%88%EA%B9%8C

 

삼성전자 주가, 진짜로 외국인이 사면 오르고, 팔면 떨어질까?

안녕하세요. 요즘 한국 주식시장 난리도 아니죠?특히 국장 시총 1등 주인 삼성전자의 하락세가 무서운데요.며칠전 4만전자까지 내려갔다가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소식으로 7%대의 반등을 하며 한

bluegosari.com

 

. 2편 - 삼성전자 주가, 외국인 지분율 최저치 근접 (25년 1월 7일)

https://fortune7.tistory.com/entry/%EC%82%BC%EC%84%B1%EC%A0%84%EC%9E%90-%EC%A3%BC%EA%B0%80-%EC%99%B8%EA%B5%AD%EC%9D%B8-%EC%A7%80%EB%B6%84%EC%9C%A8-%EC%B5%9C%EC%A0%80%EC%B9%98-%EA%B7%BC%EC%A0%91

 

삼성전자 주가, 외국인 지분율 최저치 근접

안녕하세요. 25년 새해가 밝고, 증시가 개장한지 아직 일주일이 안됐지만,우려와 달리 나름 선전하고 있는 국내 증시에요. 국내 증시의 시총 1등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의 90%가 손실중이라는

bluegosari.com

 


 

■ 외국인 비중 현황 ( ~25년 6월 13일)

  • 역대 외국인비중 최저치는 22년 9월의 49.27% 였는데요, 25년 6월 13일 기준으로는 49.82%로 역대 최저치에 근접한 모습이에요.
  • 위의 표에서 빨간 선을 보면, 외국인의 비중이 단기간엔 짧게 올랐다 내렸다를 반복하지만 큰 흐름은 몇 개월 또는 1년 넘게 지속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25년 3월 50.73%까지 올랐을 때만 해도 지분율 하락이 멈추고 상승세로 전환되는 줄 알았었어요.
  • 그런데 다시 매도세로 전환해서 현재는 49.82%까지 떨어진 상태에요.
  • 그리고 올해 삼성전자의 주가는 5만전자를 못 벗어나고 있는 상태이구요.

 

  • 함부로 예상을 하면 안되겠지만, 지금의 상태를 
호재가 없는게 악재인 상태 + 외국인 지분율 최저치 근접 + 새 정부의 정책 드라이브

 

이렇게 볼 수가 있을거 같은데요.

 

만약,

 

호재가 없는게 악재인 상태인데 호재가 나온다면?

외국인 지분이 더 이상 떨어지지 않고 올라간다면?

상법개정으로 외국인이 더 들어온다면?

 

이라는 가정을 해보면, 지금은 팔 때라기보단 살 때가 맞는거 같단 생각이 드네요.

 

 

※ 절대 종목 추천이 아니며, 현재의 데이타를 공유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25년 새해가 밝고, 증시가 개장한지 아직 일주일이 안됐지만,

우려와 달리 나름 선전하고 있는 국내 증시에요.

 

국내 증시의 시총 1등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의 90%가 손실중이라는 삼성전자의 2024년 4분기 잠정실적 발표가 조만간 있을 예정이에요.

 

그래서 오늘은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을 업데이트 해서 공유해볼게요.

 


 

■ 이전 글

  • 이전 글에서 삼성전자의 주가와 외국인 지분율이 매우 상관관계가 높다는 글을 썼었어요.

https://fortune7.tistory.com/manage/newpost/93?type=post&returnURL=https%3A%2F%2Ffortune7.tistory.com%2Fmanage%2Fposts

 

티스토리

좀 아는 블로거들의 유용한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 포트폴리오, 웹사이트까지 티스토리에서 나를 표현해 보세요.

www.tistory.com

 

 

■ 삼성전자주가 & 외국인 지분율 (Update)

  • 2018년부터 외국인 지분율과 삼성전자의 주가를 비교했을 때 2018년 9월 20일 경이 외국인 지분율 49.27%로 최저치였었어요. 당시 삼성전자 주가는 9만원에서 5만원 초반까지 떨어졌었구요.
  • 공교롭게도 최근 주가가 당시와 비슷한 5만원 초반대이고, 외국인 지분율도 당시의 49.27% 대비 약 1.2% 정도 많은 50.46%에요.

  • 기간을 좀 확대해서 보면요, 본격적인 외국인 매도와 주가 하락이 시작된 8월 1일 이후로 25년 1월 7일까지 총 거래일 104일 중에 외국인의 지분율이 전날 대비 증가한 날은 총 17일이구요, 12월 1일 이후로 25년 1월 7일까지 총 거래일 24일 중에는 3일 밖에 안돼요.
24년 8월 1일 ~ 25년 1월 7일 : 총 거래일 104일, 전날 대비 지분율 증가한 날 17일
24년 12월 1일 ~ 25년 1월 7일 : 총 거래일 24일, 전날 대비 지분율 증가한 날 3일

 

 

■ 결론

  • 외국인 지분율 이전 최저치와 주가는 동일 수준
  • 현재의 외국인 지분율은 이전 최저치 대비 1.2% 아직 많은 수준
  • 삼성전자 관련해서 많은 뉴스가 있지만, 그 많은 뉴스들이 외국인 지분율로 반영이 됐다고 하면, 역사적 매도세를 갱신하던지, 아니면 이젠 반등할 때인지, 곧 향방이 결정될거 같네요.

 


 

※ 투자 권유와 절대 무관한 내용으로 데이타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 한국 주식시장 난리도 아니죠?

특히 국장 시총 1등 주인 삼성전자의 하락세가 무서운데요.

며칠전 4만전자까지 내려갔다가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소식으로 7%대의 반등을 하며 한 주를 마무리하긴 했어요.

 

삼성전자가 하락하는 동안 "외국인들이 무섭게 팔아치운다", "7월 이후 단 3일(?)을 빼곤 계속 순매도 중이다"란 뉴스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진짜로 외국인이 얼마나 팔고 있는지? 진짜로 외국인이 팔면 떨어지는지? 직접 확인을 해봤어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진짜로 외국인이 무섭게 팔고 있고, 외국인이 팔면 떨어진다! 입니다.

 


■ 삼성전자 주가와 외국인 지분율 비교

  • 비교 기간 : 2018.12.12 ~ 2024.11.15

  삼성전자의 총 주식수는 59억 6978만주( 5,969,782,550)에요. 2018년 12월에 자사주 소각(약 4억5천만주)이 한 번 있었고, 현재의 주식수는 2018년 12월 12일부터 쭉 동일해요. 그래서 2018년 12월 12일부터 현재까지 삼성전자 주가와 외국인의 지분율을 비교해봤어요.

 

  • 동일한 추세

  등락폭까지 완전히 동일하진 않지만, 외국인 지분율이 오르면 주가도 오르고, 외국인 지분율이 떨어지면 주가도 떨어지는 추세는 일치하는걸로 보여요. 

 

  • 시기별 외국인 지분율과 삼성전자 주가

  2022년 9월말은 외국인 지분이 가장 낮았을 때로 49.24%를 기록했고, 이 때 삼성전자 주가는 52,600원으로 십만전자를 바라본 이후로 가장 낮은 주가를 기록했어요. 

  이후 2022년 9월부터 2024년 7월까지 외국인 지분은 49.24%에서 56.46% 까지 7.22% 늘어나는 동안 삼성전자 주가는 

52,600원에서 87,600원까지 66.5%가 상승을 했어요.

  2024년 7월에 외국인 지분 56.46%를 기록한 이후 11월 15일에 51.72%로 4.74% 줄어드는 동안 삼성전자 주가는 43%가 하락을 했어요.

 

 

■ 현재 지분율에서 과거 주가

 

가장 최근 외국인 지분율이 51.72% 이었을 때는 23년 4월말 경으로 당시 주가는 약 65,000원 정도였고, 그 이전에도 주가는 항상 7만원 이상에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어요.

 

 

■ 매수구간, 매도구간

 

  공교롭게도 이전 매수구간은 2020년 11월말부터 2022년 9월말까지 22개월이었고, 매도구간도 2022년 9월말부터 2024년 7월중순까지 대략 22개월이었는데요, 현재는 24년7월중순부터 4개월째 진행중이에요. 앞으로 18개월은 더 매도를 할거 같다기보단 한 번 포지션을 잡으면 장기간 동안 꾸준히 매수를 하던지 매도를 하던지 했었다는 의미에요. 그러니 하루빨리 외국인이 매수 포지션으로 전환을 해서 삼성전자의 깜짝 반등이 아니라 긴 기간을 두고 꾸준히 올라줬으면 좋겠네요.

 

설마 오만전자 가겠냐 했는데 오만전자가 됐고, 설마 사만전자 가겠냐 했는데 사만전자까지 찍고 올라왔어요. 외국인 지분율 역시 과거에 가장 낮은 수준은 49.24% 이고, 현재는 51.72%로 약 2.5% 정도의 마진이 있는 상태지만, 외국인의 매도가 지분율 49.24%에서 멈춘다는 보장도 없어요. 

결국 삼성전자의 실적과 실력이 뒷받침 돼 줘야 하는 거겠죠.

 


 

요즘 뉴스를 통해 외국인 매도로 인해 삼성전자가 크게 하락을 하고 있다는 기사를 많이 접하다보니, 직접 외국인 지분율과 삼성전자 주가의 관계를 확인해봤는데요, 결론은 "외국인은 한 번 포지션을 잡으면 오래 간다"인거 같아요. 외국인이 순매수로 포지션을 전환한다면, 삼성전자 주가 흐름도 좋아지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