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해외 월배당 ETF 중에 연 배당수익률이 100%에 달하는 종목에 대해서 간략히 분석을 해봤어요.

그 종목은 바로 TSLY 라는 종목인데요, 주가수익률과 배당수익률 관점에서 분석한 내용을 공유해볼게요.

 

개요

■ TSLY 종목 소개


■ TSLY 주가수익률 분석
   . TSLY, TSLA 주가 비교
   . TSLY, TSLA 주가 변화율 비교
   . TSLY 배당금 재투자시, 주가변화율 비교

■ TSLY 배당수익률 분석
   . TSLY 주가와 배당금
   . TSLY 배당금과 월별 배당수익률
   . TSLY 월별 배당금 내역과 회수율

※ 결론

 


 

■ TSLY 종목 소개 

  • TSLY는 테슬라(Tesla) 주식을 기반으로 한 고수익을 추구하는 ETF로, 테슬라 주식에 투자하면서 콜옵션 매도 전략을 활용하여 월 단위 배당을 지급하는 ETF에요.
  • 토스증권을 통해서 TSLY의 투자지표를 보면 아래와 같이 나와 있는데요, 이 중 가장 눈에 띄는 지표는 단연 "배당수익률 100.62%" 에요.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 확인을 해보고자 해요.

< 출처 : 토스증권 >

 

 

■ 주가수익률 분석 

   ▶ TSLY, TSLA 주가 비교

  • 파란색은 TSLY(좌측) 주가를 나타내고, 주황색은 TSLA(우측) 주가를 나타내고 있어요.
  • 대략적인 모습만 봐도 TSLY는 $40 부근에서 시작하여 최근 $10 까지 줄곧 우하향 한 모습인 반면,
  • TSLA는 $200 에서 시작하여 $500까지 찍고 최근엔 $330 정도까지 주가가 내려온 모습으로 TSLY의 주가 움직임과 확연한 차이가 있어요.
  • 좀 더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 시작점을 동일선에 놓고 주가 변화율을 비교해봤어요.

 

   ▶ TSLY, TSLA 주가 변화율 비교

  • TSLY가 상장한 22년 11월을 기준점으로 놓고 현재까지의 주가변화율을 비교한 그래프인데요, 역시나 TSLY는 우하향하여 현재는 약 -70%의 주가 손실을 기록중인 반면, TSLA는 150%가 넘는 주가수익률을 기록하고 현재는 100% 아래로 내려온 상태에요.
  • 처음에 언급했다시피 TSLY는 대신에 100%가 넘는 배당수익률이 있으니, 매달 지급되는 배당을 모두 재투자했다고 가정했을 때의 주가 변화율을 다시 비교해봤어요.

 

   ▶ TSLY 배당금 재투자시, 주가변화율 비교

  • TSLY의 배당금을 모두 재투자했다고 가정을 해보니, 수익률에 차이는 있지만 형태는 꽤 비슷한 모습이 됐어요.
  • 그런데 배당수익을 모두 재투자했어도 TSLA의 수익률을 못 따라갈 뿐만 아니라, 2024년 10월까지 줄곧 0% 언저리의 수익률을 보이다가 24년 10월이후의 상승은 절반 정도 따라간 모습이에요.
  • 이제껏 국내 지수 추종하는 커버드콜, 미국 채권 추종 커버드콜 등 여러 종류의 커버드콜을 분석해봤지만, 주가 수익률을 목표로 한다면, 커버드콜에 투자하는건 맞지 않는 투자인거 같아요. 
  • 그럼 이제 배당수익률을 분석해볼게요.

 

■ 배당수익률 분석 

   ▶ TSLY 주가와 배당금

  • 파란색 실선은 주가이고, 주황색 막대그래프는 배당금이에요.
  • 주가가 우하향 하는 것과 동시에 배당금도 같이 줄어드는 추세였다가, 24년 하반기부터는 주가 대비 배당금이 증가한 걸로 확인이 되는데요, 위에 있는 TSLA 주가 차트 확인 시 TSLA 주가가 꿈틀대기 시작하는 24년 6월부터 TSLY의 배당금도 주가 대비 증가했는데요, 주가가 상승하는 것과 동시에 거래량이 증가할 때 옵션 거래도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이 돼요.

 

   ▶ TSLY 배당금과 월별 배당수익률

  • 주가 대비 배당금을 나타낸 배당수익률을 보면요, TSLY 상장 초기 월 8%의 배당금을 지급했으나 이후로 줄곧 5~6%의 배당금을 지급해왔고, 그러다가 TSLA가 상승을 시작하는 24년 하반기부터 배당수익률 또한 7~9%까지 상승한 걸로 보여요.
  • 23년 1월부터 25년 1월까지 25개월 동안 월배당수익률의 평균값은 5.7%에요. 그리고 여기에 12를 곱해서 연배당수익률을 계산해보면 68.4%라는 값이 나오게 되고, 배당수익률 100%가 되어 원금을 완전히 회수하는건 17.5개월이 걸린다는 계산이 나와요.
  • 그러면, TSLY에 월별로 거치식 투자를 했을 경우 배당금을 통한 투자금 회수율이 어느 정도 되는지 확인해볼게요.

 

   ▶ TSLY 월별 배당금 내역과 회수율

  • 23년 1월에 투자했을 경우, 22개월차가 되는 24년 10월에 원금을 모두 회수하여 25년 1월엔 총 회수율이 113%로 투자한 원금을 모두 회수하고 13%를 더 가져간 걸로 나와요.
  • 그 외에는 원금을 모두 회수한 경우가 없는데요, 23년 1월 다음으로 가장 오래 투자한 23년 2월에 투자를 했어도 회수율이 87%로 만 2년이 꽉 찼음에도 불구하고 100% 회수를 하지 못했어요.
  • 그렇다는건 실제 연평균 배당수익률은 50%가 채 안된다는 의미라고 해석할 수가 있겠네요.
  • 배당수익률 100%면 1년만에 원금 회수가 가능해야 했는데, 역대 배당내역을 평균 내어 계산해보니 연배당수익률은 68%로 17.5개월만에 회수가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오면서 5.5개월의 오차가 발생했고, 또 실제로 투자 시기에 따른 월별 회수율을 보니 24개월 이상 나오는걸로 확인이 되면서 12개월 이상의 오차가 발생했어요.
  • 커버드콜의 특성 상 배당금이 주가와 비례하다보니, 계속 떨어지는 주가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에요.

 

※ 결론 

  • TSLY에 거치식 투자를 했을 때 약 26개월에 걸쳐 원금 회수가 모두 이뤄진다고 가정했을 때 연 배당수익률은 대략 45% 수준으로 유추할 수 있어요. 따라서 "1년만에 원금을 모두 회수하고 이후로 버는 건 모두 공짜다!" 는 사실상 불가능하고 "2년2개월만에 원금을 모두 회수하고 이후로 버는 건 모두 공짜다!"는 가능할거 같아요. 물론 머스크와 트럼프의 갈등이 폭발한다는 등의 정치적 이슈가 없을 때 얘기에요.
  • TSLY의 주가 차익을 노리는 투자보다는 TSLY를 현금공급기로 활용하여 TSLY의 배당금을 좀 더 안정적인 종목, 예를 들어 SCHD, SPY, VOO 등에 투자하는 용도로 활용하는게 더 적절한 방법일거 같아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또 하나의 월배당ETF가 국내에 상장되었어요.

 

서학개미들에게 인기 있는 종목 중 하나인 테슬라 관련된 ETF이길래 한 번 알아봤어요.

 


■ 종목소개

 

<출처 : 삼성자산운용>

 

     . 종목명 : Kodex 테슬라인컴프리미엄채권혼합 액티브 ETF (종목 코드 : 475080)

     . 종목명이 되게 길어요. 띄어쓰기를 해보자면, KODEX_테슬라_인컴_프리미엄_채권혼합_액티브 가 될까요?

   

<출처 : 삼성자산운용>

 

     . "한국형 TSLY" 라고 소개되어 있어요.

       TSLY는 테슬라 + 커버드콜 형태의 ETF 종목으로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종목이에요.

     . 삼성자산운용의 자료를 보면 APLY, NVDY, AMZY 등도 있는걸 봐선 매그니피센트7 이라고 불리는 미국의 빅테크 종목에 커버드콜 옵션이 붙어있는 ETF 종목들이 상장되어 있는 걸로 보여요.

 

<출처 : 삼성자산운용>
<출처 : 삼성자산운용>

 

     . 해당 종목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채권이 혼합되어 있는 상품으로

       TSLY 30%, 국내 채권 70%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자산을 필수로 30%는 담아야 하는 IRP 에서도 해당 종목을 100% 담을 수 있다고 해요.

 

 

■ 주가비교 (TSLY vs TSLA)

     . 테슬라(TSLA) 주가와 테슬라에 커버드콜 옵션이 더해진 TSLY 종목의 주가를 비교해봤어요.

 

      . TSLY는 2022년 11월 25일 첫 거래가 되었기 때문에 22년 12월 1일부터 현재까지의 가격을 비교해보면,

      . TSLA는 이 기간 동안 -6.28%의 가격 하락이 있었던 반면, TSLY는 -59.9%의 가격 하락이 있었어요.

      . 아무리 커버드콜이라지만... 너무 격차가 커요.

 

     . TSLY와 TSLA에 대해서 가격 차트를 그려보면, 위에서 보는 것처럼

       22년 11월엔 TSLA가 밑에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24년 1월 25일엔 TSLA가 위에 있는 걸 알 수 있어요.

 

 

■ TSLY 배당 내역

 

     . TSLY는 TSLA에 커버드콜 옵션이 더해진 상품으로 매월 분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 분배수익률은 월별로 3%~7.3% 수준까지 분포해 있어요.

     . 작년 분배금 수익률만 다 합쳐도 주가의 80~90%에 육박할 정도의 분배금을 지급했어요.

     . 분배수익률이 이렇게 높으니, 분배금 재투자를 가정해서 다시 가격 비교를 해봤어요.

 

■ 주가비교 (TSLY 배당금재투자 vs TSLA)

     

     . 배당금 재투자를 반영하여 주가를 비교해보면, 아까 단순히 주가를 비교했을 때보다 차이가 많이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어요.

 

 

     . 22년 11월 25일 첫 투자를 시작해서 TSLY는 배당금 재투자만 진행했다고 했을 때 가격의 변화량을 비교해보면,

     . 24년 1월 25일 기준으로 TSLA는 22년 11월 25일 대비 0.2%의 가격 상승,

                                              TSLY는 22년 11월 25일 대비 -14.9%의 가격이 하락했어요.

     . 분배금 재투자를 반영해도 TSLA보다 TSLY가 15%나 더 떨어졌어요.

 

■ 결론

     . 이전에 TIGER미국배당다우존스와 +3%프리미엄, +7%프리미엄 커버드콜 상품의 가격을 비교했을 때와 동일한 결과가 나왔어요. 커버드콜 옵션이 더해진 상품보다 본 상품이 더 낫다는 결과에요.

     . 그래서 결론은요,

         ※ 단점 : 커버드콜 종목의 가격은 분배금 재투자를 해도 본 종목의 수익률 대비 뒤쳐진다는 점

         ※ 장점 : 연금계좌에서 테슬라에 일정 부분 투자할 수 있다는 점

       

 


 

국내에 월배당 ETF 종목이 점점 많아지면서 투자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준다는 건 좋은 흐름인거 같아요.

그렇지만, 인기에 편승해서 너무 아무거나(?) 월배당으로 만드는건 아닌지 하는 의구심도 점점 생겨나고 있기 때문에

점점 더 옥석을 가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지고 있어요.

 

 

 

반응형

+ Recent posts