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 월배당 ETF의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국내 월배당 ETF는 지급 기준일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한 종류는 매월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고, 나머지 한 종류는 매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고 있어요.

그 중 오늘은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월배당ETF의 배당금이 확정되었기에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자 해요.

 


■ 지급 기준일과 지급일

  • 지급기준일 : 8월 14일 (8월 12일까지 매수한 주식)
  • 지급일 : 8월 19일 (SOL ETF는 8월 18일)

 

■ 분배금 현황

  • 종목별 배당금, 배당락 전일 주가, 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월별 배당수익률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 위의 표만 보면, 미국의 배당주에 투자하는 ETF와 한국의 배당주에 투자하는 ETF 이렇게 두 종류가 있는데요, 두 부류 모두 지난달 대비 이번달은 주가가 조금씩 하락을 했어요. 

  • 위의 표에 있는 종목 중에는 미국의 빅테크 종목들이 담겨 있는 커버드콜 ETF들의 주가 상승률이 눈에 띄는데요, 특히 TIGER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종목은 월 1.2%의 배당수익에 더해서 주가도 지난달 13495원에서 이번달 14500원으로 약 7.4%의 주가수익도 있었어요.
  • 뿐만 아니라 ACE 미국빅테크7+데일리타겟커버드콜, ACE 미국500데일리타겟커버드콜도 모두 배당수익에 더해 주가수익률까지 얻을 수 있었어요.
  • 반면 ACE 미국반도체데일리타겟커버드콜은 1.25%의 배당수익은 있지만, 지난달에 비해 이번달 주가는 조금 하락을 했어요. 그렇지만 두 달전 주가와 비교하면 현재의 주가는  약 7.4% 오른 상태에요. 

  •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은 월 배당수익률 1.4% 수준이며, 비용을 제외한 연 환산수익률도 16.7%에 달할 정도로 높아요. 매월 정산하는 배당수익률 순위에서도 5위권에 해당하는 배당수익률을 기록하는 종목이에요. 주가수익률도 지난달에 비해 이번달은 조금 떨어졌지만 두 달전에 비하면 6.5% 가량 오른 상태에요.
  • PLUS 고배당주위클리고정커버드콜은 PLUS 고배당주에 커버드콜을 더한 종목인데요, 배당수익률은 15.8%에 달하지만 주가는 PLUS 고배당주도 못하고, 배당은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보다 못한거 같아요.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TOP10액티브,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10채권혼합액티브는 7월 말에 상장을 해서 아직 배당은 없구요, 다음달부터 배당을 할텐데 과연 어느 정도의 배당수익률이 가능한 종목인지 궁금하네요.

  • 위에 있는 채권혼합 종목들은 배당수익률, 주가수익률 모두 투자매력도가 낮은데요, 안정성을 위해서라면 채권혼합이 아니라 채권을 선택하는 편이 나은 선택일거 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이에요.

 


 

오늘 리스트업 한 종목은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월중배당 종목들이었구요,

매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월배당 종목들은 이번달 31일이 일요일이므로, 29일이 지급기준일이에요.

따라서 27일까지 매수를 하면, 9월 2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5년 7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어요.

7월 29일까지 주식을 매수했을 경우, 8월 둘째 영업일인 8월 4일에 분배금이 입금 예정이에요.

 

그럼 아래에서 2025년 7월 분배수익률 순위와 유형별, 종목별 분배금 확정 내역을 공유할게요.

 

개요

■ 표 설명

■ 분배금 수익률 순위

■ 유형별 분배 수익률, 주가, 비용 정리
   . 주식형
   . 채권형
   . 커버드콜
   . 리츠 & 혼합

※ 결론

 

 

■ 표 설명 

 

  • 분배금 : 1주당 분배금
  • 가격 : 분배락이 발생하기 전날 가격
  • 수익률 : 매월 분배금을 가격으로 나눈 값
  • 비용 : 연환산 시 값. 위의 값을 예로 들면 24년 6월 비용인 0.155%는 6월엔 연 0.155%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용이 발생했다는 의미로, 실제로는 0.155%의 1/12 정도의 비용 발생. 매월 10일 경 지난 달의 비용이 발표됨
  • 월평균수익률 : 월단위 수익률의 평균값
  • 연수익률 : (월평균수익률 x 12) - (비용 ÷ 12)

 

■ 분배금 수익률 순위

 

전체 종목에 대해서 연환산 수익률이 높은 종목부터 낮은순으로 정렬한 결과로 총 종목수는 111개에요.

아래 표에서 "연수익률"은 수수료까지 반영한 배당수익률로 실질적인 수익률이에요.

  • 7월 배당수익률 1등은 지난달에 이어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이에요. 자그마치 월2.18%의 배당을 하고, 이를 연으로 환산했을 때 무려 25.66%나 돼요. 주가가 떨어져서 배당수익률에 왜곡이 발생한건지는 밑에서 종목별로 주가와 배당금을 표기한 표에서 확인해볼게요.
  • 배당수익률 상위 34개는 모두 커버드콜 종목이에요.

  • 커버드콜이 아닌 종목 중에서 가장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는건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에요. 국내 리츠 ETF의 양대산맥(?)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배당수익률 7.76%로 KODEX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거 같지만, 이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배당정책이 변경되었기 때문으로 실제론 TIGER 또한 약 9%의 배당수익률이 나와요.

  • 이 위에 ACE / KODEX / SOL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가 포함되어 있는데요, 배당수익률 순위로는 TIGER > ACE > SOL > KODEX 순서인데요, 아주 근소한 차이에요.

 

 

■ 유형별 분배수익률, 주가, 비용 총정리

 

  • 살구색으로 색이 들어가 있는 종목은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이며, 해당 종목들의 주가는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 가격인 7월 11일 주가에요.
  • 마찬가지로 월말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의 주가는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 가격인 7월 29일 주가에요.
  • 아래 표에서는 배당수익률 뿐만 아니라, 배당금과 주가를 같이 볼 수 있도록 정리를 했어요.

 

□  주식형

  • ACE 미국배당퀄리티가 5월 13일에 상장하여 처음으로 리스트업 되었는데요, 6월 배당금에는 5월의 보름치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번달에 지급하 0.083%가 실제 수준이며, 이를 연으로 환산 시 0.996%로 1%가 안되는 수준이에요.

  • S&P500 지수 추종하는 ETF들은 비록 낮은 배당수익률이지만, 주가는 조금씩 상승을 함으로써 주가수익률이 배당수익률보다 괜찮았어요.

  • PLUS 고배당주는 오랫동안 배당 투자자들 사이에 인기가 많은 종목인데요, 최근에 주가가 크게 상승을 했어요. 지난달 대비해선 4% 상승, 5월 대비해선 18%나 상승을 했어요.

  • 국내 금융지주 및 코리아밸류업 ETF 들도 배당수익률 대비 주가수익률이 최근에 좋아졌어요. 

 

□  채권형

  • ACE 미국하이일드액티브(H), KODEX 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 이 두 종목은 약 6%의 배당금을 지급하며, 하이일드라는 이름에서 느껴지는 리스크랑 무관하게 주가 변화가 거의 없는 편인데요, 주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6% 수준의 배당금을 원한다면, 고려해볼만한 종목인거 같아요.

 

□  커버드콜

  •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이 3 종목은 최근 나스닥의 상승세와는 괴리가 너무 커졌는데요, 나스닥이 상승세일 때 주가가 그대로 유지된 수준이라 나스닥이 하락했을 땐 손실이 커질 우려가 있어요.

  • TIGER 배당커버드콜액티브는 7월 배당금으로 평소 0.65% 수준의 3배나 되는 1.98%의 배당금을 지급하기로 했으며, 주가 또한 최근 두 달 13% 상승하여 배당수익률과 주가수익률 모두 잡은 모습이에요.

  • 오랫동안 배당수익률 1, 2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고, 현재는 2, 3위로 내려온 RISE 미국테크100데일리고정커버드콜, 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의 주가를 확인해보면, 1~2달 전 대비 주가도 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어요.

  • RISE, TIGER,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 중 주가수익률 측면에선 TIGER가 가장 열위에 있는게 확인돼요.

  • 국내 증시 상승으로 국내 지수를 기초로 하는 커버드콜 종목도 성적이 좋은 편인데요, 특히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은 최근 배당금도 상승했을 뿐만 아니라 주가도 상승을 해서 배당수익률, 주가수익률 모두 괜찮아요.

  • 배당수익률 1위를 기록한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을 보면, 매월 2.2%에 해당하는 배당금을 지급하며, 주가는 보합에 가까운 수준인데요, 주가가 계속 보합인 상태에서 매월 2%씩 배당을 받을 수 있다면 그것도 정말 괜찮은 조건일거 같아요.

 

□  리츠

  • 연수익률을 계산할 때 이번달이 7월이므로 24년 8월부터 25년 7월까지의 월평균수익률을 연수익률로 환산하는데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올해 2월까진 들쑥날쑥한 배당금을 지급하다가 3월부터 33원으로 균등 지급을 결정하면서 배당수익률에 왜곡이 생겼어요. 그래서 33원으로 계산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배당수익률은 9%로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와 비슷한 수준이에요.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액티브 종목 2개가 7월 29일에 상장을 했는데요, 기존 TIGER 리츠와 다르게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월중배당 상품이에요. 작년 말 개별 리츠 종목의 대량 유상증자로 인한 주가 하락이 리츠 ETF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어 주가 하락이 컸는데요, "액티브" 종목이다보니 이런 리스크를 회피하는데 유리할거라고 하네요.

 

□  혼합

  • 국내 증시 상승과 함께 KODEX 배당성장채권혼합도 주가수익률은 괜찮은 편인데, 배당수익률이 너무 형편없네요.
  • 위에 있는 혼합 종목들은 안전자산 30%는 의무적으로 담아야 하는 IRP 계좌에서 투자를 하게끔 유도하는 상품들인거 같아요.

 

 

 

※ 결론

  • 높은 배당수익률에 현혹되지 말것!
  • 배당금과 함께 주가도 살펴볼 것!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5년 6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어요.

6월 26일까지 주식을 매수했을 경우, 7월 둘째 영업일인 7월 2일에 분배금이 입금 예정이에요.

 

그럼 아래에서 2025년 6월 분배수익률 순위와 유형별, 종목별 분배금 확정 내역을 공유할게요.

 

개요

■ 표 설명

■ 분배금 수익률 순위

■ 유형별 분배 수익률, 주가, 비용 정리
   . 주식형
   . 채권형
   . 커버드콜
   . 리츠 & 혼합

※ 결론

 

 

■ 표 설명 

  • 분배금 : 1주당 분배금
  • 가격 : 분배락이 발생하기 전날 가격
  • 수익률 : 매월 분배금을 가격으로 나눈 값
  • 비용 : 연환산 시 값. 위의 값을 예로 들면 24년 6월 비용인 0.155%는 6월엔 연 0.155%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용이 발생했다는 의미로, 실제로는 0.155%의 1/12 정도의 비용 발생. 매월 10일 경 지난 달의 비용이 발표됨
  • 월평균수익률 : 월단위 수익률의 평균값
  • 연수익률 : (월평균수익률 x 12) - (비용 ÷ 12)

 

■ 분배금 수익률 순위 

 

전체 종목에 대해서 연환산 수익률이 높은 종목부터 낮은순으로 정렬한 결과로 총 종목수는 112개에요.

아래 표에서 "연수익률"은 수수료까지 반영한 배당수익률로 실질적인 수익률이에요.

 

  • 굉장히 오랫만에 배당수익률 1위 종목이 바뀌었어요. 몇 개월 동안 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이 배당수익률 1위 자리를 지켜왔는데요, 이번달은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이 1위에 랭크됐어요. 그런데 4월에 상장을 해서 이제 두 번의 배당을 했을 뿐이므로 더 지켜볼 필요가 있어요.

  • 커버드콜 제외 시 가장 높은 배당수익률의 종목은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이며, 배당수익률 8.89%에요.

  • 맨 밑에 있는 ACE 3종목(ACE 미국배당퀄리티+커버드콜액티브, ACE 미국배당퀄리티, ACE 미국배당퀄리티채권혼합50)은 5월13일에 상장한 종목으로 이번에 첫 배당을 하므로, 순위에선 제외 시켰어요. 다음달부턴 온전한 한 달치의 배당금 확인이 가능하므로 순위에 편입될 예정이에요.

 

■ 유형별 분배 수익률, 주가, 비용 정리 

 

  • 살구색으로 색이 들어가 있는 종목은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이며, 해당 종목들의 주가는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 가격인 6월 11일 주가에요.
  • 마찬가지로 월말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의 주가는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 가격인 6월 26일 주가에요.

 

▶ 주식형

  • 미국의 SCHD 또한 주가흐름이 좋지 못한 상태이다보니, ACE, TIGER, SOL,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는 3개월째 주가가 제자리 걸음 중이에요. 

  •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액티브는 한 달 동안 주가가 22%나 상승을 했구요, 배당 또한 22%를 상승하며 엄청난 상승을 했어요. 액티브 종목이다보니 비용이 1%가 넘는다는 단점이 있지만, 최근 국내 시장 상승과 함께 주가도 배당도 엄청난 상승세네요.
  • KODEX 고배당주, TIGER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 모두 매월 큰 폭으로 주가가 오르고 있어요.

  • 코리아밸류업 종목들도 최근 엄청난 주가 상승을 기록하고 있는데요, 배당금 측면에선 TIGER 코리아밸류업 외에는 일정한 분배금을 지급하지 않고 있어 아쉬워요.

 

 

▶ 채권형

  • 회사채, 금융채 종목들은 주가 변동이 크지 않으면서 3~4%의 배당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어요. 낮은 배당수익률은 아쉽지만, 배당금 재투자를 통해 안정적으로 복리 효과를 누리려면 선택 옵션이 될 수도 있을거 같아요.

  • 트럼프가 지속적으로 파월의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는데요, 금리 인하가 단행된다면 미국30년국채 ETF들은 주가가 상승하면서 배당수익률은 떨어지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을거 같아요.

 

 

 

▶ 커버드콜

 

  • 아래 차트를 보면, 나스닥100 지수를 비교적 잘 따라가던 나스닥100 추종 커버드콜 종목들이 지수와 괴리가 커졌어요.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이 3 종목 모두요. 나스닥은 최고점을 갱신한 상태인데, 나스닥이 더 상승한다고 해도 그 상승분을 전혀 못 쫓아가고 있고, 나스닥이 떨어진다고 하면 하락은 반영될 수도 있는 리스크가 생긴 상태니 주의 필요해요.

  • 미국지수를 추종하는 커버드콜 종목보다 국내 지수를 추종하는 커버드콜 종목들의 성적이 오히려 우수한 편이에요.
  •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은 지난달 대비 주가는 10.5% 상승을 했고, 배당금은 12%가 상승을 했어요.
  • RISE 200고배당커버드콜ATM 또한 올초 주가 8170원에서 9445원까지 15% 넘게 주가가 상승을 했으며, 배당금 또한 59원에서 67원까지 매월 조금씩 상승을 하고 있어요.

  • SOL 팔란티어커버드콜OTM채권혼합은 무려 매월 2%가 넘는 배당을 하면서 연배당수익률이 25%에 달하구요, 주가 또한 지난달 대비 이번달 소폭 상승을 하면서 엄청난 수익률을 보여주네요. 과연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해요.

 

▶ 리츠 & 혼합

  • 국내 리츠 ETF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PLUS K리츠 이 3 종목은 주가가 계속 하락하면서 배당수익률이 올라가고 있는 형태에요. 국내 금리인하라는 호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 불황과 공실 증가, 폭탄 유상증자 등의 이슈로 주가는 연일 하락세에요.

 

▶ 신규

  • 5월 13일에 ACE 미국배당퀄리티 3총사가 상자을 했는데요, 이번엔 5월 13일~6월까지 약 한달 반에 해당하는 분배금이 계산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다음달부터가 온전히 한 달치의 배당이 얼마인지 확인 가능해요.

 

※ 결론

  • 결론은 늘 동일한데요
  • 높은 배당수익률에 현혹되지 말것!
  • 배당금과 함께 주가도 살펴볼 것!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 월배당 ETF의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국내 월배당 ETF는 지급 기준일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한 종류는 매월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고, 나머지 한 종류는 매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고 있어요.

그 중 오늘은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월배당ETF의 배당금이 확정되었기에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자 해요.

 


■ 지급 기준일과 지급일

  • 지급기준일 : 6월 13일 (6월 11일까지 매수한 주식)
  • 지급일 : 6월 17일 (SOL ETF는 6월 16일)

 

■ 분배금 현황

  • 종목별 배당금, 배당락 전일 주가, 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월별 배당수익률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 3월에 46원을 지급하고 4월, 5월 연속 감소하더니 이번달은 다시 45원으로 증가했어요. 에미당은 23년 7월까지 분기 배당을 하다가 23년 8월부터 월배당으로 전환했는데요, 분기배당 때의 습관이 있어서 그런지, 3, 6, 9, 12월은 비교적 높은 배당을 하는 편이에요.
  • RISE 코리아밸류업 : 6월은 중간배당을 쉬고, 7월에 배당을 하겠다고 홈페이지에 공지가 떴어요.
  • PLUS 코리아밸류업 : 코리아밸류업 시리즈 중에는 PLUS의 배당률이 가장 높아요. 또한 코리아밸류업 종목들 모두 지난달 대비 주가만 11% 가량 상승했어요.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1호,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TIGER 미국테크TOP10타겟커버드콜 : 3 종목 모두 3달 동안 주가 흐름은 보합내지는 약간 상승한 정도로, 5~9%의 배당 수익이 지속 가능하다면 주가는 보합인 것도 나쁘지 않은거 같아요.

  • 미국 빅테크 종목 관련 커버드콜 ETF들은 최근 두 달 동안 주가도 오르고 배당금도 올랐어요. → TIGER 미국테크TOP10타겟커버드콜, TIGER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ACE미국반도체데일리타겟커버드콜(합성)

  •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 이 종목 또한 미국 빅테크 커버드콜 종목 못지 않게, 최근 두 달 동안 배당수익과 주가수익이 모두 크게 올랐어요. 단순히 주가 수익률에 배당 수익률을 더했을 경우, 두 달 연속 10% 넘는 수익률을 달성했어요.
  •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 비용을 제외한 연배당수익률이 8.9%에 달하는 커버드콜이 아닌 종목이에요. 
  • KODEX 배당성장채권혼합 : 배당수익률은 1%도 안되는 0.74% 수준이지만, 지난달엔 3.6%, 이번달엔 3.9%의 주가수익률을 기록했어요.

 


 

6월 말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은 6월 26일까지 매수를 하면 7월 2일에 배당금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