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채에 투자하는 국내 월배당 ETF 종목에 대해서 살펴볼까 해요.

 

 

■ 미국채 월배당 ETF 종목 리스트

  • 아래에 보시는 것처럼 총 9개의 미국채 관련 월배당 ETF가 상장되어 있어요.
  • 6개는 단순히 미국채에 투자하는 액티브 ETF구요, 4개는 커버드콜이 결합되어 있는 종목이에요.

 

 

■ 미국채 월배당 ETF 종목 리스트

  • 종목별 특성을 표로 만들어 표시해봤어요.
  • 10개 종목 월배당 종목이구요, 그 중 종목명 뒤에 "(H)"가 붙어있는건 환헷지 종목이에요. 그리고 커버드콜 종목은 종목명에 "커버드콜"이란 문구가 들어가 있구요.
  • 상장한지 가장 오래된 종목은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로서 월배당을 총 40번을 지급했구요, 가장 최근에 상장된 종목은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로서 25년 1월까지 총 7번의 월배당을 실시했어요.
  • 종목별 월평균 배당수익률은 커버드콜과 커버드콜이 아닌 종목으로 구분할 수 있겠는데요, 커버드콜이 아닌 종목은 월평균 0.25~40%의 월배당을 하구요, 커버드콜은 약 1%의 월배당을 지급하고 있어요.
  • 그럼 10개나 되는 종목 중에서 한 종목에 투자를 해야한다면 어떤 종목에 투자하는게 가장 유리할까요?

 

■ 월별 주가 비교

  • 월배당 ETF를 선택함에 있어서 단순히 배당수익률이 높은게 선택의 기준이 되어서는 안돼요.
  • 배당수익률과 함께 주가의 변화도 같이 확인을 해요. "커버드콜은 원금으로 배당금 지급하는거야" 란 말이 있잖아요.
  • 그래서 월별 주가 흐름을 비교해보려고 해요.

- 단순 주가 비교

  • 24년 6월부터 1월 말까지 종목별 주가를 나타낸 표에요. 단순히 주가만 봐서는 잘 비교가 안되니 24년 6월을 기준가로 해서 매월 주가 변화율을 비교해볼게요.

 

- 주가 등락률 비교 (24년 6월을 기준으로 얼마나 변했는지)

  • 가장 오른쪽 열에 그래프를 표시해봤는데요, 6월을 기준으로 해서 가장 최근인 1월엔 엄청나게 하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KODEX 미국30년국채타겟커버드콜(합성H)는 6월 대비 주가가 무려 15%나 하락을 했어요.
  • 24년 9월까지는 플러스 수익률도 있었는데요, 10월부터 전부 마이너스로 전환되어 점점 그 폭을 키워나갔어요.
  • 24년 9월까지는 미국채금리가 인하를 하던 시기였고, 10월부터 1월까지 국채금리가 인상됐거든요.
  • 미국채30년물 월별 금리 - 24년 6월 4.459%, 7월 4.423%, 8월 4.128%, 9월 4.106%, 10월 4.519%, 11월 4.465%, 12월 4.773%, 1월 4.843%

 

- 미국채금리 인하기에 선택을 했다면?

  • 위 표는 미국채금리 인하기만 따로 떼어서 본 주가 변동률이에요.
  • 만약 작년 7~9월 중에 미국채 월배당 ETF에 투자하기로 했다면,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H)에 투자를 했겠죠.

 

- 미국채금리 인상기에 선택을 했다면?

  • 위 표는 미국채금리 인상기만 떼어낸 표에요. (9월을 기준가로 설정)
  • 미국채금리 인상기인 10월~1월 중에 선택을 했다면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RISE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중에 선택을 했겠죠.
  • 금리 인하기 때 가장 우수한 성적이었던 엔화노출 종목 두 개는 금리 인상기 때는 무려 -12.5%를 기록했어요. 
  • 미국 기준 금리가 인하를 하면서 미국채 금리도 같이 내려갈거라 생각했지만, 10월부터는 미국채금리가 되려 올라갔잖아요. 금리도 예측하기 쉽지 않은데, 미국채금리는 기준금리랑 따로 움직이기까지 하니, 사실 예측 불가하다고 볼 수 밖에 없는거 같아요.

 

- 종합해보면

  • 위에 있는 표는 주가변동률 + 배당수익률을 더한 표에요. 배당재투자는 감안하지 않고, 단순히 배당수익률을 더했어요. 대략적인 추세만 확인하는 차원에서요.
  • 그랬을 때 1월 말 기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한건 RISE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두 종목 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 중이에요.
  • 그리고 아래에 있는 표는 매월 수익률 순위를 1위~10위까지 표시한거에요. 미국채금리 인하기 때는 엔화노출 두 종목이 지속 1, 2위를 하다가 국채금리 상승기 때는 순위가 바뀌었어요. 
  • 이렇게 정리를 하면서 글을 쓰다보니, 굳이 미국채 월배당 ETF에 투자를 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ㅎㅎ

 

■ 결론

  • 원달러 환율이 오를거 같으면 환노출을 선택하고, 내릴거 같으면 환헷지를 선택
  • 엔화가 오를거 같으면 "엔화노출" 종목을 선택하고, 내릴거 같으면 다른 종목을 선택
  • 미국채금리가 오를거 같으면 "커버드콜" 종목을 선택하고, 내릴거 같으면 다른 종목을 선택
  • 마침 미국채금리 인하기 인상기를 모두 겪었으니, 상황별 1, 2등 종목이 아닌 평균이 가장 좋은 종목을 선택
  • 개인적으로 월배당을 좋아하는 저로선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을 선택할거 같네요. (종목 추천 절대 아님)

 


 

국내에 상장된 미국채30년에 투자하는 월배당 ETF를 살펴봤는데요,

투자 대상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각종 옵션에 따라서 수익률 차이가 크게 나는 것을 보고,

저도 오늘 블로깅을 위해 정리하면서 처음 알게 됐는데요. 놀라울 정도로 차이가 크네요.

 

아무쪼록 본인의 성향에 잘 맞는 종목을 골라서 꾸준히 투자하시길 바래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 월배당 ETF의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국내 월배당 ETF는 지급 기준일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한 종류는 매월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고, 나머지 한 종류는 매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고 있어요.

그 중 오늘은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월배당ETF의 배당금이 확정되었기에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자 해요.

 


■ 지급 기준일과 지급일

  • 지급기준일 : 1월 15일 (1월 13일까지 매수한 주식)
  • 지급일 : 1월 17일

 

■ 분배금 현황

  • 15일 지급 종목이 11월엔 13개, 12월엔 16개, 이번달은 17개에요.
  • 종목별 배당금, 배당락 전 주가, 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월별 배당수익률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 지난달 68원 대비 이번달 39원으로 많이 줄었어요. 이 종목은 3, 6, 9, 12월에 비교적 배당금이 많은 편이에요.
  • PLUS 코리아밸류업 : 11월 4일 상장 이후 첫 배당금을 지급하네요. 
  •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 지난달과 주가를 비교할 때 커버드콜 종목임에도 불구하고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ACE 미국배당다우존스와 동일 수준의 주가 하락으로 방어가 됐어요.
  • KODEX 미국30년국채타겟커버드콜 : 배당금은 지난달 대비 8%가 줄었고, 주가는 지난달 대비 8.7% 떨어졌어요. 

 

 

  • 미국 빅테크와 미국 지수를 추종하는 커버드콜은 대체적으로 주가 하락 없이 높은 배당수익률을 꾸준히 기록하고 있어요.

 

  •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 12월 3일 상장 후 첫 배당금을 지급하는데요, 2%에 달하는 배당수익률은 한 달치가 아니라 한 달 반에 해당하는 배당수익률일거 같으니 다음달 배당수익률도 확인이 필요한데요, 비슷한 종목인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은 월 1.5% 수준이에요.
  •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 이 종목은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와 비교가 되는데요, 이 종목이 TIGER 대비 매월 고른 분배금이 지급되기 때문에 월세 투자 대신 리츠에 투자를 한다면, TIGER 보다는 이 종목이 더 적합한거 같아요.
  • SOL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 다우존스미국배당100지수와 KRX미국채10년지수에 반반씩 투자하는 종목이라고 하는데요, 이번달이 두 번째 배당으로 지난달 대비 10원 감소한 30원이에요.
  • KODEX 배당성장채권혼합 : 연수익률 0.7% 수준으로 너무 낮아요.
  • KODEX 삼성전자채권혼합 : 상장은 22년 11월에 했는데요, 10월부터 월배당을 지급하고 있어요. 월배당수익률은 0.14%, 연배당수익률은 1.7% 정도에요. 

 


 

항상 드리는 말씀이지만, 분배금과 분배수익률만 보지 마시고, 주가도 같이 확인해서 과도한 배당금을 지급하기 위해 주가가 심하게 훼손되지는 않는지 여부도 꼭 확인하셔서 좋은 투자하시길 바래요.

 

1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의 경우, 1월 23일까지 매수를 하시면 2월 4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어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 월배당 ETF의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국내 월배당 ETF는 지급 기준일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한 종류는 매월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고, 나머지 한 종류는 매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고 있어요.

그 중 오늘은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월배당ETF의 배당금이 확정되었기에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자 해요.

 


■ 지급 기준일과 지급일

  • 지급기준일 : 12월 13일 (12월 11일까지 매수한 주식 대상)
  • 지급일 : 12월 17일 (SOL ETF는 16일)

 

■ 분배금 현황

  • 지난달엔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이 13개였는데요, 이번달엔 3개가 추가되어 총 16개에요. 그 중 12월에 상장하여 배당금을 이번엔 지급하지 않는 종목은 제외했어요.
  • 종목별 분배금, 배당락 전 주가, 분배금을 주가로 나눈 배당수익률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 지난달의 30원 대비 많이 증가한 68원의 배당금을 지급해요. 한국판 SCHD 종목으로 ACE, KODEX, SOL, TIGER가 있는데 그 중 ACE가 총 비용까지 반영한 배당수익률을 비교했을 때 약간이나마 가장 우세해요,
  •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 이번달의 주가 대비 분배수익률은 0.365%로 ACE 대비 조금 낮구요, 순수익률도 ACE 대비 약 0.23%가 낮네요.
  •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 이 종목은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와 비교가 되는데요, 이 종목이 TIGER 대비 매월 고른 분배금이 지급되기 때문에 월세 투자 대신 리츠에 투자를 한다면, TIGER 보다는 이 종목이 더 적합한거 같아요.
  • SOL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 다우존스미국배당100지수와 KRX미국채10년지수에 반반씩 투자하는 종목이라고 하는데요, 이번달이 두 번째 배당으로 지난달 대비 10원 감소한 30원이에요.
  • KODEX 배당성장채권혼합 : 여전히 배당수익률이 너무 낮네요. 연으로 환산 시 0.7%...
  • KODEX 삼성전자채권혼합 : 상장은 22년 11월에 했는데요, 10월부터 월배당을 지급하고 있어요. 월배당수익률은 0.14%, 연배당수익률은 1.7% 정도에요. 

  • ACE 3총사 : ACE 데일리타겟커버드콜 3종목은 처음으로 연배당수익률 15%를 연 종목들인데요, 이 3 종목 중에서도 ACE 미국빅테크7+데일리타겟커버드콜이 주가와 배당수익률 모두 가장 유리하고, 반도체가 성적은 가장 안 좋은거 같네요.
  • TIGER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 : ACE 3총사와 마찬가지로 빅테크를 대상으로 하는 종목이다보니 배당수익률도 주가도 모두 성적이 좋네요. 

 



항상 드리는 말씀이지만, 분배금과 분배수익률만 보지 마시고, 주가도 같이 확인해서 과도한 배당금을 지급하기 위해 주가가 심하게 훼손되지는 않는지 여부도 꼭 확인하셔서 좋은 투자하시길 바래요.

 

12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의 경우, 12월 26일까지 매수를 하면 2025년 1월 3일에 올해 첫 분배금을 지급받을 수 있어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 월배당 ETF의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매월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월배당ETF와 매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월배당ETF가 있는데요, 그 중 오늘은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월배당ETF의 배당금이 확정되었기에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자 해요.

 


■ 지급 기준일과 지급일

  • 지급기준일 : 11월 15일 (11월 13일까지 매수한 주식 대상)
  • 지급일 : 11월 19일 (SOL ETF는 18일)

 

■ 분배금 현황

  • 지난달엔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이 10개였는데요, 이번달엔 3개가 추가되어 총 13개에요.
  • 종목별 분배금, 배당락 전 주가, 분배금을 주가로 나눈 배당수익률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 9월 분배금은 1.5개월치가 56원이었으므로 이를 1개월로 환산할 경우 대략 37원 정도가 되고, 10월엔 45원을 지급했는데요, 이번달은 30원으로 많이 줄어들었어요. 월 단위 분배수익률도 계속 하락하고 있는데요, 분배금이 줄어든 탓도 있지만,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분배수익률은 하락중이에요.
  •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 코미당도 지난달 대비 분배금이 줄었는데요, 하락폭은 에미당보다 작아요.
  •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 요즘 국내 리츠주들 주가가 말이 아닌데요, 그래서 이 종목 또한 지난달 대비 주가가 8% 가량 하락했어요. 반면 배당금은 35~36원으로 꾸준히 지급되고 있어요.
  • SOL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 이번에 처음 분배금을 지급하는데요, SOL ETF는 특이하게 19일이 아닌 18일날 지급을 하네요. 주가 대비 월배당수익률은 0.38% 수준이고, 이를 연으로 환산할 경우 대략 4.3% 수준이에요.
  • KODEX 배당성장채권혼합 : 연평균 배당수익률 0.7% 수준으로 너무 낮네요. 이 정도의 배당수익률이라면 굳이 월배당을 할 필요가 있을까 싶네요.

 

 

  • 위 네 개의 종목 중 미국 장기채와 결합된 KODEX 미국30년국채타겟커버드콜 종목만 주가가 지속 하락 중이네요.

 

 

  • ACE 3총사 : 지난달엔 월 1.25% 수준의 분배금을 지급했지만, 이번엔 3 종목 모두 1.4%의 분배금을 지급함으로써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지급한다면 연평균 배당수익률이 기존 15%에서 16.8% 수준으로 올라갈 걸로 예상되네요. 반도체를 빼고는 주가도 상승하고 분배금도 올랐으니 1석 2조네요.
  • TIGER 미국AI빅테크10타겟데일리커버드콜이 이번에 처음 분배금을 지급하는데요, 월 1.255%, 연 14.7% 수준의 월분배금을 지급하네요. 아직 첫 달일 뿐이지만, 데일리타겟커버드콜 종목들의 분배금이 기존에 연 15% 수준에서 최근 18% 수준까지 올라가는 추세로 봐서는 이 종목의 다음달 분배금도 지켜봐야겠네요.

 


 

분배금과 분배수익률만 보지 마시고, 주가도 같이 확인해서 과도한 배당금을 지급하기 위해 주가가 심하게 훼손되지는 않는지 여부도 꼭 확인하셔서 좋은 투자하시길 바래요.

 

11월 말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의 경우, 11월 27일까지 매수를 하면 12월 3일에 분배금을 지급받을 수 있어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