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4년 6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고, 7월 둘째 영업일인 7월 2일 화요일에 분배금 지급 예정이에요.

15일 기준일인 종목 4개는 6월 18일에 이미 분배금이 지급이 되었는데요,

아래에서 각 종목별 분배금 지급 내용 확인해볼게요.

 


■ 테이블 설명

 


 

■ 분배금 수익률 순위

 

 

제가 파악하고 있는 월배당 ETF 총 58개에 대해서 배당수익률이 높은 것부터 나열해봤어요.

참고로 이번달부턴 최신의 배당 정책만 반영될 수 있도록 24년 1월 이후의 배당 데이터만 포함하기로 하였어요.

 

 

 

지난달엔 KODEX 테슬라인컴프리미엄채권혼합액티브가 배당수익률 1위에 있었으나, 이번달엔 ACE 미국빅테크7+ 15%프리미엄분배 종목이 1위에 올랐어요. 그 외에 ACE 15% 3총사인 ACE 미국반도체15%프리미엄분배가 2위에, ACE 미국500 15%프리미엄분배가 4위에 올랐어요. ACE 3총사는 4월 23일날 상장한 이후 이번달에 처음으로 한 달치의 분배금이 지급되었고, 평균 데이타에도 한 달치만 포함이 된 데이타로 추후 데이터도 확인이 필요해요. 비용을 제외하고도 14.5~15%의 배당수익률은 상당하네요.

 

배당수익률 1~20위 중 무려 14개가 커버드콜이에요.


■ 유형별 주가, 분배금, 배당수익률 정리

 

- 주식형

 

ACE / SOL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성과 비교 시, 이번달은 ACE가 0.374%로 배당수익률이 가장 높고, 지난달 대비 주가 변동률 또한 ACE 3.2% > TIGER 3.16% > SOL 3.05% 순으로 가장 높네요. 또 다른 특이점으로는 비용이 있는데요, 상장 당시만 해도 총비용이 0.07%도 안됐던 TIGER는 이제 비용 측면에서 이점이 없게 됐어요.

 

HANARO 미국S&P500은 24년 1월 이후 월평균 배당금에서 비용을 제하고 나면 배당수익률이 0이에요.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는 릴리안릴리와 노보노디스크에 메인으로 투자하는 종목인데요, 배당수익률은 월평균 0.1% 안팎이지만 주가가 6월말 기준 5월 말 대비 9.4%가량 상승했구요, 5월에도 4월말 대비 7% 상승했었어요.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이 6월 25일에 상장했어요.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대비 어떤 성과를 보일지 기대되네요. TIGER는 은행지주사 뿐만 아니라 화재, 생명 등도 포함된 반면, SOL은 금융지주사로만 구성되어 종목 구성에 약간의 차이가 있어요.

 

 

- 채권형

 

미국30년국채에 투자하는 종목들의 경우 대체로 3.6% 가량의 연평균 배당수익이 가능한데요, 최근 한 달간 미국채 금리가 떨어지면서 주가는 많이 오른 편이에요.

 

역대급 엔저와 미국채금리에 투자를 하는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 KBSTAR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 두 종목 모두 2.8%의 연배당수익률로 계산되네요.

 

"하이일드"라고 붙어 있는 채권형 ETF는 연배당수익률이 6%대로 주식형 못지않은 배당수익률이 나오고 있어요.

 

 

- 커버드콜

 

TIGER 미국테크TOP10+10%프리미엄은 분배금 지급 기준일이 15일인 종목으로 6월 18일날 분배금 지급이 완료되었어요.

 

ACE 15% 3총사도 모두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으로 6월 18일에 배당금이 이미 지급되었어요.

 

커버드콜 종목은 국내 / 미국 + 주식/채권 으로 구성이 되어 있어요. 예를 들면, TIGER 200커버드콜ATM은 국내 + 주식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 TIGER 미국S&P500+10%프리미엄초단기는 미국 + 주식, TIGER 미국30년국채프리미엄액티브는 미국 + 채권. 이런식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니 기호에 맞게 선택이 가능해요.

 

 

- 리츠 & 혼합

 

국내, 미국, 일본에 투자하는 리츠 상품들이 있는데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또는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는 연분배금 수익률이 7~8% 정도 되는데요, 이 정도 수익률이면 수익형부동산에 투자하여 공실 걱정, 매도 걱정하는 것보다 나은 선택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배당수익률을 결정하는 요소는 분자의 배당금, 분모의 주가라는 두 가지 요소가 있는데요, 저는 주로 배당금에 대해서만 언급을 했어요. 배당금은 그대로인데 주가가 떨어지면 배당수익률이 올라가는 것 같은 착시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배당금, 주가, 배당수익률 모두 정리를 해서 공유했어요. 그러니 3가지 모두 참고하셔서 좋은 선택하시길 바래요.

각자가 목표하는 컨셉과 배당수익에 맞게 종목을 선정하여 월급을 대체하는 날까지 꾸준히 모아가시길 바래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4년 5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고, 6월 둘째 영업일인 6월 4일 화요일에 분배금 지급 예정이에요.

15일 기준일인 종목 4개는 5월 17일에 이미 분배금이 지급이 되었는데요,

아래에서 각 종목별 분배금 지급 내용 확인해볼게요.

 


■ 테이블 설명

 


■ 주식형

 

* SCHD 지수를 추종하는 한국판 SCHD 3총사

 

   . 지난 달에 이어 이번달에도 SOL이 가장 높은 분배수익률인 0.378%, ACE가 가장 낮은 0.342%에요. 그래도 아직 연수익률은 ACE가 3.858%로 가장 우세해요.

   . 배당성장으로 유명한 SCHD와 동일 지수를 추종하는 종목들로 SCHD의 특징은 배당성장형 ETF로서 지금 당장의 배당수익은 크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배당금이 상승할 수 있는 개별종목들로 구성된 ETF에요.

 

 

* S&P 지수에 투자

 

   . 미국 S&P500 지수에 투자하는 종목들이에요, 월 분배금 수익률은 0.1%나 그 이하지만 최근 미국 시장이 상승함에 따라 주가가 지난달 대비 3~4%나 상승했어요. 

   . 연 1%대의 분배수익률 밖에 안되기 때문에 분배금보단 지수 투자 목적에 적합하며, 지수 투자 목적이라면 월지급식보다는 TR 종목이 적합해 보이기도 해요.

 

 

* S&P 테마에 투자

 

   . 배당귀족, 배당킹, 캐시카우, 비만치료제 등 컨셉이 있는 투자를 하기에 적합한 종목이에요.

   . 배당귀족은 25년간, 배당킹은 50년 이상 배당금을 인상해온 기업들로 구성된 ETF에요. 

   . 캐시카우는 워렌버핏이 강조한 현금흐름이 좋은 기업들로 구성된 ETF이고,

   . 글로벌비만치료제는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에 집중 투자하는 종목이에요.

 

 

* 국내 종목에 투자

   . 국내 종목에 투자하는 ETF들이에요.

   . 이 중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액티브는 월 0.5%의 높은 분배금을 지급하지만, 연 1.2%에 달하는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순수익률은 4.8% 정도 되는 종목이구요,

   .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은 국내 은행 주식 10종목으로 구성된 ETF에요.

 

 

■ 채권형

* 국내 채권

 

   . 국내 채권에 투자하는 종목들로 월 2.6~4%의 분배수익률이 가능해요.

   . 국내 채권 ETF는 거래량이 많지 않은 종목들이 많아서 투자 전 거래량 확인이 필요해요.

 

 

* 미국 채권

 

   . 미국 채권에 투자하는 ETF들로 배당수익률은 대략 3.5~4.5% 수준이에요

   . ACE미국30년국채액티브, 엔화노출액티브는 3월에 상장 후 이번에 두 번째 분배금을 지급하는데요, 두 종목 모두 0.2%대의 분배금으로 지난 달의 0.35% 에서 0.1% 넘게 하락을 했네요.

 

   

   . 하이일드액티브는 연 5~6%대의 분배수익률이 가능한 종목들이에요.

 

 

■ 커버드콜

* 미국 주식 & 채권 커버드콜

 

   . TIGER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은 이번달에도 0.996%의 분배금을 지급하며 연 환산 시 11.5%의 분배수익률이 가능해요. 2022년 10월부터 꾸준히 월 1% 가량의 분배금을 지급해오고 있어요.

   . TIGER미국배당+3%, +7%프리미엄 이 두 종목은 SCHD에 커버드콜을 합친 종목으로 SCHD의 3% 배당수익에 각각 3%와 7%의 수익이 추가된 연 6%, 10%의 배당수익이 가능한 종목이에요.

 

   . KBSTAR 미국채30년커버드콜, TIGER미국30년국채프리미엄액티브 이 두 종목은 미국의 TLTW와 비슷하거나 동일한 상품으로 채권임에도 불구하고 연 10~12%의 배당수익이 가능한 종목들이에요. 두 종목 모두 3월 대비 4월의 주가는 4~5%씩 하락했지만, 5월은 4월 대비 아주 소폭 상승했어요.

   . TIGER 미국테크10+10%프리미엄 15일이 분배금지급기준일인 종목이에요.

   . KODEX테슬라인컴프리미엄채권혼합액티브는 TSLA 아니고 TSLY 30%, 국내 채권 70%에 투자하는 종목으로 무려 연 15%의 배당 수익이 가능한 종목이에요.

 

 

* 국내 주식 커버드콜

 

   . 국내 지수에 투자하는 커버드콜 종목들이에요.

   . OTM 종목을 제외하고는 월 단위 매우 균일한 퍼센트로 분배금을 지급하고 있어요. TIGER 200커버드콜ATM 월 0.7%, KBSTAR 200위클리커버드콜은 상장 후 세 번째 분배금 지급인데 지난달과 비슷한 1% 수준, KBSTAR 200고배당커버드콜ATM 월 0.7% 수준의 분배금을 지속 지급하고 있어요.

 

 

* 4월 30일 상장된 미국 주식 커버드콜 (15일 분배금 종목)

   

   . 4월 30일에 상장된 ACE의 15% 프리미엄 3총사에요.

   . 3 종목 모두 15일이 분배지급기준일인 종목으로 4월 30일에 상장했음에도 불구하고 5월 17일에 이미 분배금을 한차례 지급을 했어요. 상장 후 15일 밖에 안됐지만, 주가 대비 0.8~9%대의 분배금을 지급하였기 때문에 6월부턴 연 15%에 달하는 월 1.2%의 분배금 지급이 기대되네요.

 

 

■ 리츠

 

   .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는 역시 들쑥날쑥한 분배금이 최대의 단점이에요. 지난달엔 40원의 분배금을 지급했으나 이번달엔 13원의 분배금을 지급하네요. 반면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는 이번에 두 번째 분배금을 지급하는데요, 지난달과 동일한 수준인 0.63%의 분배금이 지급 예정이에요. 두 종목 모두 연 7.2% 정도의 분배수익률은 아직까진 비슷해요.

   . 미국, 일본 부동산에 투자하는 종목과 KBSTAR는 리얼티인컴과 맥쿼리인프라에 비중을 두고 투자를 하는 리츠 종목으로 미국리츠는 4%, 일본은 6%, 리얼티+맥쿼리는 4.4% 정도의 분배금을 지급해요.

 

 

■ 기타

 

   . ACE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는 미국 채권 커버드콜, 러셀2000 커버드콜 등 다양한 커버드콜 종목이 섞인 종목으로 월평균 0.6% 정도의 분배금이 지급되고 있어요.

   . 또 하나의 리츠형 월분배ETF가 상장됐어요. 이번엔 분배금 지급이 없는데요, 다음달부턴 기존의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나 KODEX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대비 어느 정도 되는 분배금을 지급할지 기대되네요.

 

 


 

월분배, 월배당, 월지급 국내ETF 많네요. 많아졌어요.

분배금 지급 현황을 공유하는거다보니, 대체적으로 분배금과 분배수익률만 언급을 했어요.

그렇지만 분배수익률은 분배금이 높을 때 높아지기도 하지만, 가격이 낮아져도 수익률은 올라갈 수 있으니, "분배금" 밑에 있는 "주가"도 확인이 필요해요.

분배금, 가격, 수익률 이 3가지를 같이 확인해서 자신에게 맞는 종목을 잘 선택하시길 바래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4년 4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고, 5월 1일이 휴일이었던 관계로 5월 3일날 분배금 지급 예정이에요.

기존엔 15일이 분배금 지급 기준일이고, 17일날 분배금을 지급하는 ETF가 한 개 있었는데요,

15일 기준일인 종목이 4월에 3개 더 상장되었는데, 당장 5월 15일에 분배금이 지급될지는 모르겠네요.

아래에서 각 종목별 분배금 지급 내용 확인해볼게요.

 


■ 테이블 설명

 


■ 주식형

* SCHD 지수를 추종하는 한국판 SCHD 3총사

 

   . ACE / SOL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4월 분배수익률에선 SOL이 가장 높은 0.315% 이고 ACE가 가장 낮은 0.277%를 기록했어요.

   . 연평균 수익률은 ACE가 가장 높고, 기존엔 TIGER와 ACE / SOL 간에 비용 차이가 0.1% 이상 있었으나, TIGER는 비용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이제 비용 측면에서의 장점이 사라졌어요.

   . SOL은 ACE / TIGER에 비하면 좀 애매한 위치인데요, 현재 원달러 환율이 1400원에 근접할만큼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향후 원화 가치 상승으로 인한 주가 하락을 방어하고 싶다면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를 선택할 수도 있을거 같아요.

 

* S&P 종목에 투자

 

   . S&P 500 지수 및 배당귀족, 배당킹에 투자하는 ETF에요. 대체적으로 분배수익률은 1~2%로 낮은 편인데요, 배당수익보단 미국 지수에 투자하고 싶을 때 적합한 종목들 같아요. 참고로 "배당킹"에 투자하는 ETF는 미국에도 없는데 국내에만 있는거라고 하네요.

 

* 기타 미국 종목에 투자

 

   . 좀 더 소수의 미국 종목에 투자하는 ETF들이에요.

   . TIGER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는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에 집중 투자하는 ETF이다보니 두 종목의 주가에 영향을 많이 받겠죠.

   . 위 종목들은 배당수익률도 낮은 편인데요, 굳이 이런 상품들도 월배당으로 했어야 했을까? 하는 의문이 좀 들긴해요.

 

* 국내 종목에 투자

 

   .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액티브는 월 0.5%의 분배금을 지급하며 연 단위로는 6%의 분배금을 지급하지만 비용이 1.2%나 되기 때문에 비용 감안 시 4.8%로 수익률이 뚝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요.

   . WOORI 200 은 수익률도 저렴, 비용도 저렴하네요.

   .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은 국내 10대 금융주에 투자하는 ETF로 카카오뱅크가 제외되어서 신문에 몇 번 나왔었죠. 비용 차감 시 연 5.76%에 달하는 분배금을 지급할 뿐만 아니라 2월달 주가 11905원에서 4월말 주가 13040원으로 주가 또한 많이 상승했어요.

 

■ 채권형

* 국내 채권

 

   . 국내 채권에 투자하는 ETF들로 연수익률은 대략 2.5~4% 수준이에요.

* 미국 채권

   . 미국 채권에 투자하는 ETF들로 배당수익률은 대략 3.5~4.5% 수준이에요

   . ACE미국30년국채액티브, 엔화노출액티브는 3월에 상장 후 이번달 처음 분배금을 지급하는데요, 두 종목 모두 0.35%가 넘는 분배금을 지급하네요.

   . ACE미국30년국채 액티브 3총사의 3월달 비용을 보면, 달러 헷지가 들어간 종목이 언헷지 대비 비용이 약 0.1%가량 높은게 확인돼요.

 

* 그 외 채권

 

   . KODEX iShares미국인플레이션국채액티브 는 분명 월분배로 되어 있는데 작년 11월, 12월 분배금 지급 후 1~3월까지 분배금이 없다가 4월에 3원을 지급하네요.

   . 하이일드 액티브는 6% 대의 연배당수익이 가능하네요.

 

 

 

■ 커버드콜

* 미국 주식 커버드콜

 

   . TIGER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은 이번달에도 0.995%의 분배금을 지급하며 연 환산 시 11.5%의 분배수익률이 가능해요. 2022년 10월부터 꾸준히 월 1% 가량의 분배금을 지급해오고 있어요.

   . TIGER미국배당+3%, +7%프리미엄 이 두 종목은 SCHD에 커버드콜을 합친 종목으로 SCHD의 3% 배당수익에 각각 3%와 7%의 수익이 추가된 연 6%, 10%의 배당수익이 가능한 종목이에요.

 

* 미국 채권 + 기타 커버드콜

 

   . KBSTAR 미국채30년커버드콜, TIGER미국30년국채프리미엄액티브 이 두 종목은 미국의 TLTW와 비슷하거나 동일한 상품으로 채권임에도 불구하고 연 10~12%의 배당수익이 가능한 종목들이에요. 두 종목 모두 3월 대비 주가는 4~5%씩 하락한 것도 참고하세요.

   . TIGER 미국테크10+10%프리미엄 이 종목이 현재까지는 유일하게 15일이 분배금지급기준일인 종목이에요.

   . KODEX테슬라인컴프리미엄채권혼합액티브는 TSLA 아니고 TSLY 30%, 국내 채권 70%에 투자하는 종목으로 무려 연 15%의 배당 수익이 가능한 종목이에요.

 

* 국내 주식 커버드콜

 

   . 국내 지수에 투자하는 커버드콜 종목들이에요.

   . OTM 종목을 제외하고는 월 단위 매우 균일한 퍼센트로 분배금을 지급하고 있어요. TIGER 200커버드콜ATM월 0.69%, KBSTAR 200위클리커버드콜은 지난달에 이어 두 번째 분배금 지급인데 지난달과 비슷한 1% 수준, KBSTAR 200고배당커버드콜ATM월 0.68% 수준의 분배금을 지속 지급하고 있어요.

 

■ 리츠

* 국내 리츠

 

   .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는 작년 4월의 45원에 못 미치는 40원의 분배금을 지급해요.

   . TIGER리츠에 투자하시는 분들 중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로 갈아타겠단 분들이 많았는데요, 이번달에 처음으로 분배금을 지급했네요. 주가 대비 0.59% 수준으로 연으로 환산 시 약 6.9% 정도가 되네요. TIGER의 단점으로는 매월 들쭉날쭉한 분배금인데요, KODEX는 매월 일정한 수준으로 지급할지 궁금하네요.

 

* 해외 리츠

 

   . 미국, 일본 부동산에 투자하는 종목과 KBSTAR는 리얼티인컴과 맥쿼리인프라에 비중을 두고 투자를 하는 리츠 종목으로 미국리츠는 4%, 일본은 6%, 리얼티+맥쿼리는 4.4% 정도의 분배금을 지급해요.

 

■ 기타

 

   . ACE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는 미국 채권 커버드콜, 러셀2000 커버드콜 등 다양한 커버드콜 종목이 섞인 종목으로 월평균 0.6% 정도의 분배금이 지급되고 있어요.

   . 4월 23일에 ACE 3총사가 상장이 됐어요. 3 종목 모두 연 15%, 월 1.2%의 분배금 지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각각 미국빅테크7, S&P500, 반도체섹터에 투자를 하는 종목으로 15일이 지급기준일이에요. 또한 데일리 옵션 프리미엄을 행사하여 지수와 동떨어진 분배수익률이 아니라 지수도 상당 부분 추종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앞으로가 기대되네요.

 

 


 

월분배, 월배당, 월지급 국내ETF 많네요. 많아졌어요.

분배금 지급 현황을 공유하는거다보니, 대체적으로 분배금과 분배수익률만 언급을 했어요.

그렇지만 분배수익률은 분배금이 높을 때 높아지기도 하지만, 가격이 낮아져도 수익률은 올라갈 수 있으니, "분배금" 밑에 있는 "주가"도 확인이 필요해요.

분배금, 가격, 수익률 이 3가지를 같이 확인해서 자신에게 맞는 종목을 잘 선택하시길 바래요~

 

 

 

반응형
반응형

 

 

국내에 상장되어 있는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작년 5월 처음으로 국내에 상장된 월지급 ETF 종목 리스트를 올렸을 때만 해도 24개였는데요,

이번에 정리를 하다보니 이젠 종목 수가 무려 49개나 되네요.

빠뜨린건 없는지 모르겠지만, 1년도 안되어서 두 배 넘게 종목이 증가했어요.

참고로,

3월 분배금은 3월 27일까지 주식 보유 분 대상으로 4월 2일날 분배금이 지급될 예정이에요.

 


■ 주식형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0.244%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0.379%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0.228%

   → SCHD와 동일한 지수를 추종한다고 하지만 성과에서 미세하게 차이가 발생했어요. ACE가 배당수익률에서 다른 두 회사 대비 무려 0.15% 가량 높아요. 1개월간 주가 변동률은 3 종목 모두 3.9~4.0%로 동일한데요, 배당금에서 차이가 발생하며 ACE미국배당다우존스가 가장 괜찮은 성적을 보였어요.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0.227%

SOL 미국S&P500 0.089%

HANARO 미국S&P500 0.076%

 

 

KBSTAR 미국S&P500(H) 0.123%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0.174%

KBSTAR 미국S&P배당킹 0.280%

   → 배당귀족이 배당킹보다 배당수익률에서 밀리네요. 반면 주가를 비교해보면 1개월 동안 배당귀족은 5.1%가 올랐고, 배당킹은 4.5%가 오름으로서 배당수익률에선 배당킹이, 주가수익률에선 배당귀족이 좋았어요.

TIGER 미국다우존스30 0.228%

TIGER 미국캐시카우100 0.210%

(신규) TIGER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 0.144%

   →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에 50% 이상의 비중을 투자하는 ETF로 2월 29일날 상장 후 첫 분배금을 지급했어요.

 

 

TIMEFOLIO Korea플러스배당액티브 0.511%

WOORI200 0.131%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0.475%

 

 

■ 채권형

 

KBSTAR 25-11회사채(AA-이상)액티브 0.340%

KBSTAR 25-03회사채(AA-이상)액티브 0.490%

KBSTAR 중기우량회사채 0.427%

KBSTAR 금융채액티브 0.480%

TIGER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H) 0.500%

KODEX iShares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 0.342%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0.325%

   → 달러 환헷지를 하지 않는 언헷지 버전과 달러는 헷지하고 엔화에는 노출되어 있는 버전도 3월 12일에 상장되었는데요, 아직 분배금은 발생하지 않고 기존에 있던 이 종목만 분배금 지급이 결정되었어요.

ACE 미국하이일드액티브(H) 0.526%

KODEX 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 0.570%

TIGER 글로벌멀티에셋TIF액티브 0.286%

 

 

■ 커버드콜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0.997%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 0.840%

TIGER 미국배당+3%프리미엄다우존스 0.510%

   → SCHD의 연 배당수익률 3%를 기본으로 +7% 종목은 7%가 더해진 연 10%, +3% 종목은 3%가 더해진 6%의 배당수익률이 예상되는 종목들이에요.

KODEX 미국배당프리미엄액티브 0.594%

TIGER 배당프리미엄액티브 0.568%

KBSTAR 미국채30년커버드콜(합성) 0.827%

TIGER 미국30년국채프리미엄액티브(H) 1.124%

 

 

TIGER 미국테크TOP10+10%프리미엄 0.823%

   → 전체 종목 중 유일하게 15일을 기준일로 분배금을 지급하는 종목이에요.

KODEX 테슬라인컴프리미엄채권혼합액티브 1.266%

   → 지난달엔 1.3%, 이번달엔 1.266%의 분배금으로 가장 높은 분배금을 지급하는 종목이에요. 테스라의 티커인 TSLA가 아니라 테스라의 커버드콜 종목인 TSLY 30%와 우리나라 국채 70%로 구성된 종목이에요. 최근 테슬라 주가 흐름으로 인해 주가는 지난 달 대비 4% 가량 빠졌어요.

TIGER 200커버드콜ATM 0.693%

(신규) KBSTAR 200위클리커버드콜 1.012%

   → 3월 5일 상장되어 첫 분배금을 지급했는데요, 한 달 기준 배당수익률이 무려 1%가 넘네요.

KBSTAR 200고배당커버드콜ATM 0.688%

TIGER 200커버드콜5%OTM 0.220%

 

 

■ 리츠, 인컴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1.047%

   → 작년에도 가장 높은 분배금을 지급했던게 3월이었어요. 그래서 일시적으로 분배금 수익률이 1%가 넘었으나, 연 평균으론 7% 수준의 분배금을 지급하는 종목이에요.

TIGER 리츠부동산 인프라채권TR KIS 0.741%

TIGER 미국MSCI리츠(합성 H) 0.417%

KODEX 다우존스미국리츠(H) 0.348%

 

 

KODEX TSE일본리츠(H) 0.670%

KBSTAR 글로벌리얼티인컴 0.381%

   → 처음 분배금이 지급되었어요. 당초 0.33%의 배당수익률이 예상됐으나, 예상보다 0.05%더 지급된 걸로 나왔네요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 0.658%

 

 


배당수익률 = 배당금 / 주가

 

배당수익률은 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값이므로 배당금이 높거(↑)나 주가가 낮으면(↓) 배당수익률이 높게 나와요.

그러니 배당수익률만 봐선 안되고 배당금은 꾸준한지, 주가가 지난달 대비 떨어져서 배당수익률이 일시적으로 높게 나온건 아닌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배당금과 배당락 이전 가격을 함께 정리해서 공유하였으니,

참고하셔서 자신에게 잘 맞는 종목을 골라서 꾸준히 늘려가다보면 분명히 좋은 날이 올거에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